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Venerable Kim Ji-jang's Process of Becoming Ksitigarbha Bodhisattva

신라승 김지장(金地藏)의 지장보살화(地藏菩薩化) 과정

  • An, Yang-gyu (Department of Buddhist Studies, Dongguk University(Gyeongju))
  • Received : 2021.01.30
  • Accepted : 2021.08.03
  • Published : 2021.08.31

Abstract

The Buddhist monk, Kim Ji-jang (金地藏), a native of Silla, is still revered as Ksitigarbha Bodhisattva in China. In Chinese Buddhism, Kim Ji-jang's becoming Ksitigarbha Bodhisattva is unique in at least two ways. First, it is said that his becoming the bodhisattva originated not in Silla, but in China, a foreign country. Second, it is said that the historical person became regarded as a mythical being, Ksitigarbha Bodhisattva. The process of Kim Ji-jang's becoming Bodhisattva can be divided into three periods. The first period is the period of entering and practicing at Mount Jiuhua in China, and this also includes the period wherein he was first revered as Ksitigarbha Bodhisattva. The second period begins immediately after Kim Ji-jang's death and ends three years later. In this period he became regarded as Ksitigarbha Bodhisattva. The third period spans three years after his death to the present age. His status as Ksitigarbha Bodhisattva carries on at present. There are two main causes for Kim Ji-jang's transformation into the bodhisattva. The first is an internal bodhisattva process. According to Ksitigarbha Bodhisattva's main vow, Kim Ji-jang's practice and edification impressed the public. The second is an external bodhisattva process. The miracles that appeared at the time of his death or the manifestation of the incorruptible relics three years after his death played a decisive role in the process of Kim Ji-jang becoming a bodhisattva. In line with the public's devotion, the Chinese imperial family repaired and supported the temple that enshrined the relics of Kim Ji-jang. Various factors could be analyzed in the process of Kim Ji-jang's becoming Ksitigarbha Bodhisattva, but more than anything else, it was Kim Ji-jang's severe ascetic practices and his virtuous edification of others.

