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발굴 출토 화살다발 제작기법 연구 및 보존처리

Study of the method of production of excavated arrow bundle and its conservation treatment

  • 이병훈 (강원도문화재연구소) ;
  • 최보배 (수도국산달동네박물관) ;
  • 허일권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 투고 : 2021.03.10
  • 심사 : 2021.04.29
  • 발행 : 2021.05.31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정선 아우라지 유적 청동기 시대 주거지에서 출토된 화살다발의 제작기법 연구 및 보존처리 과정을 서술하였다. 화살은 화살촉과 화살대 부분으로 이루어진 유물이며, 화살대는 유기물로 제작되기 때문에, 화살대가 화살촉과 함께 완형으로 발굴된 사례는 매우 드물다. 특히 정선 아우라지 화살다발은 무경식석촉과 탄화된 화살대가 결구된 흔적이 확인되었다는 사실에 큰 의의가 있으며, 나무의 끝을 갈라 화살촉에 끼워 넣는 방식이 확인된 중요한 사례이다. 정선 아우라지 화살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 현미경 조사, 화살대 수종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석촉의 마연흔을 통해 가공순서 및 방향, 도구의 입자 크기 등을 알 수 있었으며, 화살대 수종분석 결과 3년생 버드나무속(Salix spp.) 어린가지로 추정되었다. 현장에서의 경화처리 과정 중 경화제는 주변 환경의 영향으로 방수성과 가역성이 우수한 약품을 사용하였고, 응급수습방법으로 'Bridge'법을 사용하였다. 보존처리실로 이관한 후 바닥면 작업을 위해 유물을 뒤집는 과정에서 손상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했기 때문에, 보강재를 선정하는데 신중히 하였다. 보강재로는 하중을 안전하게 견딜 수 있으며, 물성이 우수한 인조점토를 선택하였다. 최종적으로 유물 접합 및 정리 작업 후 바닥면을 에폭시수지로 마무리 한 후 박물관에 전시하였다.

This paper describes the production methods that were originally used for an arrow bundle excavated from a Bronze Age residential area in Auraji in Jeongseon, Gangwon-do Province and the conservation treatment process that it subsequently underwent. An arrow conventionally consists of an arrowhead and a shaft. It is rare to excavate a shaft along with an arrowhead in a complete form since the shaft is made of organic materials. Notably, the arrow bundle from the Auraji site is of great significance as it shows traces of tangless stone arrowheads attached to charred shafts and offers an important case of the split end of a piece of a tree being inserted into an arrowhead. For a further examin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rows from Auraji, microscopic investigation was conducted and the type of wood used for the arrow shafts was examined. The sequence and direction of processing and the particle sizes of the grinding tools were revealed through the analysis of traces of grinding on the stone arrowheads. The shaft is presumed to have been made from a green length of three-year-old willow (Salix spp.). A curing agent with a high degree of waterproofing and reversibility was used during the on-site curing process according to demands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a technique that the authors call the "Bridge" method was used for emergency collection of the relics. Once the bundle was transferred to the conservation treatment lab, reinforcing materials were carefully chosen as it was important not to damage the relics during the process of turning them for the repair of their reverse sides. For this purpose, artificial clay was selected since it can safely bear a load and has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Finally, detached parts were rejoined, the relics and their surrounding materials were cleaned, and the bottom sides were finished with epoxy resin prior to the display of the relics at the museum.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원문화재연구소, 정선 아우라지 유적II, 강원문화재연구소, 춘천, (2019).
  2.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창녕군, 창녕 송현동 고분군I-6.7호분 발굴조사 보고서, p120,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창원, (2012).
  3. 국립중앙박물관편집부, 창원 茶戶里강, 1-7차발굴조사 종합보고서, p73, 국립중앙박물관, 서울,(2012).
  4. 김권중 외, 泉田里, 강원문화재연구소학술총서 80, 강원문화재연구소, 춘천, (2008).
  5. 박상진 외, 목재조직과 식별, 향문사, 서울, (1987).
  6. 이필우, 한국산 목재의 구조, 정민사, 파주, (1994).
  7. 정성호 외, 한국산 유용수종의 목재성질, 국립산림과학원, 서울, (2008).
  8. 황창한, 무문토기시대 마제석촉 제작방법 연구, 호남고고학보 20, p38-39, 42-43, (2004).
  9. 藤田亮策, 朝鮮考古學硏究, 東京 高桐書院, (1948).
  10. 황기덕, 조선에서 나타난 활촉의 기본 형태와 그 분포, 문화유산, (1958).
  11. 中村大介, 無文土器時代前期における石鏃の變遷, 待兼山考古學論集, 都出比退志先生退任記念, 大阪: 大阪大學考古學硏究室, (2015).
  12. 황창한, 청동기시대 마제석촉의 지역성 연구, 야외고고학 13, p5-24, (2012).
  13. 한국고고학콘텐츠연구원, http://blog.daum.net/plascamp/20
  14. Shawn Woods, How to make an Ancient Mesolithic style arrow for Primitive Archery Hunting, https://youtu.be/NhRbGG_0kzc, (2016).
  15. 손병화 외, 정선 아우라지유적 출토 화살대의 수종분석,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설 목재연륜소재은행 연구보고서, 청주, (2016).
  16. 박원규 외, 평택 현화리 청동기시대 집터 출토 숯의 수종과 재질분석, 보존과학회지 8(1), p19-22, (1999).
  17. 박상진 외, 출토고목재의 수종과 조직구조에 관한 연구I, 보존과학회지 2(2), p3-14, (1993).
  18. 김준태 외, 우리나라 전통 숯의 물리화학적 특성, 대한위생학회지 20(4), p77-86, (2006).
  19. 오영선 외, 숯에 대한 고찰,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9(1), p461-467, (2000).
  20. 이필우, 한국산 목재의 성질과 용도, 서울대학교 출판부, 서울, (1997).
  21. 정선군청, http://www.ariaritour.com/hb/tour/sub08, (2016).
  22. 기상자료개방포털, https://data.kma.go.kr/stcs/grnd/grndRnList.do?pgmNo=69, (2016).
  23. Rohm & Hass, Coatings-Paraloid, R&H, (1998).
  24. 정수연, 연질토기의 강화처리에 관한 연구, 한서대학교 대학원 문화재보존학과, 석사학위논문, p7-14, (2008).
  25.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C%95%84%EC%84%B8%ED%86%A4
  26.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C%9E%90%EC%9D%BC%EB%A0%8C
  27. 위광철, 발굴현장에서의 유물수습, 보존과학기초연수, (2005).
  28. 등록특허공보 제 10-1103849, 공작용 클레이의 제조방법 및 그 클레이,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