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loring the Satisfaction with COVID-19 Prevention Measures and Awareness of the Tourism Crisis for Residents' Tourism Attitude

  • PARK, So-Young (Dept. of Faculty of Data Science for Sustainable Growth at Jeju National University) ;
  • PARK, Joo-Young (Dept.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at Jeju National University) ;
  • KIM, Ji-Won (Dept.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at Jeju National University) ;
  • Chang, Mona (BK21 Social Data Science Research Center at Jeju National University) ;
  • KIM, Mincheol (Dept of Faculty of Data Science for Sustainable Growth, Business, and Economic Research Institute, Jeju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21.04.05
  • Accepted : 2021.07.05
  • Published : 2021.07.30

Abstract

Purpose: The researchers reviewed the previous studies on the psychological anxiety and economic damage during the recent COVID-19 pandemic to understand the satisfaction, awareness and attitude of the residents in Jeju, Korea.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215 samples based on self-reported survey were collected for path analysis focused on controlling variable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PLS-SEM using Smart PLS 3.0. Results: The researchers found the Satisfaction with COVID-19 Prevention Measures and the Awareness of Tourism Crisis affect Attitude toward Tourism of the residents with the explanatory power (R2 = 0.209). Age was found to be the only significant controlling variable in this model for the Awareness of Tourism Crisis to Attitude toward Tourism. Conclusions: The attitude toward tourism is influenced by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the prevention service for COVID-19 as well as the awareness of the crisis. Residents have different level of the tourism crisis awareness by the status of their economic activities while there is no differences in all age groups for satisfaction in the quarantine service. The study suggests that the importance of the public health service should be preferentially concerned for residents to have stable economic activities where the tourism is the major industry.

Keywords

1. 연구의 배경 및 문제제기

관광산업 및 개발에 따른 영향은 일반적으로 경제적, 사회·문화적, 환경적인 요인으로 분류되고 있다(Jung, 2014). 그러나 2019년 말부터 전파되기 시작한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는 사람들의 일상을 완전히 다른 시대로 바꾸었고, 이동이 제한되면서 국내 관광산업이 입은 피해가 4조 원 대의 천문학적인 수치로 예상되면서(Choi et al., 2020), 현재까지도 관광산업의 회복에 어려움을 주는 가장 큰 변수로 떠올랐다. 이처럼 공중 보건 차원에서 국가 간의 감염병 유행은 사회 전반에 걸친 심각한타격을 줌과 동시에, 코로나 바이러스는 중소기업을 포함한 다양한비즈니스 사업에도 타격을 주고 있다(Christian et al, 2021). 그 중에서도 특히 관광산업이 입는 피해는 경제적인 영향과 직결 되어있다.

이미 지난 2002년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과 2015년 중동호흡기증후군(MERS)이 세계 곳곳을 강타한 바 있으며, 특히 국내의 경우 MERS 감염병의 확산으로 2015년 5월부터 7월까지 단기간에 확진자 수가 급증하여, 국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경제활동이 위축되어 국가적으로 상당한 손실이 발생하였으며, 외국인들의 입국을 제한하면서 관광업계는 고전하게 되었다(Kim et al., 2020).

그 외에도 관광산업은 국가 간의 정치적인 이슈로 인해 영향을 받기도 하는데, 지난 2016년 이후 국내 주한 미군의 종 말고 고도지역방어 체계 (THADD)의 배치로 중국 정부는 자국민들에게 한국의 입국을 제한하는 한한령(限韓令)을 내림으로써 양국 간의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Kim et al., 2020), 국내 관광산업은 다시 한파를 맞게 되었다.

당시의 정치적 문제는 국내 관광산업에 심각한 영향을 주었는데, 해당 사건 이후 한국을 가장 많이 방문하던 중국 관광객 수는 급격히 감소하였고, 여행 경비 중 최대 비중을 차지하던 쇼핑매출이 사라지자 관광업계는 직접적인 피해를 입게 되었다(Kim et al., 2020). 이후 국내 관광업체들은 단기에 발생한 피해를 극복하고 장기적인 계획을 모색할 수 있는 대처 방안으로, 개별 관광객에 초점을 맞춘 고급화 및 개인 맞춤형 상품 개발에 주력하는 등 시장의 변화를 위한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 왔다(Song & Kim, 2018; Lee, 2017).

국외 방문객 대상의 관광산업이 채 회복하기도 전인 2019년 말, 전 세계는 COVID-19라는 감염병의 대유행의 조짐이 시작되었다. 그렇게 전 지구를 강타한 신종 바이러스 감염병의 심각성에 대한세계보건 기구(WHO)가 발표한 최신의 통계 자료에 따르면 2021년 5월 25일 현재 전 세계 누적 확진자 수는 1억 6천7백만 명, 사망자 수는 340만 명에 이르렀으며, 같은 날 기준 대한민국의 누적확진자 수는 137, 682명이며, 1, 940명이 사망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World Health Organization, 2021). 이 유례없는 팬데믹 상황은 세계인들을 글로벌 패닉 상태에 빠지게 하여, 두려움으로 몰고 있다(Kim, 2020).

중국의 작은 도시에서 시작된 이 바이러스가 국내는 물론 세계 어느 국가도 그 영향에서 자유로울 수 없을 정도로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가운데, 사람들은 일상생활에서 많은 것들을 희생하고 바꿔야 했으며(Baum & Hai, 2020), 세계 어느 국가에서나 일반인들은 물론 관광산업을 비롯한 많은 경제 주체들이 그 고통과 변화를 겪고 있는 중이다. 코로나19로 인한 국민들의 건강 및 공중보건과 관련된 여러 가지 조치와 이에 따른 일상의 불편함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지만, 관광산업이 겪고 있는 피해는 물론 지역주민들이 체감하는 위기의식과 이에 따른 관광에 대한 태도에 대해 주의를 기울여야 할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Ko et al., 2021).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 코로나19의 위기 상황에 처해있는 관광지 지역주민들이 인식하는 방역 수준에 대한 만족도와 관광 위기에 대한 의식을 기반으로, 각 변수들이 주민들의 관광에 대한 태도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2. 이론적 배경

2.1. 관광 위기 인식

관광위기(tourism crisis)란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위협 상황으로 인해 부정적인 영향을 야기하는 상황으로 정의되며(Lee et al., 2016), 이 외에도 ‘내·외부적 충격에 대한 관광의 취약성이 불러오는 결과’(Yu, 2011), 또는 ‘실제로 다양한 유형의 재난과 위기로 인해 관광지의 이미지 훼손 및 관광객 수요 하락 등을 발생시키는 현상’으로 정의되기도 한다(Farmaki, 2021).

