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Education Service Quality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Freshman and Undergraduate Students

대학의 교육서비스품질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신입생과 재학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Sung, Haengnam (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Kim, Eun-Jung (Dept.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Dong-eui University) ;
  • Lee, Taewon (BK21 Digital Finance Education and Research Center, Pusan National University)
  • 성행남 (경상국립대학교 경영대학) ;
  • 김은정 (동의대학교 경영정보학과) ;
  • 이태원 (부산대학교 경영학과 BK21 디지털금융 사업단)
  • Received : 2021.05.11
  • Accepted : 2021.06.11
  • Published : 2021.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education service quality (quality of professor service, quality of curriculum service)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ppropriate measures were developed and tested on 426 respondents of Gyeongnam province in South Korea with a cross-sectional questionnaire survey. To ensur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validity analysis were conducted. To ensur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ement model, the CFA(confirmatory factor anlaysis) were conducted. The SEM(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as undertaken to perform the path analysis among the variables and to assess the suitability of the model. MCFA(multi group CFA) and MSEM(multi group SEM) were performed to confirm the moderation effect.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education service quality has positive effects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eco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s positive effects on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reparation behavior. Third, career decision level has positive effects on career reparation behavior. Finally, it was found there exists a moderating effect of freshman/registered student between education service qualit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decision level,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investigation of extraneous variables which help to improv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decision level as for career of university student will contribute to university educ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서비스품질(교수자서비스품질, 교육과정서비스품질)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최종 유효 설문지 426부에 대해 타당성 검정 후, 측정모형분석(CFA)과 구조모형분석(SEM) 그리고 다중집단 분석(MCFA와 MSEM)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서비스품질(교수자서비스품질, 교육과정서비스품질)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진로결정수준은 진로준비행동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신입생과 재학생의 차이는 교육서비스품질(교수자서비스품질, 교육과정서비스품질)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에 있어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결정요인을 파악하여 제공함으로써 대학 진로 교육 개선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명희, 강민정 (2015).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과 진로 결정수준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교육방법학회지, 27(4), 489-510.
  2. 고은정, 이성진, 김상수 (2018). 직무자율성과 자기효능감이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워크 환경에서 지식공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지식경영연구, 19(2), 163-185. https://doi.org/10.15813/kmr.2018.19.2.009
  3. 고향자 (1992). 한국 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과 진로결정수준의 분석 및 진로결정상담의 효과. 박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4. 고현정, 강은경, 양성병 (2020). 의료관광교육 서비스품질이 교육만족도 및 교육훈련전이에 미치는 영향: 조직특성 및 국가관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지식경영연구, 21(2), 137-157. https://doi.org/10.15813/KMR.2020.21.2.008
  5. 구영애, 박수진, 안성식 (2020). 대학생의 전공 선택동기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취업진로연구, 10(2), 45-70. https://doi.org/10.35273/JEC.2020.10.2.003
  6. 권영성 (2006). 대학의 강의식 수업에서 교수의 효율적인 교수행동 요인 분석.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7. 금지헌 (2012). 교육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부모의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50(7), 59-66. https://doi.org/10.6115/khea.2012.50.7.059
  8. 김명겸 (2021). 교육서비스 품질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학습몰입과 교육만족의 구조적 관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9. 김선 (2020).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수준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10. 김소영 (2014). 학습성과와 효과적인 교수법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조사연구. 평생학습사회, 10(1), 59-82.
  11. 김수영, 배성아 (2014). 대학생의 진로적응성과 진로미결정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12), 429-448.
  12. 김신희 (2011). 서비스 가치의 선행요인이 서비스가치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대학서비스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경성대학교.
  13. 김영혜, 안현의 (2012). 사회인지진로이론적 관점에 근거한 국내 진로발달연구의 동향 분석: 대학생 연구를 중심으로. 진로교육연구, 25(4), 1-18.
  14. 김옥경 (2018). 대학생의 경력계획, 진로준비행동,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고용가능성 간의 구조적 관계.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
  15. 김재희 (2019). 저소득가정 고등학생의 진로교육경험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진로교육연구, 32(3), 1-24.
  16. 김정미, 김재천 (2019). 대학생의 학과만족도와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교육문화연구, 25(5), 273-288.
