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the Competency Assessment System in the Public Sector : Compare with Private Sector Operations

공공부문 역량평가제도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 민간부분의 운영방식과의 비교 연구

  • 권용만 (남서울대학교 경영학과) ;
  • 정장호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 Received : 2021.03.25
  • Accepted : 2021.06.17
  • Published : 2021.06.30

Abstract

The HR policy in the public sector was closed and operated mainly on written tests, but in 2006, a new evaluation, promotion and education system based on competence was introduced in the promotion and selection system of civil servants. In particular, the seniority-oriented promotion system was evaluated based on competence by operating an Assessment Center related to promotion. Competency evaluation is known to be the most reliable and valid evaluation method among the evaluation methods used to date and is also known to have high predictive feasibility for performance. In 2001, 19 government standard competency models were designed. In 2006, the competency assessment was implemented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high-ranking civil service team system. In the public sector, the purpose of the competency evaluation is mainly to select third-grade civil servants, assign fourth-grade civil servants, and promotion fifth-grade civil servants. However, competency assessments in the public sector differ in terms of competency assessment objectives, assessment processes and competency assessment programmes compared to those in the private sector. For the purposes of competency assessment, the public sector is for the promotion of candidates, and the private sector focuses on career development and fostering. Therefore, it is not continuously developing capabilities than the private sector and is not used to enhance performance in performing its duties. In relation to evaluation items, the public sector generally operates a system that passes capacity assessment at 2.5 out of 5 for 6 competencies, lacks feedback on what competencies are lacking, and the private sector uses each individual's competency score. Regarding the selection and operation of evaluators, the public sector focuses on fairness in evaluation, and the private sector focuses on usability, which is inconsistent with the aspect of developing capabilities and utilizing human resources in the right place. Therefore, the public sector should also improve measures to identify outstanding people and motivate them through capacity evaluation and change the operation of the capacity evaluation system so that they can grow into better managers through accurate reports and individual feedback