따라서 이러한 관광위기로 인해 세계적으로 환경적인 위험에 처해 있는 관광 산업 분야에 체계적인 접근 방식을 적용하여 상호연결 하고, 관광위기 및 재난에 관련한 관련 연구들을 발전시킬 필요성이 있다(Aliperti, 2020). 또한 관광 목적지의 지역주민은 관광의 긍정적·부정적 효과를 경험하며 생활하고 있기에, 다수의 선행연구에서는 한 지역의 관광 현상에 따른 결과 혹은 관광 효과에 대한 지역주민의 주관적 인식을 관광 영향인식(tourism impact perception)이라 정의하고 있는바(Jung, 2014; Park & Oh, 2020), 관광위기와 더불어 관광 영향 인식에 대한 개념검토를 통해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는 관광위기 인식의 개념을 도출하고자 한다.

관광 영향 인식은 경제, 사회·문화, 환경적 영향으로 구분하며 이를 다시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 측면으로 나누는 것이 일반적이지만(Han, 2018), 지역주민의 관광 영향 인식에 대한 다수의 연구에서는 경제적 측면이 가장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사안으로 강조되어 왔다(Jeong et al., 2017; Olya et al., 2018; Ribeiro et al., 2017).

이와 더불어 재난이나 위기 발생 상황이 환대산업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규명하는 것은 중요한 핵심 주제가 될 수 있기에(Song & Kim, 2018), 관광의 경제적 위기에 초점을 맞춘 관광객의 소비지출, 관광객 수, 관광업체의 지역주민 고용, 외부투자, 관광산업으로 인한 지역주민 소득(Kim & Seo, 2016; Park & Oh, 2019; Yu & Charles, 2018) 등이 주관적인 인식을 평가하기에 시의적절한 척도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관광 위기 인식(Perception on Tourism Crisis)에 대해 ‘갑작스럽게 발생한 위협에 따른 관광산업의 충격에 대한 지역주민의 주관적 인식’이라는 정의에 기초하여, ‘위협’은 현재 진행 중인 ‘코로나19상황’으로, 지역주민의 주관적 인식에 대하여는 관광의 경제적 위기 상황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문제로 조작적 정의를 적용하고자 한다.

2.2. 코로나 19방역과 지역 만족도

본 논문에서는 관광에 대한 지역 주민들의 인식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탐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역 만족도의 구체적인 기준에 대해 지역에서 제공하는 방역 서비스 수준을 변수로 선정하였으며, 이와 관련하여 선행 연구자들이 채택하였던 지역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우선적으로 검토하였다.

주민들이 가지는 지역에 대한 만족도는 거주지 또는 거주지의 지역사회에 대한 만족과 이에 대한 주민들의 태도라고 할 수 있으며, 이는 곧 지역사회에 대한 애착(residential or community attachment)이나 거주지에 대한 만족도(residential satisfaction) 로나타난다(Kang, 2018). 먼저, 지역 애착에 대해 다수의 연구자들은 그 핵심 개념을 장소에 대해 사람들이 갖는 정서적인 유대감이라고 보아, 그 장소가 거주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특정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과 해당 지역(장소) 간의 정서적인 결속력이라고 정의하고 있다(Han & Yoon, 2020). 특히, 지역 애착 변수는 관광산업 및 개발이 지역사회 주민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에서, 관광 모델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여겨져 왔으며, 관광개발에 앞서 지역주민의 참여 및 관광 영향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거나, 그 결과로 발현되는 관광객에 대한 태도 또는 정서에 영향을 주는 주된 심리적 변수로 자주 활용되고 있다(Park, 2021).

지역 애착에 대한 다양한 근거들 중 환경, 특히 거주환경은주민들의 삶의 질이나 만족의 정도와 관계가 있다는 점에서 또 다른 추가적인 요소로 연구되었다(Kang, 2018). 특히, 지역사회의 발달 과정에서 해당 지역이 관광지로 개발되는 경우 그것이 개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에 따라 주민들의 만족도는 달라지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주민들은 경제적, 사회적, 그리고 환경적인 영향의 정도를 주관적인 입장에서 인식하며, 이를 근거로 만족도를 평가하게 된다. 관광 산업 또는 개발이 이루어짐에 따라 주민들이 인식하는 경제적 영향은 일자리 창출과 소득의 변화로 이어지는 지역 경제의 활성화 등의 있으며, 사회적으로는 교통이나 범죄율의 변화에 따른 개별적인 삶의 질의 차이 등이 있고, 환경적으로는 환경 훼손과 오염, 환경 개선 및 환경 보호 등에 관한 내용들이 있다(Jung, & Kang, 2020).

이렇듯 그동안 관광학 분야에 주민들이 인식하는 지역에 대한 만족은 중요한 연구 문제로 다루어졌는데(Park, 2021), 다수의 연구에서 관광개발의 경제적인 영향 가운데에 특히 일자리 창출등의 경제적인 편익의 긍정적인 요인들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보는(Jeong et al., 2017) 반면, 도로, 공항, 항만과 같은 기반시설은 물론 문화 공간, 쇼핑몰 등의 편의시설이 늘어나면서 주민들에게도 다양한 여가생활과 편리함이 제공되어 사회적으로 긍정적인 효과가 더 크다고 보고 있다(Choi & Park, 2018).

한편, (Han & Yoon, 2020)은 지역에 대한 애착의 구성요인을 정체성, 의존성, 그리고 사회적 결속 등 세 가지 요인으로 구분하였는데, 의존성과 사회적 결속은 관광개발에 대한 주민들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반면, 정체성은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를 근거로 지역주민의 편익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지역 애착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하였다.

그 외에 신뢰, 규범, 참여와 같은 무형자산의 사회적 자본의 활성화는 관광개발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주민들의 인식을 감소시켜, 지역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이와 관련된 다양한 정책적인 제안에 대한 필요성도 고려해야 할 요소이다(Jung & Kang, 2020).

