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Changes in Media Report of Police Assigned for Special Guard Using Big Kinds

  • Park, Su-Hyeon (Dept. of Aviation Security Protection Science, Kyungwoon University) ;
  • Cho, Cheol-Kyu (Dept. of Aviation Security Protection Science, Kyungwoon University)
  • 투고 : 2021.05.28
  • 심사 : 2021.06.17
  • 발행 : 2021.06.30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언론에서 바라보는 객관적이고 거시적인 시선인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청원경찰제도의 발전적 방향과 학문적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은 '청원경찰'에 대한 분석 및 키워드 트렌드와 연관성이 높은 키워드를 시각해 보여주는 연관어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로 구분하고 해당하는 기간의 매년 관련 기사 건수를 도출하여 흐름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른 청원경찰의 언론보도 인식은 청원경찰의 채용, 관련 사건·사고에 대한 것으로 긍정적인 청원경찰의 채용에 대한 관심과 부정적인 청원경찰 관련 사건·사고에 대한 이미지가 공존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청원경찰에 대한 필요성과 수요는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청원경찰을 국가의 안전을 책임지고 사회질서유지를 위한 한 축으로써의 윤리적 책임과 안전을 책임지는 역할에 대한 고민하고 청원경찰의 업무에 임해야 할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academic implications and developmental direction of the police assigned for special guard system through big data analysis on the objective and macroscopic viewpoint of the media. As research method, this study conducted the analysis on 'police assigned for special guard' and the analysis of related words that would visualize the keywords highly related to keyword trend and news. Also, after dividing the period into the 1990s, 2000s, and 2010s, the number of relevant articles in each period was drawn for understanding the flow.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erception of media report of police assigned for special guard was about the recruitment of police assigned for special guard, and relevant events/accidents, which showed the coexistence of positive interest in the recruitment of police assigned for special guard and negative image of events/accidents related to police assigned for special guard. As a result, however, the necessity and demand for police assigned for special guard are increasing. Thus, the police assigned for special guard should be engaged in work after carefully thinking of its role in charge of ethical responsibility and safety as an axis for maintaining the national safety and social order.

키워드

I. Introduction

1960년대 초반 국가주도형 경제개발이 급격히 팽창함에 따라 국가 및 산업시설을 경비하는데 턱없이 부족한 경찰력을 보완하기 위해 특정시설의 경비수단 및 경비의 효율성을 위해 청원경찰제도를 도입하였다.

우리나라의 청원경찰제도는 외국에서는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제도로서 관련 법령이 개정되는 과정에서 청원경찰 배치범위가 보다 확대되었으며[1] 지속적인 성장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청원경찰제도는 정부의 입장에서는 국가가 부담해야 할 잠재적 비용를 절감하면서도 실질적으로는 경찰력을 강화시키는 효과가 있었고, 시설주의 입장에서는 일정 비용으로 경찰공무원에 준하는 청원경찰을 배치할 수 있어[2] 범죄예방 및 시설보호에 효과적이라는 이점이 부합되어 발전을 거듭해 왔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정부의 공공부문 정규직 전환이라는 정책변화 및 2023년 의무경찰제도의 폐지됨에 따라 국회, 정부청사 등 국가 중요시설 등 기존에 의무경찰들이 담당했던 시설경비업무 등을 대처할 수 있는 역할로 청원경찰이 가장 유력한 대안으로 검토되고 있다는 점은 청원경찰의 업무 범위와 역할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될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사이버 경찰청[3] 정보공개자료에 따르면 청원경찰 배치 현황은 국가기관 3,068명, 지방자치단체 6,793명, 국가기관, 지자체 외 3,773명으로 집계되고 있으며 1962년 「청원경찰법」이 제정된 이후 국가기관 또는 지방자치단체와 그 관리 하에 있는 민간부문의 중요시설에 대한 범죄예방 및 질서유지 활동 또는 경제적 손실과 예방적 측면에서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 등으로 청원경찰에 대한 연구가 국내에서도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는데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청원경찰의 법령에 관한 연구[4],[5], 청원경찰 신임교육에 관한 연구[6][7], 청원경찰 제도의 관한 연구[8],[9], 등이 있으나 빅데이터를 활용한 청원경찰제도의 언론보도 분석을 통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청원경찰제도의 전문성 및 산업의 발전에 있어서 대단히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청원경찰 제도의 발전을 위하여 언론에서 바라보는 객관적이고 거시적인 시선인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청원경찰제도의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나아가 청원경찰제도의 발전적 방향과 학문적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II. Theoretical background

1. Police Assigned for Special Guard

“청원경찰”이란 주로 국가기관 또는 공공단체와 그 관리하에 있는 중요 시설 또는 사업장과 국내 주재 외국기관·선박·금융·언론·학교·의료기관 등에 배치되어 관할 하는 경찰서장의 감독을 받아 그 경비구역만의 경비를 목적으로 필요한 범위에서 「경찰관 직무집행법」에 따른 경찰관의 직무를 수행하는 경찰을 말한다.

