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on the Effects of anxiety over Death on Self-Integration

노인의 죽음불안이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 조성훈 (숭실대학교 프로젝트경영학과)
  • Received : 2021.04.26
  • Accepted : 2021.03.13
  • Published : 2021.11.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death anxiety on the sense of self-integration in the elderly and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ath anxiety and self-integration.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 2020 to November 30, 2020, targeting 254 elderly people aged 65 to 94 who live in elderly-related facilities in Seoul and Gyeonggi-do. As measurement tools, the death anxiety scal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and self-integration scale were used, and Baron·Kenny (1986)'s three-step mediating effect analysis method was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influence of death anxiety on self-integr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results of using the three-stage mediating effect analysis method proposed by Baron and Kenny (1986),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ath anxiety and self-integration, psychological well-being was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effectively and positively deal with the elderly's self-integration problem, the elderly's psychological well-being as well as the elderly's death anxiety must not be overlooked.

본 연구는 노인의 죽음불안이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죽음불안과 자아통합감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 지역 노인 관련 시설에 거주하는 65세부터 94세까지의 노인 254명을 대상으로 2020년 9월 1일부터 같은 해 11월 30일까지 설문을 시행하였고, 측정도구로는 죽음불안 척도, 심리적 안녕감 척도, 자아통합감 척도를 사용하였고, Baron·Kenny(1986)의 3단계 매개효과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죽음불안이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적용한 결과, 죽음불안과 자아통합감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녕감이 완전매개 효과를 갖는 것으로 연구 결과가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노인의 자아통합감 문제를 효과적이고 긍정적으로 다루기 위해서는 노인의 죽음불안과 함께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 역시 간과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밝혔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국어원. (1999). 표준국어대사전. 서울:두산동아.
  2. 권오균. (2008). 노인복지시설 거주 노인의 죽음불안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학회, 41, 27-50.
  3. 김동배, 신수민, 정규형. (2012). 노년기 자원봉사 참여유형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57, 7-28. doi.org/10.21194/kjgsw..57.201209.7
  4. 김명희. (2018). 노인의 죽음불안 및 죽음준비도가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한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정민. (2007). 유머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반추와 희망변인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정순. (1988). 노인의 사회적 활동과 자아통합감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문남숙. (2009). 노인의 죽음준비 및 노화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청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박명선. (2019). 노인의 죽음불안이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우울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9. 박은경. (1995). 죽음불안 측정 도구개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손덕순. (2005). 노인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요인에 관한 연구: 우울감과 심리적 안녕감을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신학진. (2010). 노인의 차별경험이 자아통합감을 매개로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30(2), 551-565.
  12. 오미나. (2003). 재가노인과 시설노인의 자아존중감, 죽음불안 및 우울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장미숙. (2017). 웰다잉 프로그램이 중.장년층의 죽음태도, 자아통합감 및 노후준비도에 미치는 효과.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정미경. (2010). 노년기 적응 유연성에 관한 연구: 상실경험과 자아통합감을 중심으로. 아주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정의정, 변상해. (2012). 웰다잉을 위한 교육이 노인복지 종사자에게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7), pp.215-222. doi.org/10.5392/JKCA.2012.12.07.215
  16. 최금주. (2019). 노인의 영적웰빙이 자아통합과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대구카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최외선. (2007). 노인의 자아통합감과 죽음불안에 대한연구. 한국노인학, 27(4), 755-773.
  18. 통계청. (2020). 2019년 고령자 통계. http://kostat.go.kr(2020/09/31).
  19. 홍경자. (2009). 노인의 자아통합감과 사회적 지지가 삶의 만족과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홍은진. (2010). 장노년기 지원할동 유형과 생성감과의 관계. 한국노년학, 30(2), 515-534.
  21. 홍주연. (2000). 성격과 자아통합감이 노인 회상 기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moderator-mediatorvariable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51(6), 1173-1182.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23. Circirelli, V. G., (2001). Personal meaning of death in older adults and young adults in relation to their fears of death, Death Studies, 25, 663-683. https://doi.org/10.1080/713769896
  24. Deci, E. L., & Ryan, R. M. (1985).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New York: Plenum.
  25.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3), 542-575. https://doi.org/10.1037/0033-2909.95.3.542
  26. Elizabeth Kubler Ross. (1969/2018). 죽음과 죽어감. 이진 역. 서울:청미.
  27. Erickson, E. H. (1963). Childhood and society(2nd). New York:Norton.
  28. Jahoda, M. (1959). Current concepts of positive mental health. New York: Basic Books.
  29. Kubler-Ross, E. (1969). On death and dying: What the dying have to teach doctors, nurse, clergy and their own families. NY: Macmillan.
  30. Michael. A.S. (1979), Dying: facing the facts- social and psychological aspects of dying. N.Y.: Hemisphere Publishing Corporation.
  31. Ryan, R. M., & Deci, E. L. (2001). On Happiness and Human Potentials:A Review of Research on Hedonic and Eudaimonic Well-Being.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2(1), 141-166. https://doi.org/10.1146/annurev.psych.52.1.141
  32. Ryan, R. M., Sheldon, K. M., Kasser, T., & Deci, E. L. (1996). All goals are not created equal: An organismic perspective on the nature of goals and their regulation: In P.M. Gollwitzer, & J. A. Bargh (Eds.), The psychology of action: Linking cognition and motivation to behavior. New York: Guilford Press.
  33. Ryff, C. D. & C. L. Keyes. (1995).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Revisited. Journal of P 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9(4), 719-27. https://doi.org/10.1037/0022-3514.69.4.719
  34.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 i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 1069-1081. https://doi.org/10.1037/0022-3514.57.6.1069
  35. Templer, Donald I. (1970). Th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death anxiety scale Journal of General Psychology; Provincetown, Mass etc, 82, 165. https://doi.org/10.1080/00221309.1970.9920634
  36. Waterman, A. S.(1993). Two conceptions of happiness: Contrasts of personal expressiveness(eudaimonia) and hedonic enjoy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4(4), 678-691 https://doi.org/10.1037/0022-3514.64.4.678
  37. William. Crain. (2000), 발달의 이론, 송길연, 유봉현 역. 서울:시그마프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