지역사회 차원에서 주민들이 가지는 코로나 방역 효과에 대한 유효성은 지자체가 제공하는 정보에 대한 신뢰를 보여주는 결과로 보건 행정에 대한 주민들의 만족을 이끌어냄과 동시에 방역수칙을 준수하도록 인도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Pavela Banai et al., 2020; Prasetyo et al., 2020). 비록 정부의 방역정책에 대한 만족도가 코로나19에 대한 감염 가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는 결과로 이어지지는 않았으나, 정부기관의 대응 자세에 대한 국민들의 만족도에는 유의하게 영향을 준다(Kim, 2021)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주민들의 관광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중 지역 만족도를 구성하는 다양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최근 우리 일상생활에서 가장 우선순위로 고려되는 코로나19 관련방역에 대한 만족도와 ‘관광위기’에 직면한 지역주민들의 심리적인 인과관계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찾아보기 힘들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주민들의 지역에 대한 만족 요인을 고려하는 과정에서 현 위기 상황의 맥락에 연관 지어 좀 더 구체적으로 관광 위기에 대처하는 지역의 코로나19 방역 서비스 등 보건 행정에 대한 만족도를 조작적 정의로 삼아 방역 수준에 의해 영향 받는 주민들의 관광에 대한 태도를 검증하고자 한다.

2.3. 코로나19와 관광 위기

2020년 1월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코로나 바이러스 전염병(COVID-19) 발병에 대해 국제적인 보건 비상사태라고 선언하며 권고안을 발표하였다(World Health Organization, 2020; Foo et al., 2020). WHO의 권고안에 따른 국가 간 이동의 제한이 현실화되자, COVID-19으로 인한 피해는 관광산업, 특히 국제 관광에 막대한 타격을 입게 되었다.

이러한 관광 산업 피해 지역 중에서도 특히 외국인 관광객의 출입이 자유로운 관광지의 경우, 관광산업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지역 주민들의 태도를 보살피고, 지속적인 지원을 유지하기 위한 행정적 제도들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Schumann, 2021). 국내의 대표적인 섬 관광지인 제주도의 경제에서 관광 산업이 포함된 3차산업이 차지하는 비율은 70%가 넘고 있어, 코로나19로 인해 많은 경제적인 피해를 입었지만, 아이러니하게도 국외 여행이 어려워진 상황에서 제주도는 국내 여행객들의 발길은 끊이지 않고 있다(Chang & Lim, 2021). 반면 관광 산업이 국가 경제의 주요산업인 말레이시아의 경우,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인 난관에 대한 심각성은 국가 산업인 항공업계는 물론 대기업이 참여하는 호텔업종 등에 연쇄적인 악순환에 대비하기 위하여, 관광업계의 실업대란을 준비하는 중앙 정부 차원의 긴급 경비 부양책을 내놓은 실정이다(Foo et al., 2020).

그러나 국내 관광 산업의 현황을 관광지 주민의 시각에서 바라본다면, 코로나19의 전파를 막기 위한 역학적인 방안책으로 사회적 거리 두기(Social distancing)가 적극적으로 권장되는 가운데(Binjeong, 2021), 내국인 관광객의 지속적인 유입은 심리적인 불안감 및 개인 신체활동의 제약으로 인한 부작용과 맞물려, 관광지 주민들의 불안감을 더욱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Ko, 2020).

이러한 부작용이 상당 기간 쌓이면 만성적인 스트레스로 자리 잡아 주민들의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이것은 자연재해 등의 피해를 입은 주민들의 삶의 질 저하 연구들과 유사한 패턴을 보이고 있으며(Kim, 2020; Satici et al., 2020), 코로나19 위기로부터 느끼는 위협과 제약이 관광개발을 대하는 주민들의 태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지만, 방역수칙 준수와 같은 사회적 책임을 요구하는 주민들의 공동체 의식의 강화가 관광 개발에 대한 주민들의 기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도한다(Ko et al., 2021)는 연구 결과를 통해서도 위기의식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 모형의 설계에 앞서, 코로나19의 위기 상황에서 주민들이 인식하는 관광 산업이 직면하고 있는 피해를 측정하는 척도의 기준을 관광학 관점에서 더욱 구체화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관광의 영향에 대하여 긍정적인 부분은 편익(benefit)으로 보고, 그 반대되는 개념은 비용(cost)으로 기술되는데(Baum & Hai, 2020; Qui et al., 2020), 본 연구에서는 관광의 경제적 편익 즉, 관광객의 증가에 따른 관광 수입과 지출, 일자리, 그리고 투자 창출 및 사업 기회 증가 등에 대한 반대 급부를 비용이라고 보아 관광위기 인식으로 정의하여 연구에 활용하고자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선행 연구들을 근거로 제주도 관광산업의 위기 영향 인식과 방역 수준에 대한 만족도가 주민들의 관광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검증하고, 나이, 성별, 거주 기간 등의 인구통계학적 특성들이 그 영향 관계에서 통제변수로 작용하는지의 여부를 분석하고자 한다.

3. 데이터 분석

3.1. 연구모형 및 가설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Covid-19) 상황에서 지역 주민의 방역에 대한 만족 수준과 지역 주민의 관광위기에 대한 인식이 어느 정도 관광에 대한 태도에 영향과 대상자들의 인구통계학적 변인들이 통제 변수로써 작용을 하는지 확인해 보고자 다음과 같이 연구의모형을 설계하였다.

상기 연구 모형을 바탕으로 설정한 연구의 기본 가설은 다음과 같다.

H1: 코로나 방역에 대한 지역 주민들의 만족도는 관광에 대한태도에 영향을 미친다.

H2: 관광위기에 대한 지역 주민들의 인식은 관광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

H1에서의 코로나 방역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만족도가 관광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는 (Ko, 2021)에서 측정한 설문 항목을 근거로 제시하였다. (Ko, 2021)에서는 코로나19에 대한 염려와 지각, 위협 여부, 코로나 발발 이후 변화한 일상생활 등의 문항들을 채택하여 잠재변수로 코로나19위험 제약을 잠재변수로 채택하였고, 이는 ‘지역 관광 개발 지지와 참여 의지’로 정의된 관광 개발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밝혀냈다.