이러한 청원경찰 제도는 국가부담의 증가를 피하면서 중요시설의 경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1962년 4월 3일 청원경찰법이 제정되었으며, 제정 당시 분단 국가인 우리나라의 특수한 치안 상황과 북한의 대남도발을 효율적으로 대처하는 계기가 되었다[10].

2. BigKinds

뉴스 빅데이터 시스템인 빅카인즈(BIGKinds) 는 종합일간지, 경제지, 지역일간지, 방송사 등을 포함한 최대 규모의 기사DB에 빅데이터 분석기술을 접목해 만든 새로은 뉴스 분석 서비스로서 그동안 축적된 방대한 양의 뉴스 데이터에 최근 각광 받고 있는 빅데이터 분석 기술력을 활용하여[11] 1990년부터 약 7천만건의 뉴스 콘텐츠를 빅데이터 화 하여 연관어 분석 등 다양한 분석과 함께 메타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54개 언론사(중앙지 11, 경제지 8, 지역종합지 28, 방송사 5, 전문지)에서 발행한 뉴스 콘텐츠를 검색 활용할 수 있다.

빅카인즈 서비스의 구성도는 다음 Fig. 1[12]과 같이 뉴스 수집 시스템, 뉴스 분석 시스템, 저장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CPTSCQ_2021_v26n6_167_f0001.png 이미지

Fig. 1. BIGKinds Service configuration

III. Research method

이 연구는 국가중요시설 경비의 한 축으로 그동안 우리 사회의 공공안전 및 산업안전 분야에 중요한 역할로 1962 년부터 시행되는 있는 「청원경찰법」에 의한 청원경찰에 대한 이슈와 트렌드를 분석 통해 청원경찰이 가지는 법률상 정의와 범주화에서 판단하기 어려운 실제적인 용어 의사용과 인식을 파악하고 분석하려고 한다.

분석을 위해 사용되는 빅카인즈(BIGKINDS)는 54개 매체에서 1990년부터 생성된 약 7천만건 이상의 뉴스, 즉 비정형 텍스트로 구성된 데이터를 특정 유형에 따라 분류해 검색하고 결과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다[13].

1. Analysis Target

연구의 대상은 「청원경찰법」 제 2조(정의)의 근거에 따라 말하는 기관의 장 또는 시설·사업장 등의 경영자가 경비를 부담할 것을 조건으로 경찰의 배치를 신청하는 경우 그 기관·시설 또는 사업장의 등의 경비를 담당하기 위하여 배치하는 경찰을 뜻하는 ‘청원경찰’을 키워드로 검색하였다.

자료의 검색기간은 빅카인즈에서 제공하는 1990년부터 2019년까지로 하였으며, 구체적인 분석을 위해 1990년대 (1990년~1999년), 2000년대(2000년~2009년), 2010년대 (2010년~2019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2. Method of analysis

연구 목적에 맞는 분석 결과 및 시각화를 위해 키워드가 포함된 뉴스 건수를 보여주는 키워드 트렌드와 뉴스와 연관성이 높은 키워드를 시각화해 보여주는 연관어 분석을 실시하였다.

키워드 트렌드는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로 구분하고 해당하는 기간의 매년 관련 기사 건수를 도출하여 제시함으로써 키워드 흐름을 파악하였다. 연관어 분석은 뉴스 분석 건수에 따라서 검색어의 연관 키워드를 시각화하고 시맨틱 네트워크를 생성하는 알고리즘을 통해 가중치를 도출하였다. 가중치의 해석에서는 ‘김씨’, ‘이씨’ ‘분쯤‘과 같은 의미 없는 검색어는 분석에서 제외하고 10번째까지 도출하였다.