  17. 김정희, 박동진 (2012). 대학교육 서비스가 학생 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A국립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소비자정책교육연구, 8(3), 47-68.
  18. 김종운, 박성실 (2013). 전문대학생의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진로교육연구, 26(3), 123-141.
  19. 김효진, 김세진 (2020). 안경광학 전공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 분석. 한국안광학회지, 25(4), 343-348.
  20. 남광석, 문은미 (2018). 대학생의 진로타협과 진로관련 변인들의 관계탐색. 직업교육연구, 37(5), 79-100.
  21. 박선희, 박현주 (2009).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대처방식이 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6(1), 67-81. https://doi.org/10.16983/KJSP.2009.6.1.67
  22. 박신영 (2017). 사범계열 대학생이 인식한 긍정심리자본과 진로중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2), 169-193.
  23. 박완성, 김미숙 (2021). 고등학생의 진로교육경험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4), 1129-1147.
  24. 배병렬 (2017). Amos 24 구조방정식모델링. 도서출판 청람.
  25. 백주경 (2019). 진로교육이 고등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국제신학대학원 대학교.
  26. 서광열 (2019). 대학생의 진로탐색이 진로결정과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취업진로연구, 9(4), 95-114.
  27. 손권배, 김재열 (2014). 학원의 교육서비스품질이 교육서비스성과에 미치는 영향-서비스공정성, 서비스신뢰, 서비스관계몰입의 매개효과. 경영교육연구, 29(1), 271-303.
  28. 손은령, 손진희 (2005). 한국 대학생의 진로결정 및 준비행동-사회 인지적 진로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2), 399-417. https://doi.org/10.17315/KJHP.2012.17.2.008
  29. 송인숙, 권상집 (2017). 교육훈련, 서번트 리더십, 자기효능감, 교육훈련 전이, 지식공유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지식경영연구, 18(4), 261-286. https://doi.org/10.15813/kmr.2017.18.4.011
  30. 신명희 (2006). 교수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31. 양동휘, 정애옥 (2020). 외식전공 대학생들의 교육서비스 품질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26(6), 77-86. https://doi.org/10.20878/CSHR.2020.26.6.007
  32. 유미정 (2008). 진로장벽,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전문대학 비서학 전공생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33. 이기학, 이학주 (2000). 대학생들의 성격유형에 따른 진로의사결정 및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2(1), 127-136.
  34. 이민옥 (2018). 전문대학생이 인식한 진로장벽,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목포대학교.
  35. 이예주 (2019). 대학생의 사회적지지가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그릿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매개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경성대학교.
  36. 이은경 (2001). 자기효능감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37. 이종찬, 홍아정 (2013).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고용가능성의 매개효과. 진로교육연구, 26(1), 69-92.
  38. 이주희 (2004). 대학생들의 성격유형에 따른 진로의사결정 및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연구. 청소년복지연구, 6(1), 103-115.
  39. 이한나, 안선주, 최정일 (2019). 교육서비스품질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비스경영학회지, 20(1), 155-175.
  40. 이현진 (2009).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태도성숙 및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41. 임규연, 김시원, 김영주 (2015). 협력학습 환경에서 메타인지적 자기조절, 정서조절과 성취도 간의 관계: 협력적 자기조절과 협력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10), 685-707.
  42. 정무관, 최항석, 이해영 (2016). 대학의 교육 서비스에서 교수자의 역할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수업설계자와 학습촉진자의 역할을 중심으로. 서비스경영학회지, 17(1), 281-306.
  43. 정미숙 (2015). 여자대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사이버대학교 휴먼서비스대학원.
  44. 조규형 (2018).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 수준 검사도구 개발.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45. 주명진, 김정남 (2011). 대학생의 불안과 진로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문학논총, 27, 157-174.
  46. 최영준 (2013). 대학생의 대학교육 만족도 변인과 변인 영향력에 관한 연구. Andragogy Today: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16(3), 61-83. https://doi.org/10.22955/ACE.16.3.201308.61
  47. 최옥현, 김봉환 (2007). 대학생의 애착관계 및 유형과 진로탐색효능감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8(3), 1063-1084.