H2에서 관광위기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인식이 관광에 대한태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는 (Park & Oh, 2019)에서 밝힌 관광 영향인식이 관광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근거로 제시하였으며, (Han et al., 2018)에서도 관광 영향 인식이 관광개발지지 의사에 영향을 미친다고 밝힌 바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지역 주민들의 인식하는 코로나 방역에 대한만족도와 관광위기에 대한 인식이 인구통계학적 변수(나이, 성별, 거주 기간)에 따라 다르다는 가설을 연구 문제로 제시하였다. 이는 하나의 통제 변수(Control variable)로서 최종 변수인 관광에 대한태도에도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구조방정식에서 통제변수(controlling variables)는 연구자가 실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간의 관계 밖에서 연구의 분석 목적에 따라 남녀의 성별과 같이 성별의 어느 한 쪽만 적용하여 차이를 구할 때와 같이 연구 모형의 테두리 밖에서 통제가 가능한 경우도 있으며, 연령과 같이 연구모형 안에 포함시켜 주요 변수들 간의 통계 값에 영향을 주는지를 구할 수 있는 경우도 있고(Becker, 2005; Yu, 2015), 매개변수로 역할을 하기도 한다(Moksnes & Espnes, 2013). 통제변수는 종속변수와의 관련성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토대로 사용된다면(Becker, 2005; Yu, 2015), 연구 모형 안에서 실제 독립변수의 영향력을 살필 수 있는 유용한 계기가 될 것이다(Russo & Stol, 2021). 따라서 이러한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설계한 가설 설정은 다음과 같다.

H3: 코로나 방역에 대한 지역 주민들의 만족도는 인구통계학적 변수들(나이, 성별, 지역 거주 기간)에 영향을 받는다.

H4: 관광위기에 대한 지역 주민들의 인식은 인구통계학적 변수들(나이, 성별, 지역 거주 기간)에 영향을 받는다.

본 통제변수에 대한 가설에 대한 근거는 다음과 같다. H3은 통제변수로서 인구통계학적 특성(Age, Gender, Residential Period)이 Satisfaction)이 코로나 방역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는 (Kim, 2020)에서 코로나 방역에 대한 스트레스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의 영향을 받는다는 연구결과를 도출 한 바 있으며, (Russo & Stol, 2021)에서는 성별, 연령 등과 같은 통제변수는 실제로 독립변수 역할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선행연구를 근거로 설정하였다.

H4는 관광위기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인식은 인구통계학적특성(Age, Gender, Residential Period)이 Satisfaction)에 영향을 받는지 알아보기 위함이고, 이는 (Jeoug et al., 2017)에서 지역주민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들은 지역 애착도 및 관광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Park, 2021)에서는 지역주민중 에서도 밀레니얼 세대(20, 30)의 관광에 대한 인식과 지역애착도가 관광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도출한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이러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영향을 받는 변수들 간의 관계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OTGHCA_2021_v12n7_27_f0001.png 이미지

Figure 1: Research Model

3.2.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설문 측정 항목

앞에서 제시한 연구 모형 검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자기기입식의 설문지를 준비하였으며, 사회적 거리 두기 수칙 준수를 위하여 온라인(모바일) 설문조사 방법을 채택하였다. 본 연구모형의 변수 선정에 바탕이 되는 참고문헌 및 기본적 내용은 이론적 고찰에서 기술한 바대로 제시하였으며, 각 요인들에 대한 상세한 측정도구(Questionnaire items)는 아래의 Table 1에서 기술하고 있다..

본 연구의 변수들은 리커트(Likert) 5점 척도로 측정 하였으며 (1=전혀 아니다; 5=매우 그렇다), 각 변수들의 측정항목은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신뢰성과 타당성이 입증된 측정항목들에 기초하여 본 연구 상황에 맞게 조정하였다.

3.3. 데이터 분석

본 연구의 설문 응답자는 제주 지역 주민들 중 20세 이상의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하였다. (park, 2021)에서는 최근 제주지역이 코로나로 인해 이동 제한, 사회적 거리 두기 등 많은 제약조건으로 지역주민들이 관광객 들에 대해 부정적 시각을 가지고있지만, 이러한 전염병 확산에도 여전히 관광객의 방문은 빈번하게 발생하며, 이로 인해 발생하는 관광 인식과 관광에 대한 태도에대한 영향 관계를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또한 경제적, 사회문화적, 환경적으로 가장 많은 영향을 받는 세대는 밀레니얼 세대(20-30대)라고 하였으며, 이 세대는 2008년에 있었던 글로벌금융위기 후 일자리 감소, 삶의 질 저하, 고용불안 등을 겪었고, 환경적 상황에 가장 영향을 많이 받는 세대라고 정의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향후 제주 관광산업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직접적인 여파를 겪을 세대인 20세 이상을 기준으로 하되, 40-60대 이상의 데이터도 확보하여 각 연령별 특성에 대한차이를 연구하였다. 사전 설문을 통한 문항별 이해도를 확인한 후 250개의 샘플을 목표로 데이터 수집을 했으나, 코딩이 불가능한 부실 응답을 제외하여 최종 유효 표본 수는 215개가 선정되었다. 해당 응답자들의 인구통계학적 빈도 분석의 결과는 다음의 Table 1과 같다.

Table 1 : Questionnaire Items

OTGHCA_2021_v12n7_27_t0001.png 이미지

여기서 남녀의 비율이 거의 유사하므로 통제 변수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이 된다. 또한 나이의 경우 20대 비율(47.4%)이 높고, 다음으로 40대 비율(19.5%), 30대(14.9%)의 순으로 나타났다. 거주 기간은 20년에서 30년 사이의 거주 기간(47.9%)이 가장 높게 나왔다.

실제로 관광에 대한 영향 인식과 관광지 개발에 대한 여러 분야에서 조사를 실시할 때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지역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것이 중요하다(Ko, 2011).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제주지역주민들의 관광위기 인식과 방역 수준 만족도, 관광에 대한 태도 등을 조사하기 위하여 제주에 거주한 지 얼마나 되는지를 판별할 수 있는 지역주민 거주 기간을 항목으로 추가하였다.

Table 2: Demographic Analysis

OTGHCA_2021_v12n7_27_t0002.png 이미지

본 연구에서는 SmartPLS 방법론을 사용하여 분석을 진행 하였다. SmartPLS는 회귀 분석을 더욱 유용하게 할 수 있고, 표본의 크기나 데이터 분포 제약 없이 분석을 가능하게 하며, 잠재변수의 신뢰성여부를 내적 일관성(internal consistency)을 통해 판별한다(Seong & Kim, 2019). 이에 따른 상기 표본의 설문 데이터 결과에 대한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결과를 보면 모든 변수의 신뢰도(Reliability) 검증 결과는 크론바흐 알파(Cronbach's Alpha) 계수가 0.7 이상으로 산출이되었고, 복합 신뢰성(Composite Reliability: CR)은 모두 0..8이상을 보여,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타당성(Validity) 검증에서는 평균 분산추출(Average Variance Extracted: AVE)은 0.5보다 큰 값을 유효한것으로 인정(Hair et al., 2020) 하고 있으므로, 각 문항의 측정값들은 기준치를 충족하고 있다. 여기서 통제 변수(Age, Gender, Residence period)는 단일 척도(single item)이므로 분석에서 제외되어 있다.