IV. Research results

빅카인즈를 통해 키워드 트렌드와 연관어 분석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990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청원경찰‘을 키워드로 하는 뉴스는 전체 12,433건으로 나타났다. 영역 분류는 정치가 1,300건, 경제 1,028건, 사회 6,298건, 문화 639건, 국제 740건, 지역 5,955건, 스포츠 52건, IT_과학 415건으로 사회와 지역 관련 뉴스에 청원경찰에 관련된 뉴스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건 사고로 분류해보면 범죄 2,962건, 사고 691건, 재해 80건, 사회 965건으로 범죄와 관련에 가장 많이 보도 되었다.

매년 키워드 트렌드를 살펴보면 지속적으로 청원경찰에 대한 보도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90년대에는 총 2,311건이 검색되었으며 년도 별로 204건 ~ 274건으로 나타났다. 2000년대에는 총 3,608건으로 222건 ~ 500건으로 나타났다. 2010년대에는 총 6,514건으로 421 건 ~ 1,604건으로 나타났다.

Table 1. Keyword Trend(Registered Security Guard)

CPTSCQ_2021_v26n6_167_t0001.png 이미지

1. 1990s ~ 2010s

청원경찰에 대한 연관어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1990년부터 2019년까지의 키워드 가중치 분석 결과 청원경찰의 채용, 관련 사건, 신분, 업무에 대한 키워드가 도출되었다. 가중치 순서대로 살펴보면 공무원(51.77), 경쟁률 (31.4), 공개 채용(24.91), 청목회(23.16), 직원들(22.34), 불구속 입건(19.55), 경찰청(19.28), 가스총(18.14), 금융기관 (17.98), 민간경비원(17.95)으로 나타났다.

Table 2. Related Word Analysis(all)

CPTSCQ_2021_v26n6_167_t0002.png 이미지

2. 1990s

청원경찰에 대한 연관어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1990년부터 1999년까지의 키워드 가중치 분석 결과 청원경찰의 관련 범죄, 채용, 업무에 대한 키워드가 도출되었다. 가중치 순서대로 살펴보면 금융기관(27.38), 구속영장(27.21), 공무원(23.94), 돈가방(16.5), 은행직원 (14.79), 가스총(14.44), 간담회(12), 불법행위(11.63), 새마을금고(11.43), CCTV(10.91)로 나타났다.

Table 3. Related Word Analysis(1990s)

CPTSCQ_2021_v26n6_167_t0003.png 이미지

3. 2000s

청원경찰에 대한 연관어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2000년부터 2009년까지의 키워드 가중치 분석 결과 청원경찰의 채용, 업무 장소, 업무에 대한 키워드가 도출되었다. 가중치 순서대로 살펴보면 공무원(41.55), 금융기관(28.64), 직원들(24.37), 민원인들(20.56), CCTV(18.22), 공익근무요원(17.45), 경쟁률(16.96), 불구속 입건(14.29), 방호원(14.05), 운전기사(13.68)으로 나타났다.

Table 4. Related Word Analysis(2000s)

CPTSCQ_2021_v26n6_167_t0004.png 이미지

4. 2010s

청원경찰에 대한 연관어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2010년부터 2019년까지의 키워드 가중치 분석 결과 청원경찰의 관련 사건, 채용에 대한 키워드가 도출되었다. 가중치 순서대로 살펴보면 청목회(48.68), 공무원(36.09), 후원금(26.33), 경쟁률(26.29), 경비인력(21.43), 직원들 (20), 불구속 입건(19.96), 필기시험(18.13), 학생 안전강화학교(17.76), 기자회견(16.43)으로 나타났다.

Table 5. Related Word Analysis(2010s)

CPTSCQ_2021_v26n6_167_t0005.png 이미지

V. Conclusions

청원경찰에 대한 언론보도 분석을 통해 청원경찰을 폭넓게 이해하고 관련 연구에 기초자료 마련을 위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청원경찰에 대한 관심이다. 키워드 트렌트의검색 수에서 보듯이 1990년도부터 꾸준하게 청원경찰에 대한 관련 언론보도는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중요시설에 대한 관심과 청원경찰의 직업적 인식 증가, 그리고 사회적인 관심이 증가의 결과로 보인다.