  48. 최은혜 (2017). 대학의 서비스품질, 만족도, 충성도 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연구-중국인 유학생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49. 한미옥, 조규판 (2021). 체육계열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정체감, 취업불안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급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5), 95-104.
  50. 한승연, 임규연 (2012). 사이버대학 교수자의 교수역량 모델링. 교육방법연구, 24(4), 837-862. https://doi.org/10.17927/TKJEMS.2012.24.4.837
  51. 황희중 (2012). 교육서비스 품질이 교육서비스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지, 25(1), 1-19.
  52. Adnerson, J. C., & Gerbing, D. W. (1992). Assumptions and comparative strengths of the two-step approach: Comment on Fornell and Yi. Sociological Methods & Research, 20(3), 321-333. https://doi.org/10.1177/0049124192020003002
  53. Bagozzi, R. P., & Yi, Y. (1988).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6(1), 74-94. https://doi.org/10.1007/BF02723327
  54.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55. Bandura, A. (1994). Self-efficacy. In V. S. Ramachaudran (Ed.), Encyclopedia of human behavior (Vol. 4, pp. 71-81). New York: Academic Press.
  56. Barbara, M. F., & Darrell, A. L. (1998). Increasing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nontraditional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ollege Counseling, 1, 35-43. https://doi.org/10.1002/j.2161-1882.1998.tb00122.x
  57. Baron, R. B.,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58. Betz, N. E., Klein, K. L., & Taylor, K. M. (1996). Evaluation of a short form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4, 47-57. https://doi.org/10.1177/106907279600400103
  59. Fenning, E. B., & May, N. L. (2013). Where there is a will, there is an A: Examining the roles of self-efficacy and self-concept in college students' current educational attainment and career planning. Social Psychology of Education, 16, 635-650. https://doi.org/10.1007/s11218-013-9228-4
  60. Ginzberg, E., Ginsberg, S. W., Axelrod, S., & Herma, J. L. (1951). Occupational choice: An approach to a general theory.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61. Hackett, G., & Betz, N. E. (1981). A Self-efficacy approach to the career development of wome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8(3), 326-339. https://doi.org/10.1016/0001-8791(81)90019-1
  62. Harren, V. A. (1979). A model of career decision making for college student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4(2), 119-133. https://doi.org/10.1016/0001-8791(79)90065-4
  63. Lent, R. W., Brown, S. T., & Hackett, G. (2002).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In D. Brown (Ed.),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4th ed., pp. 255-311). San Francisco: Jossey-Bas.
  64. Lewis, R. C., & Booms, H. (1983). The marketing of service quality, emerging perspectives on service marketing. American Journal of Industrial and Business Management, 99-107. https://doi.org/10.4236/ajibm.2020.101007
  65. Li-Wei, M. (2005). A comparative study between UK and US: The student satisfaction in higher education and its influential factors.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21(7), 859-878. https://doi.org/10.1362/026725705774538471
  66. Misra, P. K. (2011). VET Teachers in europe: Policies, practices and challengers. Faculty of Education and Allied Sciences, 63(1), 27-45.
  67. Osipow, S., Carney, C., & Barak, A. (1976). A scale of educational and vocational undecidedness: A typological approach.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9, 233-243. https://doi.org/10.1016/0001-8791(76)90081-6
  68. Super, D. E. (1957). The psychology of careers. New York: Harper & Row.
  69. Super, D. E. (1990). A life-span, life-space approach to career development. In D. Brown & L. Brooks (Eds.),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Applying contemporary theories to practice (2nd ed., pp. 197-261). San Francisco, CA: Jossey-Bass.
  70. Taylor, S. A., & Baker, T. L. (1994). An assessm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in the formation of consumers' purchase Intentions. Journal of Retailing, 70(2), 163-178. https://doi.org/10.1016/0022-4359(94)90013-2
  71. Tiedeman, D. V., & O' Hara, R. P. (1963). Career development: Choice and adjustment. New York: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Board.
  72. Tolbert, E. L. (1974). Counseling for career development. Boston: Houghton Mifflin Company.
  73. Wanberg, C. R., & Muchinsky, P. M. (1992). A Typology of career decision status: Validity extension of the vocational decis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9(1), 71-80. https://doi.org/10.1037/0022-0167.39.1.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