Table 3: Summary of Convergent Validity and Reliability

OTGHCA_2021_v12n7_27_t0009.png 이미지

Table 3에서 관광위기 인식 요인 중 외부적 재치(Outer loadings)가낮은 1개 항목(TCP 4)을 제외한 4개 항목만 고려되었고, 나머지 항목은 모두 그 기준을 충족하여 분석에 포함되었다. Table 4에서는 아래와 같이 측정도구의 개념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요인 별 AVE 제곱 근이 다른 요인들과의 상관계수보다 크게 산출이 된 것이 확인되었으므로, 판별 타당성을 확보했다고 볼 수 있다.

Table 4: Correlation Analysis for Discriminant Validity

OTGHCA_2021_v12n7_27_t0003.png 이미지

Note: Items on the diagonal (in bold) represent the square root of AVE scores

3.4. 가설 검증

본 연구에서는 SmartPLS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최소자승법구조방정식(PLS-SEM: Partial Least Squares-Structural Equation Modeling)으로분석하였다(Ringle et al., 2012). PL-SEM방식은 다중회귀분석 방식과 유사하며, 측정 변수를 통한 잠재변수 중심의 연구 모델에서 적은 수의 표본에 적합한 분석 방법으로, 일반적인 필요 표본이 잠재변수의 20 배를 을 경우 유효한 결과를 제시해 준다(Kock, & Hadaya, 2018).

또한 PLS-SEM방법론은 변수와 가설간의 관계를 명확히 분석 할수 있다(Nurfarida et al, 2021).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잠재변수(요인)는 총 6 개이며, 수집된 데이터는 최소 표본 수(120명)를 초과하므로 유효한 분석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음의 Figure 2는 본 연구모형에 대한 각 요인들 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분석 결과이다.

OTGHCA_2021_v12n7_27_f0002.png 이미지

Figure 2: Result of Research Model Using PLS-SEM

우선 조정된 R2(adjusted R Square) 값은 0.195로 전체 구조모형(관광 위기의식 및 방역 수준 만족도 그리고 관련통제변수들이 관광 태도)에 대한 설명력이 대략 20%로 나타나 어느 정도의 설명력을 보여주고 있다고 볼 수 있다.

Table 5: Adjusted R2

OTGHCA_2021_v12n7_27_t0010.png 이미지

또한 모형의 적합도는 SRMR 및 NFI 척도로 기준을 충족하고 있어서 가설 검정의 결과는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Table 6: Model Fitness Level

OTGHCA_2021_v12n7_27_t0004.png 이미지

이외에 Table 7은 각 설문 항목들 간의 상관성을 측정한 분산팽창지수(VIF: variance inflation factors)를 통해 다중공선성(Multicollinearity)을 확인 한 결과이다. 즉 대부분 5미만이고, 2와 3를 중심으로 분포가 되어 있어 변수 간의 다중공선성은 없다고 볼 수 있다. 분산 팽창지수는 직교데이터보다 다중 공선 데이터에 대해 대상 변수가 몇 배 더 클지에 대한 측정값을 제공하는 지표로써, VIF가 1을 기준으로 1보다 비정상적으로 크지 않으면 다중 공선성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Ramayah et al., 2018).

Table 7: Variance Inflation Factors

OTGHCA_2021_v12n7_27_t0005.png 이미지

본 연구에서 PLS-SEM 분석을 통해 증명하고자 하는 전체 가설에 대한 검정 결과는 다음의 Table 8과 같이 산출이 되었다.

Table 8: Hypotheses Analysis Results(Dependent Variable: Attitude Toward Tourism)

OTGHCA_2021_v12n7_27_t0007.png 이미지

* p<0.1, ** p<0.05, *** p<0.01

Table 8은 가설에서 제시한 각 경로들의 효과에 대한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가설 1(코로나 방역에 대한 지역 주민들의만족도는 관광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과 가설 2(관광위기에 대한 지역 주민들의 인식은 관광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 의경우 모두 1%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여, 본 연구의 가설이 채택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지역에서 제공하는 코로나 방역에 대한 만족도가 높고, 관광 위기를 의식하는 정도가 높을수록 관광 산업을 지지하려는 긍정적인 태도를 가진다고 해석할 수 있다.

가설 3은 나이, 성별, 그리고 거주 기간의 주요 인구통계학적변인들을 통제변수로 설정하여, 독립변수인 코로나 방역에 대한만족도에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하였다. 결과적으로 지역주민들의 나이, 성별 및 거주 기간은 지역 코로나 방역 만족도를 통제하는 변수로 작용하지는 않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없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가설 4의 관광 위기의식에 대해, 동일한 통제변수들의 t 값이 가설 3의 분석 결과보다 높았으며, 이들 중 특히 연령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여, 본 연구의 가설 4-1은 채택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곧 주민들의 연령에 따라 코로나19라는 전 지구적인 위기 상황에서 경제적인 측면의 관광 산업이 직면한 위기의식을 인식 정도에 영향을 받는다고 해석된다. 그러나 성별과 거주 기간에 대한 경로의 통계치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4-2와 4-3은 기각되었다.

연구 모형의 가설 설정 부분에서 설명 한 것과 같이, 본 연구에서의 통제변수들이 일종의 독립변수로서의 역할을 한다고 보아, 관광 위기 인식을 매개로 하여 지역주민들이 가지는 관광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에도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통제변수의 효과 여부는 아래의 Table 9에 나타난 간접효과(Indirect effect) 분석 결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Table 9: Indirect Effect

OTGHCA_2021_v12n7_27_t0008.png 이미지

* p<0.1, ** p<0.05, *** p<0.01

앞서 가설 4에서 세 가지 통제 변수 중 연령 변수가 통제변수로써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준 바와 같이, 간접효과에서도 연령은 관광 위기의식의 영향을 받아, 지역 주민들이 가지는 관광에 대한 태도에 유의미한 통계치를 도출하였다. 그러나 이와는 대조적으로 가설 1을 통해 코로나19 방역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가 주민들의 관광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준다는 가설이 증명되었음에도, 연령 변수가 통제된 경우, 해당 경로(Age → Satisfaction with COVID-19 Prevention Measures → Attitude toward Tourism)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수치(P = 0.829)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코로나19 방역에 대한 지역주민의 만족도와 지역 경제에 피해를 주는 관광에 대한 위기의식은 관광산업을 지지하는 주민들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며, 인구통계학적 변수들 중 연령 변수는 코로나19 방역서비스 만족도를 통해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은 없으나 주민들의 관광위기의식을 통한 종속변수에는 영향을 준다는 종합적인 분석 결과로 요약될 수 있다.

