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exual Health for the Elderly in the Characteristics and Factors: Based on the WHO Sexual Health

WHO 성 건강에 근거한 노인 성 건강 특성과 영향요인

  • Ryu, JiHye (Dankook University, Dep. of Health and Safety, Graduate School of Health and Welfare) ;
  • Kang, ChangHyun (Dankook University, Dept. of public policy department)
  • 유지혜 (단국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보건안전학과) ;
  • 강창현 (단국대학교 공공정책학과)
  • Received : 2020.10.29
  • Accepted : 2020.12.14
  • Published : 2021.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factors of each area by considering the gender health of the elderly as the integration of mental, physical, emotional, and social gender health based on the WHO gender health. The sexual health of the elderly is significantly different by gender, academic background, and region, and there is a clear difference in mental, physical, emotional sexual health and social sexual health. The mental, physical and emotional sexual health of the elderly in urban areas, those with high education and male is high, but the elderly in the rural areas, those with low education, and female are high in social sexual health. The factors affecting sexual health are as follows. Mental sexual health was positively influenced by satisfaction of sexual life and sexual knowledge. Physical sexual health was positively influenced by life and spouse satisfaction, and emotional sexual health was positively influenced by sexual relationship, spouse satisfaction, sexual life satisfaction and sexual knowledge. Social sexual health has a negative (-) effect on spouse satisfaction and sexual relationships. Integrated sexual health in old age can affect subjective health and quality of life, leading to successful aging. Sexual health education is needed to form a safe and healthy sexual lif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sex' that appears as a cumulative trajectory of life should be accompanied by the accurate sexual health awareness and sex education that encompasses all generations. Therefore, in the composition of sex health education program,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components that can enhance the sensitivity of adulthood to strengthen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of spouse.

본 연구는 WHO 성 건강에 근거하여 노인들의 성 건강을 정신적, 신체적, 감정적, 사회적 성 건강의 통합으로 보고, 영역별 특성과 영향요인의 파악에 목적이 있다. 노인들의 성 건강은 성별, 학력별, 지역별 차이가 크고, 정신적, 신체적, 감정적 성 건강과 사회적 성 건강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도시지역, 고학력, 남성 노인들은 정신적, 신체적, 감정적 성 건강이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농촌 지역, 저학력, 여성 노인들은 사회적 성 건강이 높게 나타난다. 성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다음과 같다. 정신적 성 건강은 성생활 만족도와 성 지식에서, 신체적 성 건강은 삶의 만족도와 배우자 만족도에서, 감정적 성 건강은 이성 교제, 배우자 만족도, 성생활 만족도, 성 지식에서 양(+)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성 건강은 배우자 만족도와 이성 교제에서 음(-)의 영향을 나타내고 있다. 노년의 통합적 성 건강은 주관적 건강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쳐 성공적 노화로 이어질 수 있다. 안전하고 건강한 성생활과 대인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성 건강교육이 필요하다. 누적된 삶의 궤적으로 나타나는 '성'은 모든 세대를 아우르는 올바른 성 건강 인식과 성교육이 수반 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성 건강 교육프로그램 구성에서는 상대방에 대한 이해와 소통을 강화하는 성인지 감수성을 높일 수 있는 구성요소를 반영함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인. (2003). 성공적 노화의 지각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20, 95-116.
  2. 강창현 외. (2018). 노인 성의식 조사 및 개선사업 개발. 천안: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3. 김동일. (2008). 여성의 성기능 장애 평가 척도인 한글판 FSFI 척도의 임상시험 적용 기준에 관한 기초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1(3), 121-131.
  4. 김대숙, 홍(손)귀령. (2016). 지역사회 노인의 성과 성생활 경험. 노인간호학회지, 18(3), 128-137.
  5. 김문영, 이현주. (2001). 노년기 성의 중요성 인지도에 관한 연구. 정신간호학회, 10(4), 675-685.
  6. 김선녀. (2013). 고령화 사회 노인의 성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 방향. 사회혁신연구, 4(1), 175-208.
  7. 김욱. (2002). 억압의 한 형태로서의 노인차별주의: 사회복지적 대응과 함의. 사회복지정책, 14, 97-118.
  8. 김윤정. (2003). 노인의 성에 대한 인식과 성생활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5), 133-143.