신라 출신인 김지장(金地藏)은 현재까지도 중국에서 지장보살(地藏菩薩)로 추앙받고 있다. 중국불교에서 김지장의 보살화(菩薩化)는 적어도 두 가지 측면에서 특이하다. 첫째 자국인 신라가 아니라 타국인 중국에서 보살화가 비롯되고 진행되었다는 것이다. 둘째 역사적 실존 인물이 신화적 존재인 지장보살로 여겨지고 있다는 것이다. 김지장의 보살화 과정은 크게 3시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시기는 중국의 구화산에 들어가서 수행하고 중생들을 교화하는 기간으로 지장보살처럼 추앙받는 시기이다. 두 번째 시기는 김지장이 입적 직후부터 입멸 후 3년까지의 시기로 김지장의 전신사리(全身舍利)를 모시는 탑과 탑묘(塔廟)가 만들어진 시기로 지장보살로 동일시되는 시기이다. 셋째 시기는 입적 후 3년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지장보살로 유지되는 시기이다. 김지장의 보살화 과정의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내적 보살화 과정이다. 김지장의 수행과 교화가 대중들에게 감동을 준 것이다. 지옥 중생을 포함하여 모든 중생을 구제하겠다는 지장보살의 대원을 실천한 것이다. 중생 교화는 철저한 자기 수행과 엄격한 수행 생활에 근거하고 있다. 김지장의 덕화를 입은 사람들은 김지장을 결코 잊지 못할 것이다. 보살화 과정에는 보은(報恩) 심리가 내재해 있다. 대중들의 심리 속에 은혜를 베푼 인물을 잊지 않고 존경해야겠다는 심리가 있다. 김지장이라는 은인(恩人)을 기억하려는 의도가 김지장의 지장보살화를 촉진시킨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둘째 외적 보살화 과정이다. 신비적인 현상도 보살화 과정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특히 입적 시 나타난 신이나 입적 후 3년에 육신불의 화현은 보살화 과정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육신불의 화현은 역사적인 인물에서 초역사적인 존재로 만들었다. 이런 육신불에 보시를 하면 공덕이 발생한다는 신념은 대중들에게 지속해서 김지장을 지장보살로 경배하도록 하였다. 이런 대중들의 신앙심에 발맞추어 중국 황실에서 수시로 김지장의 전신사리를 모신 육신보전을 보수하고 지원함으로써 김지장을 국가적인 존재로 만들었다. 김지장의 지장보살화 과정에는 다양한 요인들이 분석될 수 있겠지만, 무엇보다도 재세시 김지장의 수행과 덕화(德化)에 기인한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費冠卿, 「九華山創建化成寺記」, 淸 董誥 等撰, 「全唐文」 제694권
  2. 贊寧, 「唐池州九華山宋化城寺地藏傳」, 「宋高僧傳」 권제20(「大正藏」 제50책)
  3. 曇噩, 「傳宗科 唐 地藏」, 「新修科分六學僧傳」 (元高僧傳, 元僧傳) 권제5 (「日本藏經」 제2편)
  4. 明初 元人 撰, 「神僧傳」 권 제8, 「釋地藏」 (「大正藏」 제50책)
  5. 金地藏, 「送童子下山」, 「全唐詩」 권808
  6. 金地藏, 「酬惠米」, 「靑陽縣志」
  7. 李白, 「地藏菩薩贊」, 「全唐文」 제350권
  8. 儀潤, 「百丈淸規證義記」
  9. 印光, 「九華山志」, 北京: 1938年版.
  10. 嚴耀中, 「江南佛敎史」, 上海: 上海人民出版社, 2000.
  11. 「菩薩處胎經」 (「大正藏」 20)
  12. 강남주, 「실존 인물의 신격화 과정」, 「비교민속학」 11, 1994.
  13. 고영섭, 「구화 지장이 중국불교에 끼친 영향」, 「한국불교사연구」 8, 2015.
  14. 김영태, 「당 구화산의 신라 지장선사 고찰」, 「한국불교학」 23, 1997.
  15. 김영태, 「신라 지장선사와 그의 시」, 「불교문화연구」 4,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03.
  16. 김진무, 「중국 지장신앙의 연원과 김지장」, 「정토학연구」 15, 2011. http://uci.or.kr/G704-SER000009872.2011..15.003
  17. 김훈, 「중국불교사에 있어서의 김교각법사의 위치」, 「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집」 15,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1994.
  18. 김훈, 「중국의 지장신앙과 김교각 법사」, 「불교연구」 28, 2008. http://uci.or.kr/G704-001849.2008..28.006
  19. 박찬웅, 「예수의 신격화의 유대 사상적 배경」, 「신약논단」 27-1, 2020. https://doi.org/10.31982/KNTS.2020.03.27.1.1
  20. 謝樹田, 「慈風長春慧日永曜-金地藏日光輝歷史一」, 「불교대학원논총」 1, 동국대학교 대학원, 1993.
  21. 釋聖富, 「지장영탑을 수호하여 구화도량을 새롭게 빛내이자」, 「불교대학원논총」 1, 동국대학교 대학원, 1993.
  22. 양한순, 「불교유적지 순례를 통해 본 한국인의 중국문화관광」, 「비교문화연구」 16-1, 2010. http://uci.or.kr/G704-000963.2010.16.1.006
  23. 여상구, 「입당구법승 지장의 행적과 사상」, 「백산학보」 52, 서울: 백산학회 1999.
  24. 오형근, 「김지장의 선정과 교화사상」, 최주광 편, 「구화산 지장성지와 동아시아의 지장신앙」, 월류산 영명사, 2001.
  25. 張總, 「지장I 경전과 문헌자료 연구」, 김진무 옮김, 서울: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9.
  26. 張總, 「지장II 조각과 회화」, 김진무 옮김, 서울: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9.
  27. 조영록, 「구화산 지장신앙과 오월수부 항주」, 「동국사학」 33, 1999.
  28. 조영록, 「최근 한중 불교교류사연구의 경향과 특징: 중국 남부지역의 한국관련 유적을 중심으로」, 「동국사학」 34, 2000.
  29. 조영록, 「구화산 지장신앙의 오월에의 전파」, 최주광 편, 「구화산 지장성지와 동아시아의 지장신앙」, 서울: 월류산 영명사, 2001.
  30. 최석환 편, 「육신보살 지장법사」, 서울: 불교영상회보사, 1993.
  31. 최주광 편, 「구화산 지장성지와 동아시아의 지장신앙」, 서울: 월류산 영명사, 2001.
  32. 包卿, 「중국 지주시 구화산 불교 문화관광 개발 연구」, 한서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9.
  33. 홍윤식, 「신라승 김교각과 구화산의 수행정진」, 최주광 편, 「구화산 지장성지와 동아시아의 지장신앙」, 서울: 월류산 영명사, 2001.
  34. Strong, J.S., Relics of the Buddha,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7.
  35. 윤문한, 「신리왕자 김교각(金喬覺)은 어떻게 지장보살(地藏菩薩)이 되었는가?」 http://blog.daum.net/shanghaicrab/16156645 (검색일자: 2020. 7. 19.)
  36. 《KBS 한국사전: 등신불이 된 신라왕자 김교각》(방송: 2008. 5.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