4. 결론 및 연구의 한계점

4.1.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코로나(Covid-19) 위기 상황에서 지역 주민들이가지는 방역에 대한 만족도와 관광 산업의 경제적 피해 의식으로 대표되는 관광 위기에 대해 지역 주민들이 관광에 긍정적이고적극적인 태도를 보이는 데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 지역은 제주도와 그 지역 주민들로한정하였지만, 국내 최대 관광지이며 주민들의 대다수가 관광산업에 어느 정도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서 유의한 시사점을 밝혀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SmartPLS version 3.0을 통해 최소자승법의 구조방정식의 방법을채택하여 지역 주민 215명의 대상 표본에 대해 각 잠재변수들의 영향 관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해 본 결과, 코로나19 방역에 대한만족도가 높고, 관광 위기의식이 민감할수록 제주 관광 산업에 기여하려는 긍정적인 태도를 보인다는 것이 밝혀졌다. 특히 나이, 성별 및 제주 내의 거주 기간 등을 통제변수로 적용하였을 때 코로나 19 방역에 대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연령 변수는 지역주민들이 가지는 관광 위기의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나아가 관광 산업에대한 지역 주민들의 긍정적인 태도에까지 영향을 준다는 결과를 이끌어 내었다.

따라서 제주 지역 주민들의 관광 위기 인식은 인구 통계학적변인 중 특히 연령에 따라 각각 다르게 느낀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더불어 관광에 대한 태도도 다르게 나타난다는 결론을내릴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진행 중인 감염병 확산에 대한 심리적인불안을 어느 정도 가지고 있는 주민들이 가장 직접적으로 체감할수 있는 관광객 수, 일자리, 그리고 수입 감소 등 제주도 경제전반에 영향을 받는 관광 산업에 대한 위협을 ‘관광 위기’라고 보아, 협의의 관광 위기의식을 연구 모형의 주요 변인으로채택하였다. 또한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의 변화에 대해 첛저한방역 수칙 준수를 권고 받는 주민의 입장에서, 정부 기관-지역사회-개인 사업장 등에서 제공받는 방역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시의 적절함 등에 대해 만족하고 있는지, 이러한 복합적인 상황아래에서 어떠한 요인들이 관광 산업을 지지하는 태도에 영향을 주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코로나 상황에서의 주민들의 심리적불안과 직간접적인 경제적 피해의 갈등을 해결하고자 하는 관광정책 방안의 모색을 위한 데이터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며, 제주지역의 코로나 방역에 대한 도민들의 만족도와 수요를 가늠할 수 있는 근거 자료가 될 것이다.

또한 구조방정식에서 적용 사례가 많지 않은 통제변수(Yu, 2015)에 대해 연령 변수의 투입 여부에 따라 지역의 코로나19 방역 서비스에 따른 주민들의 관광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이달라진다는 결과가 도출되어, 현 관광위기 상황에서 코로나19 방역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전 연령대를 불문하고 주민들의 관광에 대한 지지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지방정부의 정책 현안에서 가장 우선시 되어한다는 부분을 강조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코로나19의 확산에 따른 감염병 예방 차원의 ‘사회적 거리 두기’ 단계 조정에 따른 국민들의 삶의 질 만족연구에서도 연령별 차이가 중요한 매개 역할(Choi et al., 2021)을하였으며, 및 십대 들의 자존감 및 삶의 만족도 연구에서도 유의함이 검증된 주된 매개변수였다 (Moksnes & Espnes, 2013) 는점에서, 코로나19 방역 서비스는 연령대별 혹은 세대별 만족도가다른 여타의 공공 서비스의 역할과 다르다는 점을 주목해야 할것이다.

특히 제주도와 같이 관광 산업에 의존하면서도 본토와 분리된 섬으로 외부 유입 인구에 대해 지역주민들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지역의 경우, 현재와 같은 위기 상황에서 지자체의 방역 정책에 대해 믻고 만족하는 사회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은 현 사태에 직면한 ‘관광 위기’에 대한 불안감을 낮추는 최우선의 안정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연령에 따른 관광 위기의식의 차이는 그 정의를 경제적인 피해로 구체화했다는 점에서, 각 연령대별 고용불안이나 매출 감소 등의 더욱 세분화된 피해 상황에 대한 심층 조사와 시의 적절한 지원 등이 풀어야 할 과제로 남아 있음을 시사해 준다고 해석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기한 문제들에 대해 향후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서 관광 산업에 대한 주민들의 지지도를 높이기 위해 계층별, 연령별로 제공할 수 있는 폭넓은 감염병 예방 서비스의 만족도를 제고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현재 코로나19가 발발 된 이후 그에 따른 이론적 근거를 제시한 논문들을 다양한 분야에서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섬 관광지라는 특성을 고려하여 작성되었지만, 코로나19를 겪고 있는 다양한 지역에서 더 방대하고 다양한 연구결과로 발전 시킬 수 있는 선행 연구가 될 것이며, 이는 특색적인 학술연구의 가치로 자리매김하게 될 것이다. 또한 Post 코로나에 대비할 수 있는 직접적인 학술 자료가 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4.2. 연구의 한계점

본 연구는 제주도민을 모집단으로 하여 수집된 표본의 수가 200여 개로 많지 않으며, 적은 인구들이 상대적으로 넓게 분포되어있는 제주도 전역을 대상으로 하지 못하였다는 점에서 제주도 전체 인구 또는 타지역을 아울러 일반화하기는 어렵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비록 성별과 거주 기간의 영향은 밝혀내지 못하였지만, 더욱 큰 표본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진다면, 본연구에서 적용한 것 이외에도 민감한 통제변수들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관광 위기에 대한 인식을 경제적인 측면에서만 고려하였던바, 사회・문화 또는 환경적인 차원에서 위기라고 인식되는 요인도 연구의 대상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향후에는 제주도 권역 별 또는 세부 산업 군 별 다양한 계층의 샘플을 확보하여, 다각도의 관광 정책 제안이 도출될 수 있도록 심화된 분석 기법을 시도해 보는 것이 필요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References