두 번째, 1990년부터 2019년에 이르기까지 채용과 관련 사건 그리고 신분과 업무에 대한 키워드가 가장 많았다. 공통적인 키워드로는 채용과 관련된 ’공무원‘, ’경쟁률‘, 청원경찰 관련 범죄와 연관성이 있는 ’불법행위‘, ’금융기관‘ 등으로 나타났다. 청원경찰의 직업 특성상 채용 이외에 업무의 성격이나 내용들이 공개적이지 않고, 사회적으로 큰 이슈들에 포함되어 언론보도에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세 번째, 1990년대에는 청원경찰 관련 범죄에 대한 키워드가 많았다. ’금융기관‘, ’구속영장‘, ’돈가방‘, ’은행직원‘, ’불법행위‘, ’새마을금고‘ 등 청원경찰의 범죄행위로 인한 키워드들이 대부분이였다. 이러한 현상은 1990년대에 일어난 청원경찰과 관련된 범죄에 대한 키워드로 청원경찰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를 심어주었지만 청원경찰에 대한 처우와 대우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시켜주기도 하였다.

네 번째, 2000년대에는 법원보안관리대의 도입과 청원경찰과 관련된 직업에 대한 키워드가 많았다. ’방호직‘, ’ 공익근무요원‘, ’공무원’, ‘운전기사’ 등 법원 보안 관리대의 업무를 했던 방호직 공무원, 공익근무요원에 대한 내용, 그리고 한국은행에서 청원경찰과 운전기사의 고액연봉에 대한 언론보도로 인해 청원경찰의 직무와 신분 그리고 역할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일어났다.

다섯 번째, 2010년대에는 ’청목회(한국 청원경찰 친목협의회)‘를 시작으로 ’후원금‘, ’기자회견‘의 키워드로 입법 로비 사건에 대한 언론보도가 많았던 반면, ’경비인력‘, ’학생 안전강화학교’ 키워드를 통해 청원경찰의 필요성을 공무원‘, ’경쟁력‘, ’필기시험‘을 통해 높아진 청원경찰 채용에 대한 관심이 나타났다. 이는 청원경찰의 근무환경의 변화와 더불어 청원경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결론을 종합해보면 청원경찰에 대한 키워드 분석과 연관어 검색 결과는 크게 청원경찰의 채용, 관련 사건·사고에 대한 것으로 긍정적인 청원경찰의 채용에 대한 관심과 부정적인 청원경찰 관련 사건·사고에 대한 이미지가 공존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청원경찰에 대한 필요성과 수요는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청원경찰을 국가의 안전을 책임지고 사회질서유지를 위한 한 축으로써의 윤리적 책임과 안전을 책임지는 역할에 대한 고민하고 청원경찰의 업무에 임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1. Jgkim, "Private Security Law", dongbang, 3-7, 2013.
  2. SwChoi, "Private Security Theory ", Jinyoungsa, 92-93, 2021.
  3. Korea National Police Agency, https://www.police.go.kr.
  4. MkKim, jlLee. "A Legal Review of Employing Registered Security Guards at Police Agencies", Korean Police Studies Review, Vol. 18, No, 2, pp. 59-80, Jun. 2019. DOI : 10.38084/2019.18.2.3
  5. YgKim, swHan. "Review on the Execution of 「the Act on the Performance of Duties by Police Officers」 by the Registered Security Guard -Focused on the Executive Authority- ",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Vol. 6, No, 3, pp. 199-222, Oct. 2015.
  6. HkKim, "A Improving New Employee Education Curriculum of Registered Security Guards in Korea", Korean Police Studies Review, Vol. 17, No, 1, pp. 77-100, Mar. 2018. DOI : 10.38084/2018.17.1.4
  7. JhSeong, "A Study on New Appointment Education of Registered Security Guards -Focused on Seoul Metropolitan Police Agency Education ", Korean Security Journal, No, 63, pp. 105-127, Jun. 2016.
  8. ShLee,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 of Security Police Guard Syste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ivate Security, Vol. 14, No, 3, pp. 91-114, Aug. 2015.
  9. YhKim, "Suggestions to Combine Private Police Guard System with Special Security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ivate Security, Vol. 16. pp. 53-71, Oct. 2010.
  10. YjKim, "A Study on the Reform of Police Assigned for Special Guard System ",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Kyonggi University. 2007.
  11. JySung, skKim. " Interpretation of the place discourse of Deoksugung Doldam-gil through News Big Data",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Vol. 18, No, 5, pp. 923-932, Aug. 2017. https://doi.org/10.9728/dcs.2017.18.5.923
  12. ChKwon. " Exploring the Changes Trend in Media Articles on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 by Recent Governments-Using the BIGKinds System- ",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Vol. 10, No, 6, pp. 1757-1772, Dec. 2019. DOI : 10.22143/HSS21.10.6.129
  13. Korea Fress Foundation. "BigKinz User Manual",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