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정보
이 논문은 2020년도 부산대학교 인문사회연구기금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참고문헌
- 권기철(2006), 부산광역권의 제조업 고용 변동과 인구이동의 관계 및 인구이동의 균형화 효과, 경제연구, 제24권 제3호, 97-123.
- 김리영.양광식(2013), 인구 유입과 유출을 결정하는 지역특성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25권 제3호, 1-19.
- 김상구(2010), 해항도시의 삶의 질 비교분석 - 항만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제16권 제3호, 287-293.
- 김상구(2012), 해항도시의 삶의 질에 대한 항만의 영향력 분석 - 중국 대련항과 부산항의 비교분석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6권 제6호, 481-488. https://doi.org/10.5394/KINPR.2012.36.6.481
- 김상열.박호.구한모.류동근(2015), 항만물류산업이 항만도시의 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9권 제3호, 267-275. https://doi.org/10.5394/KINPR.2015.39.3.267
- 김성철.류동근.류학수(2009), 우리나라 해외항만 투자인식과 해외진출방안에 관한 실증연구, 경영사연구, 제49권, 75-111.
- 김안호.기성래(2005), 항만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1권 제4호, 141-160.
- 김유현(2021), 지역의 경제.생활여건이 청년인구이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학보, 제55권 제2호, 337-367.
- 김춘선.김성귀.류재영.박승기.이성우.이재완.이한석.임영태(2013), 항만과 도시, (서울), 블루&노트, 19-27.
- 김현아(2008), 지역간 인구이동의 실증분석, 응용경제, 제10권 제2호, 75-103.
- 마문식.유홍성.김병일(2009), 인천신항 배후물류단지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5권 제4호, 83-106.
- 박근하.최진영.이선은(2021), 항만지역 미세먼지 특성 및 지역사회 영향, 2021년도 한국해양과학기술협의회 공동학술대회, 한국해양학회.
- 박성익(2006), 지역별 인구 변동 및 경제적 요인 분석: 패널자료를 이용한 회귀분석 및 요인분석, 국제경제연구, 제12권 제3호, 1-35.
- 송효진.정재형.정수현(2021), 항만 배후지역의 대기오염실태로 본 항만환경 관리정책의 새로운 방향성 - 부산항 신항(창원) 배후지역의 미세먼지(PM10) 농도를 중심으로 -, 한국위기관리논집, 제17권 제7호, 83-99.
- 심재희(2009), 물류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산업경제연구, 제22권 제2호, 919-937.
- 안준건.김동휘.황규철.Loh Andrew.최나린.하성용.현상민.임운혁(2021), 항만지역 가스상 대기오염물질 발생 및 거동특성 연구, 2021년도 한국해양과학기술협의회 공동학술대회, 한국해양학회.
- 양창호(2021), 항만경제, (서울), 박영사, 12-17.
- Enrico D'agostini.류동근(2017), 이탈리아 항만의 사회경제학적 효과에 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41권 제4호, 243-250. https://doi.org/10.5394/KINPR.2017.41.4.243
- 여기태.한종길.우종균.신영란.정태원.박근식.우정욱.우수한.하영목.양창호.하창승.박진희(2016), 물류의 이해, (서울), 박영사, 62-73.
- 이민규.이기열(2016), 항만물류산업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해운물류연구, 제32권 제2호, 299-320.
- 이민우.이향숙(2016), 선박 배기가스 배출량 및 환경비용산출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2집 제4호, 15-28.
- 이제홍.최흥섭(2008),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항만산업 경제적 효과 및 투자재원 조달 방안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4권 제2호, 317-334.
- 이태휘.여기태(2012), 항만도시의 지속가능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해운물류연구, 제28권 제4호, 559-579.
- 정봉민(2014), 부산시 지역경제와 항만의 경제적 연계성 분석과 그 시사점,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0권 제4호, 199-217.
- 정분도.심재희(2011), 해운.항만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7권 제3호, 311-329.
- 정창무(2007), 삶의 질 분석 모형,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제23권 제12호, 245-252.
- 최봉호.이기환(2019), 지역물류산업과 경제성장의 관계에 대한 패널분석, 무역학회지, 제44권 제2호, 173-188.
- 최영출(2014), 지역 주민의 생활 여건과 행복도의 인과적 관계, 한국자치행정학보, 제28권 제1호, pp.1-23.