  1. Aliperti, G., Sandholz, S., Hagenlocher, M., Rizzi, F., Frey, M., & Garschagen, M. (2019). Tourism, crisis, disaster: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Annals of Tourism Research, 79, 102808. https://doi.org/10.1016/j.annals.2019.102808
  2. Baum, T., & Hai, N. T. T. (2020). Hospitality, tourism, human rights and the impact of COVID-19.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mporary Hospitality Management, 32(7), 2397-2407. https://doi.org/10.1108/IJCHM-03-2020-0242
  3. Binjeong, D. (2021). Prediction of the Corona 19's Domestic Internet and Mobile Shopping Transaction Amount. Journal of Economics Marketing, and Management, 9, 1-10.
  4. Chang, M. N., & Lim, H. S. (2021). Structural Relations of Positive Tourism Impacts on Residents Attitude and Support for Tourism Development in Jeju. Journal of Tourism & Industry Research, 41, 13-26.
  5. Choi, I., Kim, J. H., Kim, N., Choi, E., Choi, J., Suk, H. W., & Na, J. (2021). How COVID-19 affected mental well-being: An 11-week trajectories of daily well-being of Koreans amidst COVID-19 by age, gender and region. PloS one, 16(4), e0250252.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250252
  6. Choi, J. E., & Park, E. K. (2018). Influence of Tourism Development Impact on Local Resident's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 Focused on the residents of regions where have been promoted tourism development in Eastern Coast of Korea -. Tourism Research, 43(1), 255-273. https://doi.org/10.32780/KTIDOI.2018.43.1.255
  7. Choi, J. W., Choi, Y. T., & Zhou, W. (2020). Analysis on the Current Situation of Tourism Industry and Countermeasures According. Tourism Management Research, 96, 29-48. https://doi.org/10.18604/tmro.2020.24.3.2
  8. Christian, M., Dewi, D., Rembulan, G. D., Indriyarti, E. R., WibowoI, S., & Yuniarto, Y. (2021). Business Performance Determinants of Salted Fish Distribution in Kapuk During the COVID-19. Journal of Distribution Science, 19(6), 29-39. https://doi.org/10.15722/JDS.19.6.202106.29
  9. Farmaki, A. (2021). Memory and forgetfulness in tourism crisis research. Tourism management, 83, 104210. https://doi.org/10.1016/j.tourman.2020.104210
  10. Foo, L. P., Chin, M. Y., Tan, K. L., & Phuah, K. T. (2020). The impact of COVID-19 on tourism industry in Malaysia. Current Issues in Tourism, 1-5.
  11. Hair Jr, J. F., Howard, M. C., & Nitzl, C. (2020). Assessing measurement model quality in PLS-SEM using confirmatory composite analysi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109, 101-110. https://doi.org/10.1016/j.jbusres.2019.11.069
  12. Hair, J. F., Risher, J. J., Sarstedt, M., & Ringle, C. M. (2019). When to use and how to report the results of PLSSEM. European business review, 31(1), 2-24. https://doi.org/10.1108/EBR-11-2018-0203
  13. Han, S. H., & Yoon, D. H. (2020). The influence of residents' community attachment on attitudes and development support : Focused on the Eodeungsan tourism development project in Gwangju.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34(9), 21-35.
  14. Han, J. S., Moon, H. C., & Yoon, J. H. (2018). Moderating Effect of Attach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s' Perception Toward Tourism Development and Willingness to Support. Journal of Tourism Sciences, 42(10), 93-109. https://doi.org/10.17086/jts.2018.42.10.93.109
  15. Jeong, Y. R., Jung, S. M., & Kang, S. K. (2017). The impact of community attachment on tourism development in urban tourism.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31(7), 21-38. https://doi.org/10.21298/IJTHR.2017.07.31.7.21
  16. Jung, S. H. (2014). The Relationships between Residents' Perceptions of Impacts of Tourism Development and Support for the Development: The Case of Tourism Regions in Jeju Island. The Tamna Culture, 47, 253-277.
  17. Jung, S. M., & Kang, S. K. (2020). The Effects of Residents' Negative Tourism Development Impact Perceptions on Their Local Satisfaction and Attitudes toward Development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Journal of Region & Culture, 7(1), 127-152. https://doi.org/10.26654/iagc.2020.7.1.127
  18. Kang, H. J. (2018).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ctancy Disconfirmation for the Local Government Service and Residents'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Trust in Government.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52(2), 67-99. https://doi.org/10.18333/kpar.52.2.67
  19. Kim, C. S. (2020). The tourism crisis caused by the virus and the resilience of disaster recovery in the tourism industry. Tourism Policy, (79), 62-67.
  20. Kim, D. J., Choi, H. J., Cho, H. K., & Kim, K. Y. (202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tourism industry of Post-COVID-19 pandemic. Korean Journal of Hospitality & Tourism, 29(4), 129-144.
  21. Kim, S. B., & Seo, J. W. (2016). The relationship of tourism crisis impact,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 Focusing on the MERS-coV crisis.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30(11), 109-119.
  22. Kim, S. D. (2021). The impact of Individualization of COVID-19 risk on the Possibility of infection: Analysis of mediating effect on satisfaction of K-prevention policy and government agency response. Journal of Public Society, 11(1), 5-40. https://doi.org/10.21286/jps.2021.02.11.1.5
  23. Kim, S. Y. (2020). A convergence study of stress caused by the epidemic of COVID-19, quality of life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1(6), 423-431. https://doi.org/10.15207/JKCS.2020.11.6.423
  24. Ko, K. S. (2011). Residents' Perceptions toward Marine Tourism Development: a Case of Jinhae in Changwon city.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25(2), 41-54.
  25. Ko, D. W., Lee, S. H., & Jung, S. J. (2021). Structural Influences of COVID 19 Pandemic on the Psychological Sense of Community and Attitudes to Regional Tourism Development. Leisure Tourism Research, 34, 5-27.
  26. Ko, K. W. (2020). Physical activity guideline for social distancing during COVID-19. Korean J Health Educ Promot, 37(1), 109-112. https://doi.org/10.14367/kjhep.2020.37.1.109
  27. Kock, N., & Hadaya, P. (2018). Minimum sample size estimation in PLS-SEM: The inverse square root and gamma-exponential methods. Information Systems Journal, 28(1), 227-261. https://doi.org/10.1111/isj.12131
