DOI QR코드

DOI QR Code

Empirical analysis of conversion of marginal companies in manufacturing to normal companies : Focusing on company's R&D activities and government's support effect

제조업 한계기업의 정상기업 전환에 대한 실증분석 : 기업의 R&D 활동과 정부 지원효과를 중심으로

  • 백철우 (덕성여자대학교 국제통상학과) ;
  • 정민우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R&D예산정책센터) ;
  • 이현익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혁신정보분석센터) ;
  • 이윤빈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 노민선 (중소기업연구원) ;
  • 손병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Received : 2021.03.18
  • Accepted : 2021.05.04
  • Published : 2021.05.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the characteristics such as a start-up company, possessing a research organization, and benefiting from government R&D programs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conversion of marginal companies to normal companies, from the viewpoin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The result shows supporting government R&D programs to start-up companies that have become a marginal company positively contributes to the transition to a normal company, centering on the high-tech industry.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research organization of marginal companies positively contributed to the transition to a normal company. These results imply that a paradigm shift from the existing industrial policy focusing on restructuring of marginal companies to a selective support policy for marginal companies with a high possibility of transition to normal companies is strongly needed. It is also necessary to strengthen the strategic use of government R&D programs to support the transition of a marginal company to a normal company.

본 연구에서는 기술혁신 관점에서 창업기업 여부, 연구전담조직 보유, 국가연구개발사업 수혜 등의 특성이 한계기업의 정상기업 전환에 유의하게 기여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한계기업 중 창업기업에게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지원하면, High-tech 산업을 중심으로 정상기업으로의 전환에 긍정적으로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계기업의 연구전담조직의 보유여부가 정상기업으로의 전환에 긍정적으로 기여하였다. 이는 연구전담조직이 체계적인 R&D를 수행할 수 있는 조직기반이 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상기 분석결과는 한계기업에 대한 구조조정 위주의 기존 산업정책에서 정상기업으로의 전환 가능성이 높은 한계기업에 대한 선별적인 R&D 지원정책으로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함과 동시에 한계기업의 정상기업으로의 전환을 지원하기 위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전략성 강화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감주식.정태현 (2018), "한계기업과 중소기업 R&D 지원 성과" 「기술혁신학회지」 제21권 제4호, pp.1474-1492.
  2. 김기완 (2008), "정부 R&D 보조금의 기업성과에 대한 효과 분석. 한국개발연구원 정책연구시리즈 2008-07.
  3. 김아리 (2017), "회생 전략이 기업 회생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지」제30권 제8호, pp.1341-1362.
  4. 김헌. (2008), "정부지원사업이 벤처기업의 기술혁신과 생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IT 산업을 중심으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정책자료 2008-07, pp.1-76.
  5.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20), "2019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6.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 "정부지원사업이 벤처기업의 기술혁신과 생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정책자료 2008-07.
  7. 김성기.곽태완 (2010), 연구개발비 투자규모와 회계정보, 「국제회계연구」 32, 17-38.
  8. 김성용.조주현 (2017), "패널프로빗모형을 이용한 분가가구의 주택점유형태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부동산학연구」 제23권 제2호, pp.23-35.
  9. 김영준.손종칠 (2015), "우리나라 기업 특성별 성장성 및 고용창출 효과 분석", 「한국경제의 분석」 제21권 제2호, pp.183-242.
  10. 노민선.백철우.손병호 (2012), "중소.중견기업 우수연구소 선정평가에 관한 탐색적 연구", 「기술혁신학회지」 제15권 제4호, pp.815-836.
  11. 문영만 (2013), "패널데이터를 이용한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노동조합 가입의향 결정요인", 「산업노동연구」 제19권 제2호, pp.127-159.
  12. 박상문 강신형 (2013), "기업 업력과 규모가 경영혁신 도입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지」 제26권 제7호, pp.1753-1770.
  13. 배순철.김병근 (2016), "동적역량과 기업성과에 대한 운영역량의 매개효과 분석", 「한국경영과학회지」 제41권 제4호, pp.15-32. https://doi.org/10.7737/JKORMS.2016.41.4.015
