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17개 시·도 노인복지예산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퍼지셋 질적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Elderly Welfare Budget among 17 metropolises and provinces in Korea Using Fs/QCA

  • 장은하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홍석호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김헌진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Jang, Eunha (Dept. of Social Welfare, Cheongju University) ;
  • Hong, Seokho (Dept. of Social Welfare, Cheongju University) ;
  • Kim, Hunjin (Dept. of Social Welfare, Cheongju University)
  • 투고 : 2020.12.12
  • 심사 : 2021.01.06
  • 발행 : 2021.02.28

초록

노인복지증진을 위한 지방정부의 안정적인 재원확보 및 효율적 재정운영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17개 시·도를 대상으로 퍼지셋 질적 비교분석 방법론(Fs/QCA)을 적용하여 노인복지예산 결정요인의 원인조건을 탐색하였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원인변수를 사회경제적 요인(고령인구비율, 노인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비율), 재정적 요인(재정자주도), 정치행정적 요인(노인복지조례 수)으로 선정하였고, 결과변수는 노인 1인당 복지예산으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노인복지예산을 결정하는 원인변수의 조합은 세가지 형태로 나타났다. 첫째, 고령인구비율이 낮으며, 노인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비율이 높고, 노인복지조례 수가 적은 경우였다. 둘째, 노인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비율이 낮고, 재정자주도가 낮으며, 노인복지 조례 수가 많은 경우였다. 셋째, 고령인구비율이 높고, 노인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비율이 높으며, 재정자주도가 낮은 요인이 결합되어 노인복지예산 결정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지방정부에서는 사회경제적 요인, 재정적 요인, 정치행정적 요인 등을 고려하여 실질적인 노인복지예산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It is critical to secure stable financial resources and efficient financial management for local governments to promote elderly welfare. Using the Fuzzy 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method, we empirically examined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 17 metropolises and provinces in Korea increase or decrease their budget for elderly welfare. After examining previous studies, socio-economic variables(ratio of elderly people, ratio of elderly welfare recipients), financial variables(financial independence ratio), and political administrative variables (number of regulations on elderly welfare) were included in the analyses to determine the causal conditions of elderly welfare budget per person. Fs/QCA resulted in three combinations of elderly welfare budget per person: first, the combination of low ratio of elderly people, high ratio of elderly welfare recipients, and low number of regulations on elderly welfare; second, the combination of low ratio of elderly welfare recipients, low financial independence ratio, and high number of regulations on elderly welfare; and lastly, the combination of high ratio of elderly people, high ratio of elderly welfare recipients, and low financial independence ratio. Implications for elderly welfare were made considering socio- economic, financial, and political administrative circumstances based on the study results.

