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he Micro-Conflict Structure in the Process of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he Regulatory Free Zone

규제자유특구 운영 및 관리상 나타나는 이해관계자들의 미시적 갈등구조 분석

  • 최해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혁신제도연구단) ;
  • 이광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혁신제도연구단)
  • Received : 2021.10.25
  • Accepted : 2021.11.24
  • Published : 2021.12.31

Abstract

This research means that it analyzed the conflict structure of key stakeholders in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he Regulation Free Zone.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safety review related to the amendment of the law, the process of presenting a preliminary review opinion is additionally required. Second, institutional improvement is needed for the complicated preliminary preparation stage in the management system issue. Third, there is the issue of whether to provide an incentive structure to the local innovation ecosystem or to leave it to the autonomy of the participating companies and guarantee the choice in the post-management issue. In the future, this research suggests a method to systematically prepare a micro-policy demand identification process through continuous monitoring using the Q method.

이 연구는 규제자유특구 운영 및 관리 상 핵심 이해관계자들의 미시적 갈등구조를 분석하여 관리 및 운영상 제도적 보완사항을 제안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 연구는 규제자유특구 의 제도 운영 및 관리상 참여한 주체들을 대상으로 인식차이를 분석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법개정과 관련된 안전성 검토를 위해 사전검토의견 제시과정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둘째, 관리체계 이슈에 있어 복잡한 사전준비단계에 대한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사후관리 이슈에 있어 지역혁신생태계에 유인 구조로서 사후 연구시설 장비에 관한 관리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향후 Q방법을 활용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미시적인 정책수요 파악 과정을 제도적으로 마련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권식(2019), "규제자유특구와 규제샌드박스: 주요 쟁점 및 발전방안", 「한국지역개발학회 학술대회」.
  2. 김민호.강재원 (2020), "블록체인기술 사업화의 규제 쟁점에 관한 연구: 부산 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를 중심으로", 「정보통신정책연구」, 제27권, 제2호, pp.63-86.
  3. 김용호.엄정필 이채윤.류민규.김성훈(2021), "경남 무인선박 규제자유특구",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4. 도은정(2020), "규제자유특구 변경절차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20년, 제11호.
  5. 박종수(2020), "지역혁신.성장을 위한 「규제자유특구」 전략체계와 발전방안",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6. 배수현.정석찬(2020), "기업 인식조사 기반 부산 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 활성화 정책 연구", 「한국빅데이터학회 학회지」, 제5권, 제1호, pp.65-76.
  7. 유성희.김정욱(2019), "규제자유특구의 법적 쟁점과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 제19권, 제4호, pp.203-225.
  8. 이광호.엄미정.정일영.최해옥\.박현준.김명순.목은지.김종영.조용혁.서지영.박진희.김신범.강영진.김상헌(2020), "기술규제 개혁을 위한 의제설정 연구사업(4차년도)", 「과학기술정책연구원」
  9. 조은설.윤완태(2020), "규제자유특구 사업의 특징과 정책적 함의 -강원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동계학술발표논문집」.
  10. 최해옥.이광호(2021a), "규제 샌드박스 제도의 마이크로 작동기제 주요쟁점 및 대응 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Insight」, 제267호.
  11. 최해옥.이광호(2021b), "프로젝트형 규제샌드박스의 이해당사자 간 인식차이 분석을 통한 정책수요 파악에 관한 연구", 「규제연구」, 제30권, 제1호, pp.3-25. https://doi.org/10.22954/KSRS.2021.30.1.001
  12. Cordingley, L., C. Webb, and V. Hillier(1997), "Q methodology", Nurse Researcher, Vol.4, No.3, pp.31-45. https://doi.org/10.7748/nr1997.04.4.3.31.c5871
  13. Davies, B. B. and I. D. Hodge(2007), "Exploring environmental perspectives in lowland agriculture: AQ methodology study in East Anglia", UK. Ecological Economics, Vol.61, No.2-3, pp.323-333. https://doi.org/10.1016/j.ecolecon.2006.03.002
  14. Dryzek, J. S. and J. Berejikian(1993), "Reconstructive democratic theory",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Vol.87, No.1, pp.48-60. https://doi.org/10.2307/2938955
  15. McKeown, B. and D. B. Thomas(2013), Q methodology, Sage publications, Newbury Park.
  16. Robbins, P. and R. Krueger(2000), "Beyond bias? The promise and limits of Q method in human geography", The Professional Geographer, Vol.52, No.4, pp.636-648. https://doi.org/10.1111/0033-0124.00252
  17. Stephenson, W.(1993), "Introduction to Q-methodology", Operant subjectivity, Vol.17, No.(1/2), pp.1-13. https://doi.org/10.22488/okstate.93.100509
  18. Stephenson, W.(1953), The study of behavior: Q-technique and its methodology, University of Chicago Pres, Chicago.
  19. Toke, D., S. Breukers, and M. Wolsink(2008), "Wind power deployment outcomes: How can we account for the differences?",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Vol.12, No.4, pp.1129-1147. https://doi.org/10.1016/j.rser.2006.10.021
  20. Pike, K., P. Wright, B. Wink, and S. Fletcher(2015), "The assessment of cultural ecosystem services in the marine environment using Q methodology", Journal of Coastal Conservation, Vol.19, No.5, pp.667-675. https://doi.org/10.1007/s11852-014-0350-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