공공부문의 인사 관련 정책은 폐쇄적이며 필기시험 위주로 운영이 되어왔으나, 2006년 고위공무원단 도입을 통하여 공무원의 승진과 선발제도에서 역량을 기반으로 하는 평가와 승진, 교육체계가 새로이 도입되었다. 특히 승진과 관련된 역량평가(Assessment Center)를 운영하여 연공서열 중심의 승진제도가 역량을 기준으로 평가받는 계기가 되었다. 역량평가는 현재까지 사용하는 평가방법들 중에서 신뢰성과 타당성이 가장 높은 평가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며 성과에 대한 예측 타당성도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01년 정부 표준역량 19개 역량모델을 설계하였으며, 2006년 고위공무원단제도의 시행과 함께 역량평가를 실행하였고, 2015년 중앙부처 과장급으로 확대 시행과 2012년 서울시를 시작으로 하여 광역지방자치단체도 간부급 공무원에 대한 역량평가를 도입, 시행하고 있다. 공공부문에서 역량평가의 활용 목적은 주로 3급은 선발, 4급은 배치(보직), 5급은 승진에 초점을 맞춰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공공부문의 역량평가는 민간부문과 비교하면, 역량평가의 목적, 평가과정, 역량평가 프로그램의 측면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역량평가의 목적에서 공공부문은 후보자 선발 승진을 위한 것이며, 민간부문은 경력개발과 육성에 초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민간부문보다 지속적인 역량개발을 하지 못하고 있으며, 직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성과를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 되지 못하고 있다. 평가항목과 관련해서, 공공부문은 일반적으로 6개 역량에 대하여 5점 만점에 2.5점 이상이면 역량평가를 통과하는 방식으로 제도를 운영하며, 역량의 수준이 어느 정도이며, 부족한 부문은 무엇인지에 대한 피드백이 미흡한데 반하여, 민간부문은 탈락자를 선별보다는 우수자와 적임자를 선별하기 위하여 개인별 평균점수 뿐 아니라 각 개인의 역량별 점수를 중요시 하고 이를 활용하여 보직과 경력개발에 활용한다. 평가자 선발 및 운영과 관련해서는 공공부문은 평가에 있어 공정성에 중점을 두고, 민간부문은 활용성에 중점을 두어 공공부문은 역량평가를 통하여 역량을 개발하고 적재적소에 인적자원을 활용한다는 측면에는 부합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공공부문도 역량평가를 통하여 우수자를 파악하고 이들이 동기부여가 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으로 개선하고 정확한 보고서와 개인별 피드백을 통해서 더 우수한 관리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역량평가제도 운영에 변화를 기하여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용수(2008), 과학적인 인사관리를 위한 역량평가, 행정안전부.
  2. 권용수(2001), 공무원 직무수행역량평가모델, 한국행정연구원
  3. 공 주(2009), 고위공무원단제도의 성과에 관한 인과모형 연구,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4. 김정곤(2013), 한국고위공무원단 제도의 시행효과 분석,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5. 능률협회(2017), 역량평가제도 개선[보완.발전]방안, 연구용역 결과보고서.
  6. 박소연,신범석(2014), "공공부문 역량평가센터(Assessment Center)평가자의 역량모델 개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8(4), 203-227.
  7. 박소연,황인표(2014), "공공부문 역량평가센터(Assessment Center)의 질에 대한 피평가자의 인식분석,"한국인사행정학회보,13(3),321-336.
  8. 송미정(2013), 5급 승진대상 공무원의 개인역량과 교육효과 간의 관계 및 평가센터기법 활용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박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대학원.
  9. 양승은,강버들(2016), "부산광역시 지방공무원 역량평가제도의 인식에 대한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28(5), 1290-1300. https://doi.org/10.13000/JFMSE.2016.28.5.1290
  10. 윤우제(2016), 공무원 역량평가의 타당성 분석: 중앙행정기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11. 이선우(2011), 고위공무원단 제도 성과분석 및 발전방향, 안전행정부.
  12. 이선우, 오성호(2014), 인적자원관리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13. 인사혁신처 홈페이지, (http://www.mpm.go.kr)
  14. 전주민(2019), 지방공무원 역량평가 승진제도 발전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5. 정승수(2010), 역량기반 인사관리시스템의 발전방안 연구; K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대학원.
  16. 정옥진(2018), 지방공무원 역량평가의 효과성 인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7. 조명성(2015), 고위공무원 역량평가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시립대학교 대학원.
  18. 중앙인사위(2006), 해외정부.민간의 역량평가활용 현황.
  19. 진종순(2009), "공무원역량평가의 효과성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행정논총, 47(3), 139-163.
  20. 천장현,유규창(2014), "Assessment Center의 효과성 증진방안 모색," 대한경영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21. 하미승(2007), "공무원 역량평가를 위한 사례 비교연구," 한국인사행정학회보, 6(1),37-80.
  22. 하태권(2007), 고위공무원단 제도 운영성과 및 개선방안 연구, 정부혁신 지방분권위원회.
  23. 허창구(2010), 평가센터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내재설계된 평가센터의 구성타당도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대학원.
  24. Boyatzis, R. E.(1982), The Competent Manager. A Model for Effective Performance, New York: John Wiley.
  25. Bray, D. W., R. J. Campbell and D. L.Grant(1974), Formative Years in Business: A Long Term AT&T Study of Managerial Lives. New York: John Wiley.
  26. McClelland, D. C(1973),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28(1), 1-14. https://doi.org/10.1037/h0034092
  27. Rodriguez, D., R. Patel, B. Andrea, D. Gregory, and K. G. Marilyn,(2002), "Developing Competency Model to Promote Integrated Human Resource Practices," Human Resource Management. 41(3), 309-324. https://doi.org/10.1002/hrm.10043
  28. Spencer, L. M. and S. M. Spencer(1993), Competency at Work : Model for Superior Performance, John Wiley and Sons.
  29. Howard, A(1979), "Assessment Center Predictions Sixteen Years Later," Paper and presented at the 7th International, Congress on the Assessment Center Method, June 6-8.
  30. Thomton, G. C. and D. E. Rupp(2006), Assessment Centers in Human Resource Management : Straregies for Prediction Diagnosis and Development, NJ: Lawrence Erlba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