키워드

참고문헌

  1. 고경환. (2010). 복지재정DB를 활용한 지방정부의 복지수준 분석. 사회보장연구, 26(3), 199-223.
  2. 고혜진, 류연규, 안상훈. (2014). 기초 지방자치단체 사회복지 자체사업 지출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사회보장연구, 30(2), 1-34.
  3. 권중돈. (2010). 노인복지론. 서울: (주)학지사.
  4. 김갑주. (2015). 노인복지정책 결정요인 분석: 16개 광역자치단체 노인복지예산을 중심으로. 대구한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김광병. (2012). 지역사회복지 규범으로서 사회복지조례 입법평가에 관한 연구: 서울특별시 25개 자치구의 자주조례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김병규, 이곤수, 조덕호. (2009). 지방정부의 정치적 특성이 복지비지출에 미치는 영향분석: 경상북도를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21(1), 129-147.
  7. 김병민, 신동면. (2015). 서울특별시 자치구의 사회복지예산 변화 영향요인에 관한 유형화: 퍼지셋 이상형 분석의 적용. 사회과학연구, 41(1), 1-25.
  8. 김병민. (2015). 지방정부 사회복지예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울시 25개 기초자치단체에 대한 퍼지셋 분석.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9. 김성수. (2008). 노인복지예산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전라북도 시.군 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8(4), 907-923.
  10. 김승연, 하석철. (2020). 사회복지분권화를 위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간 역할 재정립 방안. 한국지역사회복지학, 73, 1-29. doi.org/10.15300/jcw.2020.73.2.1
  11. 김신호. (2019). 대구.경북 노인들의 주거권과 주거보장에 대한 정책 연구. 한국지방자치연구, 21(3), 43-76.
  12. 김영신. (2003). 노인복지예산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김정완. (2019). 국고보조금 차등보조율제도의 재정적 형평성과 효율화에 대한 평가와 개선방안: 국민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재정논집, 24(3), 199-233.
  14. 남궁근. (1994). 우리나라 지방정부지출수준의 결정요인 분석. 한국정책학회보, 28(3), 991-1012.
  15. 남궁은. (2019). 전국 장애인복지수준 비교를 통한 유형화와 영향요인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류연규. (2005). 복지국가의 탈가족화와 출산율의 관계에 대한 비교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 문수진, 이종열. (2015).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예산 지출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광역시 기초자치단체의 정치적 요소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5(4), 137-159.
  18. 박고운, 박병현. (2007).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재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복지정책, 31, 423-451.
  19. 서동명. (2009). 기초자치단체 장애인복지예산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 서상범, 홍석자. (2010). 한국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예산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참여정부의 분권교부세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37(2), 151-177. https://doi.org/10.15855/SWP.2010.37.2.151
  21. 안서연. (2019). 기초연금 재원 부담 형평성 제고 방안: 대안지표와 재원부담 주체의 다양화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 21(3), 137-160. https://doi.org/10.22944/KSWA.2019.21.3.006
  22. 안영진. (2014). 사회복지정책의 분권화에 따른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재원 개선방안. 공법학연구, 15(2), 53-83. https://doi.org/10.31779/PLJ.15.2.201405.003
  23. 오수현, 강인성. (2013). 지방자치단체 정당구조를 중심으로 한 예산지출 영향요인분석: 사회복지비와 경제개발비를 중심으로. 국가정책연구, 27(2), 215-240.
  24. 유시영. (2010). 한국 노인복지정책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 예산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5. 윤석명. (2018). 노인복지 예산의 현황과 과제. 보건복지포럼, 256, 37-50.
  26. 윤인주, 양준석. (2016). 광역자치단체의 사회복지예산 결정요인 분석. 한국정책과학학회보, 20(3), 115-139.
  27. 이경민. (2019.11.04.). 복지동향 「기획5」 2020년 노인복지 분야 예산안 분석. 참여연대 사회복지위원회. http://www.peoplepower21.org/Welfare/1664646(2020/8/10).
  28. 이수창. (2015). 노인복지예산 결정요인 분석: 16개 광역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연구, 17(2), 57-76.
  29. 이승윤, 강민아, 정무권. (2015). 복지국가의 필요조건으로서의 '정부의 질': 퍼지셋 질적비교 연구를 활용한 OECD 국가 비교연구. 정부학연구, 21(1), 1-40.
  30. 이승윤. (2014). 퍼지셋 질적 비교연구 방법론의 이론과 적용: Fs/QCA 입문. 서울: 고려대학교출판부.
  31. 이은미, 이은국. (2015). 지방정부 정책결정 요인의 QCA(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분석: 노인복지 증진에 관한 조례 채택을 중심으로. 현대사회와 행정, 25(2), 1-24.
  32. 이재완. (2010). 사회복지 지방이양사업과 지방복지재정위기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35, 1-22.
  33. 이중섭. (2008). 복지재정분권화에 따른 지방정부의 사회복지예산 변화에 관한 연구. 사회연구, 15, 95-128.
  34. 임진영, 서정욱, 민효상. (2018). 지방자치단체 사회복지예산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경기도 기초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지방행정연구, 32(3), 65-94. https://doi.org/10.22783/KRILA.2018.32.3.65
  35. 정윤미, 강현아. (2012). 지방정부의 아동복지재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복지정책, 39(1), 283-308.
  36. 조규영. (2009). 광역자치단체 사회복지재정의 영향요인분석: 재정분권화 변수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7. 조수현. (2009). 지방정부 사회복지예산 결정의 메커니즘과 구조적 맥락. 지방행정연구, 23(2), 101-131.
  38. 조현호, 함우식, 주상현. (2013). 지방정부 사회복지비 지출 결정 요인 분석: 전라북도 14개 시.군을 중심으로. 한국비교정부학보, 17(1), 171-198.
  39. 주상현. (2011). 지방정부 사회복지지출 추이의 비교.분석과 함의. 한국비교정부학보, 15(1), 75-98.
  40. 진재문. (2006). 지방정부의 사회복지예산 결정요인 연구: 1995~2003년 광역시.도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24, 5-30.
  41. 진재문. (2010). 지방정부 간 사회복지예산 격차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26(1), 413-431.
  42. 최 영. (2015). 재정분권과 사회복지서비스의 지역 간 불평등. 한국지역사회복지학, 55, 31-59. doi.org/10.15300/jcw.2015.54.4.31
  43. 최영준. (2009). 사회과학에서 퍼지셋 활용의 모색: 퍼지 이상형 분석과 결합 요인 분석을 중심으로. 정부학연구, 15(3), 307-336.
  44. 최인규. (2009). 고령화 사회의 노인복지예산 결정요인 분석. 2009년 한국정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한국정부학회, 103-122.
  45. 통계청. (2019. 9. 27). 2019년 고령자 통계. http://kostat.go.kr/assist/synap/preview/skin/doc.html?fn=synapview377701_3&rs=/assist/synap/preview(2020/7/15).
  46. 통계청. (2020. 6. 30). 2019년 12월말.2020년 5월말 고령인구비율 현황. https://kosis.kr/index/index.do(2020/7/20).
  47. 함영진. (2013). 지방자치단체 복지 노력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노동관련 시.군.구 자체 복지사업 예산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재정논집, 18(1), 25-50.
  48. Ragin, C. (2008). Redesigning social inquiry: Fuzzy sets and beyond. Chicago and London: University of Chicago.
  49. Wildavsky, A. (1961). Political Implications of Budgetary Reform.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21(4), 183-190. doi.org/10.2307/973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