  9. 김점남. (2011). 노인의 성인식, 성생활 만족도 및 성공적 노화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상대학교 간호학과.
  10. 김주희, 이창은. (2000). 유배우자 노인의 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노년학회지. 20(3), 185-195.
  11. 김희선. (2006). 일 지역 노인의 주관적 건강인식, 건강증진행위 및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계. 노인간호학회지, 8(2), 117-127.
  12. 나동석, 김영대. (2011). 노인의 성생활과 성태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52, 185-204.
  13. 나임순. (2005). 고령화 사회의 노인 성문제와 대한에 관한 연구. 임상사회사업연구, 2(1), 123-139.
  14. 나임순. (2005). 여성노인의 성지식과 성태도가 성욕구 대처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30, 215-236.
  15. 변호순. (2010). 노인의 성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논문집, 35(2), .113-125.
  16. 백유미. (2009). 여성노인의 집단상담 경험을 통한 섹슈얼리티 인식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지, 14(8), 3696-3703.
  17. 박미현, 박명화. (2010). 성교육이 노인의 성지식과 성 태도에 미치는 효과. 노인 간호학회지, 12(1), 62-71.
  18. 박하영, 전혜정, 주수산나. (2018). 남녀노인의 성역할 태도 유형이 부부관계 만족도와 부부갈등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3(1), 25-51. doi.org/10.21321/jfr.23.1.25
  19. 박현준. (2019). 노인 남성의 성기능장애 진단과 치료. 대한의사학회지, 62(6), 308-314. doi.org/10.5124/jkma.2019.62.6.308
  20. 보건사회연구원. (2017). 노인실태조사. 보건복지부.
  21. 손덕순, 박영란. (2013). 성인지적 관점에서 바라본 노인의 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노인복지연구, 63, 229-256.
  22. 신선화,박효정. (2014). 노인의 성태도가 성생활에 미치는 영향; 일반적 특성의 조절효과. 노인간호학회지, 26(3), 320-329. doi.org/10.7475/kjan.2014.26.3.320
  23. 안순태, 임유진, 정순둘. (2020). 건강정보행동을 통한 심리적 건강 노인의 디지털리터러시 효과. 40(5). 833-854. doi.org/10.31888/JKGS.2020.40.5.833
  24. 안정신, 정영숙, 서수균. (2013). 성숙한 노화 태도와 성공적 노화 및 심리.사회적 성숙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26(2), 127-147.
  25. 염지혜, 박준식, 김동현. (2012). 노인의 주관적 건강평가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남녀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지, 32(4), 1101-1118.
  26. 오진주. (1998). 노인의 성생활 경험에 대한 서술적 연구. 대한보건간호학회지, 12(2), 236-251.
  27. 유재언. (2018). 미국 노인의 성생활 건강과 성적 권리 보호. 국제사회보장리뷰, 4, 71-80.
  28. 유지혜, 강창현. (2019). 노인 성 건강의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오토피아, 34(2), 157-197. doi.org/10.32355/OUGHTOPIA.2019.08.34.2.157
  29. 윤하나. (2007). 여성 성 기능 장애와 스트레스. 스트레스연구, 15(4), 287-293.
  30. 윤하나. (2019). 노년기 성교육의 필요성과 방안. 대한의사학회지, 62(6), 320-324. doi.org/10.5124/jkma.2019.62.6.320
  31. 이경희. (1995). 부부간 친밀감 척도개발에 대한연구. 한국가정학회지, 33(4), 235-249.
  32. 이소원, 김찬우. (2015). 중년기.노년기 여성들의 경험적 성생활에 관한 질적 연구. 사회복지연구, 46(2), 125-151.
  33. 이승재, 이연숙, 김양이. (2013). 노인의 성욕구 수준과 성에 대한 태도, 임상사회사업연구, 10(1), 1-21.
  34. 이진희. (2016). 지역적 건강불평등과 개인 및 지역 수준의 건강결정요인. 보건사회연구, 36(2), 345-358. doi.org/10.15709/hswr.2016.36.2.345
  35. 임경민, 김혜숙, 송수경. (2015). 성별에 따른 노인의 성인식 및 성교육 수요에 관한 연구. 보건의료산업학회지, 9(3), 211-219. doi.org/10.12811/kshsm.2015.9.3.211
  36. 임춘식, 박미현. (2011). 노년기 성태도.성욕구 대처행동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 노인복지연구, 52, 131-154.
