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산림복원과 기후변화가 물관리 취약성에 미치는 영향과 정책방향 연구

  • 전동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통합물관리연구실) ;
  • 김익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물국토연구본부) ;
  • 이문환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통합물관리연구실) ;
  • 김예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통합물관리연구실)
  • Published : 2021.05.31

Abstract

Keywords

References

  1. 국토교통부 (2019). 통일대비 북한 SOC 현황 정보 조사 및 시나리오 기반 주거공급.인프라 조성 기본계획 수립: 최종보고서 통일시나리오 기반 인구이동 대응 시나리오.
  2. 김익재, 전동진, 명수정, 조을생, 서승범, 이문환, 한대호, 김예인, 김수빈 (2020). 북한의 산림복원과 기후변화가 물관리 취약성에 미치는 영향과 정책방향 연구(II),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3. 어규, 이찬희, 심우배, 안재현 (2018). 기후변화 영향을 고려한 유출변화에 따른 북한 수자원시설 발전량 평가.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51(4): 355-369. https://doi.org/10.3741/jkwra.2018.51.4.355
  4. Elagib. N. A. and Al-Saidi, M. (2020). Balancing the Benefits from the Water-Energy-Land?Food Nexus through Agroforestry in the Sahel.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742(10)
  5. European Commission (2019). InfoRM Report-The Global Risk Index.
  6. FAO and WFP (2019).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PRK) - FAO/WFP Joint Rapid Food Security Assessment.
  7. FAO (2020). Global Forest Resources Assessments (FRA) 2020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Desk Study
  8. Filoso Solange, Maria Ometto Bezerra, Katherine C. B. Weiss, Margaret A. Palmer (2017). Impacts of Forest Restoration on Water Yield: A Systematic Review. PloS one. 12(8): 1-26.
  9. UN OCHA (2019). DPR Korea 2018 Needs and Priorities.
  10. UNICEF (2018.6.22). DPRK Water, Sanitation and Hygiene. https://www.unicef.org/dprk/water-sanitation-hygiene. 검색일: 2019.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