- 최진이(2020), 항만과 도시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 21, 제11권 제2호, 521-536.
- 통계청(2019), 사회조사 통계정보 보고서, 1-78.
- 통계청(2021), 국민 삶의 질 2020, 8-17.
- 해양수산부 내부 자료(부산항 제1신항 하역능력).
- 해양수산부 내부 자료(부산항 제1신항 배후부지 입주업체 수).
- www.busanpa.com. (부산항 통계, 컨테이너 통계, 2021년 3월 1일 검색).
- www.gangseo.seoul.kr (강서구 통계정보, 통계연보, 2021년 1월 10일 검색).
- Diamantopoulos, A., and Siguaw, J.A.(2000), Introducing LISREL, Thousand Oaks, CA: Sage.
- Dooms, M., Haezendonck, E., and Verbeke, A.(2015), Towards a meta-analysis and toolkit for port-related socio-economic impacts: A review of socio-economic impact studies conducted for seaports, Maritime Policy & Management 42(5), 459-480. https://doi.org/10.1080/03088839.2014.944238
- Dooms, M., Van Der Lugt, L., Schepper, De, S., and De Jong, O. (2018). Socio-economic performance assessment of port clusters: more challenges, fewer solutions? In Bergqvist, R. & Monios J. (Eds.), Green Ports: Inland and Seaside sustainable transportation strategies (1ed., 231-254). (Amsterdam), Elsevier.
- ESPO(2012) Port Performance Indicators: Selection and Measurement, Project Executive report(PPRISM WP4 D4.2), European Sea Ports Organization.
- Ferrari, C., Merk, O., Bottasso, A., Conti, M. and Tei, A.(2012), Ports and Regional Development: A European Perspective, OECD Regional Development Working Papers 2012/07, OECD Publishing, Paris.
- Gallup, J.E., Sachs, J.D. and Mellinger, A.(1999), Geography and Economic Development, International Regional Science Review, 22, 179-232. https://doi.org/10.1177/016001799761012334
- Hair, J.F., Hult, G.T.M., Ringle, C.M. and Sarstedt, M.(2017a), A Primer on Partial Least Squar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PLS-SEM) 2nd Ed., (Los Angeles), Sage, 1-33.
- Hair, J.F., Matthews, L.M., Matthews, R.L., Sarstedt, M.(2017b), PLS-SEM or CB-SEM: Updated guidelines on which method to use, International Journal of Multivariate Data Analysis, 1(2), 107-123. https://doi.org/10.1504/IJMDA.2017.087624
- Hair, J.F., Ringle, C.M., Sarstedt, M.(2011), PLS-SEM: INDEED A SILVER BULLET, Journal of Marketing Theory and Practice, 19(2), 139-151. https://doi.org/10.2753/MTP1069-6679190202
- Hair, J.F., Risher, J.J., Sarstedt, M., Ringle, C.M.(2019), When to use and how to report the results of PLS-SEM, European Business Review, 31(1), 2-24. https://doi.org/10.1108/ebr-11-2018-0203
- Hair, J.F., Sarstedt, M., Hopkins, L. and Kuppelwieser, V.G.(2014), Partial least squar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PLS-SEM) - An emerging tool in business research, European Business Review 26(2), 106-121. https://doi.org/10.1108/EBR-10-2013-0128
- Hair, J.F., Sarstedt, M., Pieper, T.M. and Ringle, C.M.(2012), The use of partial least squar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strategic management research: A review of past practice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applications, Long Range Planning, 5 Nos 5/6, 320-340.
- Lohmoller, J.-B.(1989), Latent Variable Path Modeling with Partial Least Squares, Physica, Heidelberg.
- Merk, O.,(2013), The Competitiveness of Global Port-Cities: Synthesis Report, OECD Regional Development Working Papers 2013/13, OECD Publishing, Paris.
- Reinartz, Werner J., Michael Haenlein, and Jorg Henseler (2009), An Empirical Comparison of the Efficacy of Covariance-Based and Variance-Based SEM, International Journal of Market Research, 26(4), 332-344. https://doi.org/10.1016/j.ijresmar.2009.08.001
- Rigdon, Edward E.(199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Modern Methods for Business Research, G.A. Marcoulides, ed., Mahwah, NJ: Lawrence Erlbaum, 251-2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