  28. Lee, J. M. (2017). Korea's THAAD Deployment and China's Retaliation -Implication for China's Obligation under the GATS-.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Economic Law, 15(2), 7-42. https://doi.org/10.46271/kjiel.2017.07.15.2.7
  29. Lee, Y. T., Lee, K. A., & Oh, E. B. (2017). The Influence of Policy PR on Policy Literacy and Policy Support in Tourism Crisis Management Policy : A Case of Outbound Travel Safety Policy. Journal of Tourism and Leisure Research, 28(9), 63-82.
  30. Moksnes, U. K., & Espnes, G. A. (2013).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in adolescents-gender and age as potential moderators. Quality of Life Research, 22(10), 2921-2928. https://doi.org/10.1007/s11136-013-0427-4
  31. Nurfarida, I. N., Sarwoko, E., & Arief, M. (2021). The Impact of Social Media Adoption on Customer Orientation and SME Performance: An Empirical Study in Indonesia.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8(6), 357-365. https://doi.org/10.13106/JAFEB.2021.VOL8.NO6.0357
  32. Olya, H. G., Alipour, H., & Gavilyan, Y. (2018). Different voices from community groups to support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at Iranian World Heritage Sites: evidence from Bisotun. Journal of Sustainable Tourism, 26(10), 1728-1748. https://doi.org/10.1080/09669582.2018.1511718
  33. Park, J. E. (2021). A Study on the Regional Attachment, Tourism Perception, and Attitude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in Jeju Island. Master's thesis. Jeju, Korea: Master's dissertation,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Korea.
  34. Park, J. Y., & Oh, S. H. (2019). A Study on the Residents' Tourism Impact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Tourists: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Tourism Development Support. Journal of Tourism and Leisure Research, 31(12), 21-43.
  35. Park, J. Y., & Oh, S. H. (2020). The Relationship of the Residents' Tourism Impact Perception and Destination Social Responsibility. Journal of Tourism and Leisure Research, 32(9), 79-96. https://doi.org/10.31336/JTLR.2020.9.32.9.79
  36. Pavela Banai, I., Banai, B., & Miklousic, I. (2020). Beliefs in COVID-19 conspiracy theories predict lower level of compliance with the preventive measures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by lowering trust in government medical officials. https://doi.org/10.31234/osf.io/yevq7
  37. Prasetyo, Y. T., Castillo, A. M., Salonga, L. J., Sia, J. A., & Seneta, J. A. (2020). Factors affecting perceived effectiveness of COVID-19 prevention measures among Filipinos during enhanced community quarantine in Luzon, Philippines: Integrating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and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International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s, 99, 312-323. https://doi.org/10.1016/j.ijid.2020.07.074
  38. Qiu, R. T., Park, J., Li, S., & Song, H. (2020). Social costs of tourism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nals of Tourism Research, 84, 102994. https://doi.org/10.1016/j.annals.2020.102994
  39. Ramayah, T., Cheah, J., Chuah, F., Ting, H., & Memon, M. A. (2018). Partial least squar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PLS-SEM) using smartPLS 3.0: An updated guide and practical guide to statistical analysis(2nd ed.). Kuala Lumpur, Malaysia:Pearson.
  40. Ribeiro, M. A., Pinto, P., Silva, J. A., & Woosnam, K. M. (2017). Residents' attitudes and the adoption of pro-tourism behaviours: The case of developing island countries. Tourism Management, 61, 523-537. https://doi.org/10.1016/j.tourman.2017.03.004
  41. Ringle, C. M., Sarstedt, M., & Straub, D. W. (2012). Editor's comments: a critical look at the use of PLS-SEM in" MIS Quarterly". MIS quarterly, 36(1),12.
  42. Russo, D., & Stol, K. J. (2021). PLS-SEM for Software Engineering Research: An Introduction and Survey. ACM Computing Surveys (CSUR), 54(4), 1-38. https://doi.org/10.1145/3447580
  43. Satici, B., Gocet-Tekin, E., Deniz, M. E., & Satici, S. A. (2020). Adaptation of the Fear of COVID-19 Scale: Its association with psychological distress and life satisfaction in Turkey. International Journal of Mental Health and Addiction, 1-9.
  44. Schumann, F. R. (2021). Monitoring changes in resident attitudes toward tourism development in small island destinations What comes next in a post-COVID world?. Journal of Global Tourism Research, 6(1), 61-66. https://doi.org/10.37020/jgtr.6.1_61
  45. Seong, B., & Kim, T. (2019).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Company Growth using PLS Structural Equat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9), 209-219.
  46. Song, M. K., & Kim, S. H. (2018). Examining the effects of National Disasters on the Hospitality Industry in Korea. Tourism Research, 33(4), 219-236.
  47.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0). A joint statement on tourism and COVID-19: UNWTO and WHO call for responsibility and coordination. Retrieved May 23, 2021 from https://www.who.int/emergencies/diseases/novel-coronavirus-2019.
  48.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1). WHO Coronavirus (COVID19) Dashboard. Retrieved May 27, 2021 from https://covid19.who.int/.
  49. Yu, C. P., Cole, S. T., & Chancellor, C. (2018). Resident support for tourism development in rural midwestern (USA) communities: Perceived tourism impacts and community quality of life perspective. Sustainability, 10(3), 802. https://doi.org/10.3390/su10030802
  50. Yu, J. P. (2015). The re-examination of conceptual model which contains control variabl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cusing on power, satisfaction and long-term orientation. J. Channel and Retailing, 20(3), 43-62. https://doi.org/10.17657/jcr.2015.07.31.3
  51. Yu, J. Y. (2011). A Study on the Crisis Management Strategies based on the Tourism Crisis Typology. Journal of Tourism Sciences, 35(10), 161-178.
  52. Zenker, S., & Kock, F. (2020). The coronavirus pandemic-A critical discussion of a tourism research agenda. Tourism management, 81, 104164. https://doi.org/10.1016/j.tourman.2020.104164

Cited by

  1. Advancing the understanding of the resident pro-tourism behavior scale: An integration of item response theory and classical test theory vol.141, 2021, https://doi.org/10.1016/j.jbusres.2021.1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