  14. 산업연구원 (2017), "한계기업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산업연구원 연구보고서 2017-838.
  15. 송신근.권영국.원지영 (2014), 부실기업의 회생노력이 회생성과에 미치는 영향. 「국제회계연구」 제58집, pp.488-502.
  16. 안승구.김정호.김주일 (2017). "정부의 연구개발 지원이 중견기업의 투자에 미치는 효과", 「기술혁신학회지」 제20권 제3호, pp.546-575.
  17. 윤병섭.허호영 (2011), "연구개발투자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2010년 한국 R&D Scoreboard", 「전문경영인연구」 제14권 제2호, pp.109-131.
  18. 이병헌.이수욱.위세안. (2014), "정부의 기술개발 지원이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 벤처창업연구 제9권 제5호, pp.157-171.
  19. 이명종 주영진 (2019), "기술기반창업기업의 기업활동이 기업성장에 미치는 영향", 「벤처창업연구」 제14권 제6호, pp.59-76. https://doi.org/10.16972/apjbve.14.6.201912.59
  20. 이찬호 최지혜 김민승 최정환 성태응 (2020), "기업구조조정 혁신을 위한 선제적 한계기업 예측 모형에 관한 연구", 「기술혁신학회지」 제23권 제4호, pp.637-667.
  21. 이헌준.백철우.이정동 (2014), "기업 R&D 투자의 시차효과 분석," 기술혁신연구 제22권 제1호, pp.1-22. https://doi.org/10.14383/SIME.2014.22.1.001
  22. 정창욱, 김창호, 이호욱. (2012), "기업의 회생 전략이 회생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전략경영연구」 제15권 제2호, pp.59-80.
  23. 최환석 김양민 (2016), "마중물 또는 눈먼 돈: 정부 연구개발 지원금이 연구개발 투자와 기업 혁신에 미치는 영향", 「경영학연구」 제45권 제6호, pp.1833-1857.
  24.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20), "국가연구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수행 세부지침".
  25. 한국은행 (2018), "한국은행 금융안정화 보고서"
  26. BIS (2018), "The rise of zombie firms".
  27. Caballero, R.J, Hoshi, T. and Kashyap, A.K (2008), "Zombie Lending and Depressed Restructuring in Japan", American Economic Review, Vol. 98, No. 5, pp.1943-1977. https://doi.org/10.1257/aer.98.5.1943
  28. Cerulli, G., & Poti, B. (2012). The differential impact of privately and publicly funded R&D on R&D investment and innovation: the Italian case. Prometheus, Vol. 30, No.1, pp.113-149. https://doi.org/10.1080/08109028.2012.671288
  29. Coad, A. and Rao, R. (2008), "Innovation and firm growth in high-tech sectors: A quantile regression approach", Research Policy No. 37, pp.63-648.
  30. Czarnitzki, D., & Hussinger, K. (2004). The link between R&D subsidies, R&D spending and technological performance. ZEW-Centre for European Economic Research Discussion Paper, (04-056).
  31. Falk, M. (2007). R&D spending in the high-tech sector and economic growth. Research in economics, Vol. 61, No. 3, 140-147. https://doi.org/10.1016/j.rie.2007.05.002
  32. Goto, Y. and Wilbur, S. (2019), "Unfinished Business: Zombie Firms among SME in Japan's Lost Decades", Japan and the World Economy, Vol. 49, pp.105-112. https://doi.org/10.1016/j.japwor.2018.09.007
  33. Hamberg, D. (1966). R and D: Essays on the Economics of Research and Development.
  34. Hall, B., & Van Reenen, J. (2000). How effective are fiscal incentives for R&D? A review of the evidence. Research policy, Vol. 29. Iss. 4-5, pp.449-469. https://doi.org/10.1016/S0048-7333(99)00085-2
  35. Hoshi, T. and Y. Kim (2012), "Macroprudential policy and zombie lending in Korea," working paper, University of California at San Diego.
  36. Kwon, H. U., Narita, F. and Narita, M. (2015), "Resource Reallocation and Zombie Lending in Japan in the 1990s", Review of Economic Dynamics, Vol. 18, No.4, pp.709-732. https://doi.org/10.1016/j.red.2015.07.001
  37. McGowan, M., Andrews, D. and Millot, V. (2018), "The Walking Dead? Zombie Firms and Productivity Performance in OECD Countries", Economic Policy, Vol. 33, No. 96, pp.685-736. https://doi.org/10.1093/epolic/eiy012
  38. Shen, G. and Chen, B. (2017), "Zombie Firms and Over-Capacity in Chinese Manufacturing". China Economic Review, Vol. 44, pp.327-342. https://doi.org/10.1016/j.chieco.2017.05.008
  39. Teece, D.J., Pisano, G. and Shuen, A. (1997), "Dynamic capabilities and strategic management,"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 18, No.7, pp.509-533. https://doi.org/10.1002/(SICI)1097-0266(199708)18:7<509::AID-SMJ882>3.0.CO;2-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