  37. 코델리안 파인. (2014). 젠더,만들어진 성. 이지윤 역. 서울: 휴먼사이언스.
  38. 크리스티안 노스럽. (2018). 여성의 몸 여성의 지혜. 서울: 한문화.
  39. 통계청. (2018). 고령자통계.
  40. Carpenter L.M., De Lameter J. (2012). Sex for Life: From Virginity to Viagra. How Sexuality Changes Throughout Our Lives. New York Press, New York. doi.org/10.1080/09589236.2013.766506
  41. Chatterji S., et al. (2002). The conceptual basis for measuring and reporting on health. Global Programme on Evidence for Health Policy Discussion Paper, 45, 1-20.
  42. Ganong K., Larson E. (2011). Intimacy and Belonging: The Association between Sexual Activity and Depressionamong Older Adults. Society and Mental Health, 1(3), 153-172. doi.org/10.1177/2156869311431612
  43. Gott M., Hinchliff S. (2003). How important is sex in later life? The views of older people. Social Science & Medicine, 56, 1617-1628. doi.org/10.1016/s0277-9536(02)00180-6
  44. Haesler E., Bauer M., Fetherstongaugh D. (2016). Sexuality, sexual health and older people: A systematic review of research on the knowledge and attitudes of health professionals. Nurse Education Today, 40, 57-61. doi.org/10.1016/j.nedt.2016.02.012
  45. Heidari S. (2016). Sexuality and older people: a neglected issue. Reproductive Health Matters, 24(48), 1-5. doi.org/10.1016/j.rhm.2016.11.011
  46. Heiman J.R. et al. (2011). Sexual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happiness in midlife and older couples in five countries. Archives of Sexual Behavior, 40(4), 741-53. doi.org/10.1007/s10508-010-9703-3
  47. Hensel D.J., et al. (2016). The Association Between Sexual Health and Physical, Mental, and Social Health in Adolescent Women. Journal of Adolesecent Health, 59(4), 416-421. doi.org/10.1016/j.jadohealth.2016.06.003
  48. Hirayama R., Walker A.J. (2011). When a partner has a sexual problem: Gendered implications for psychological well-being in later life. The Journals of Gerontology, 66B(6), 804-813. doi.org/10.1093/geronb/gbr102
  49. Laumann E.O., et al. (2006). A Cross-National Study of Subjective Sexual well-Being Among Older Women and Men: Findings From the Global Study of Sexual Attitudes and Behaviors. Archives of Sexual Behavior, 35(2), 145-61. doi.org/10.1007/s10508-005-9005-3
  50. Lindau, et al. (2007). Sexuality; Measures of Partnerships, Pratices, Attitudes, and Problems in the National Social Life, Health, and Aging Study. Journal of Gerontology:Social Science, 64B(S1). 56-66. doi.org/10.1093/geronb/gbp038
  51. Lindau S.T., et al. (2007). A Study of Sexuality and Health among Older Adults in the United States. N Engl J Med, 357, 762-774. doi.org/10.1056/NEJMoa067423
  52. Silva R. et al. (2014). Mental health, sexuality and old age. Journal of Nursing and Socio environmental Health, 1(2), 181-189. doi.org/10.15696/2358-9884/jonse.v1n2p181-189
  53. Sevgi O.A. (2004). Mental Health: A Powerful Predictor of Sexual Health?. American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Association, 31(1), 13-14. doi.org/10.1097/01.OLQ.0000109666.55711.C2
  54. Wang T.F., et al. (2008). Sexual knowledge, attitudes and activity of older people in Taipei, Taiwan.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7(4), 443-50. doi.org/10.1111/j.1365-2702.2007.02003.
  55. White C.B. (1982). Sexual interest, attitudes, knowledge, and sexual history in relation to sexual behavior in the institutionalized aged. Archives of Sexual Behavior, 11, 11-21. https://doi.org/10.1007/BF01541362
  56. WHO. (2010). Develop sexual health programmes. A framework for action. For futher information conract : Deparment of Reproductive Health and Research https://apps.who.int/iris/bitstream/handle/10665/273989/WHO-FWC-18.30-eng.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