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urating the Korean Medical Classics Curriculum with a Focus on Its Introductory Role to Clinical Korean Medicine

임상한의학입문 역할을 반영한 원전학 수업 설계

  • Jo, Na-young (Dept. of Korean Medical Classics & Medical History, College of Korean Medicine, Semyung University) ;
  • Jo, Hak-jun (Dept. of Korean Medical Diagnosis, College of Korean Medicine, Semyung University)
  • 조나영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진단학교실) ;
  • 조학준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의사학교실)
  • Received : 2021.04.27
  • Accepted : 2021.05.10
  • Published : 2021.05.25

Abstract

Objectives : A transition course of 'Introduction to Clinical Korean Medicine' was developed to meet the demands for better preparation for clinical application of Korean Medicine within the curriculum. A Korean Medical Classics curriculum reflecting such demands was newly designed. Methods : Based on the 'Introduction to Clinical Medicine(ICM)' course of the Medical School curriculum that follows the medical education guideline, the 'Introduction to Clinical Korean Medicine(ICKM)' course was designed and developed. The role of Korean Medical Classics was suggested in the process. Results : In the following course, Korean Medical diagnosis, diagnostics, patient intake methods reflecting the Korean Medical diagnostic system, clinical skills, basic skills, treatment planning, patient education, etc. are included. Faculty members of the basic sectors of the Korean Medical school will participate in this curriculum, of which a head will be appointed to overlook the curriculum. In the case of Korean Medical Classics, previous learning outcomes need to be reorganized based on clinical expression while clinical case studies need to be added to course material. A more active approach utilizing new pedagogic strategies and teaching methods should be taken. Conclusions : The Korean Medical Classics curriculum could effectively take on the introductory role to clinical Korean Medicine, successfully strengthen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basic and clinical Korean Medicine to improve learners' satisfaction.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변증(辨證) 기반 진료 수행평가(CPX)를 도입한 한의학 교육모델의 개발과 적용(2020R1F1A1069681)"으로 수행된 연구결과입니다. 세명대학교 한의학과 이연서, 한지수, 황두호, 김성은 학생연구원께서 연구 자료 수집과 정리에 도움을 주신 것에 대해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1. Ian Bullock, Mike Davis, Andrew Lockey, Kevin Mackway (공저), 허예라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2011.
  2. John A. Dent, Ronald M. Harden (공편), 김선, 박완범, 신좌섭, 양은배, 이영미, 정은경, 허예라 (공역). 의학교육(이론에서 실제까지).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2008.
  3. Molly Cooke, David M. Irby, Bridget C. O'brien (공저). 의학교육의 개혁과 미래. 신익균, 정욱진, 박이병, 박귀화, 유찬종, 박정율, 임기영, 임준 (역). 의학교육의 개혁과 미래. 서울. 학지사. 2014.
  4. Richard L. Cruess, Sylvia R. Cruess, Yvonne Steinert (공편). 이명진, 최숙희, 노현재 (공역). 의학 전문직업성 교육. 서울. 광연재. 2017.
  5. Tim Swanwick 저.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역. 의학교육의 이해. 서울. 경희대학교출판문화원(경희대학교출판부). 2013.
  6. 강희철. 임상의학입문. 의학교육논단. 2003. 5(2).
  7. 권영규 외 5인. 한의학 교육과정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동의.경산 한의학 학술대회. 1998. 2.
  8. 김경옥 외 4인. 표준화 화병환자를 활용한 한의대생의 진료 및 의사소통 수준연구.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13. 17(1).
  9. 김남일 외 12인. 뉴 패러다임 한국 한의학 교육과정 개발 연구(2008년도 선정 대학교육과정개발연구지원사업 결과보고서). 경희대학교. 2011.
  10. 김동희 외 18인. 현대상한론. 발행지 미상. 한의문화사. 2005.
  11. 김용일. 사례로 배우는 의학교육.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12. 김종훈. 보건의료인을 위한 표준화환자 활용 가이드. 서울. 범문에듀케이션. 2019. pp.195-200.
  13. 김철윤, 서형식, 이마음, 권강. 한의과대학의 능동적 임상실습을 위한 성찰일지 도입 및 만족도 평가. 한방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19. 32(3). http://dx.doi.org/10.6114/jkood.2019.32.3.186
  14. 미켈슨 래리 저. 이영민 역. (팀을 활용하여 조직을 혁신하고 개인의 역량을 제고하는)팀 기반 학습. 서울. 학지사. 2009.
  15.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추진기획단. 한의학전문대학원 교육과정안 설명회 자료집. 2007.
  16. 신상우. 한의학교육 혁신(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한국한의학교육평가원 발표 자료(ppt). 2020.
  17. 심성보 외 5인. 한의학교육에서 임상술기교육의 만족도 연구. 대한한의학회지. 2013. 34(3). https://doi.org/10.13048/jkm.13011
  18. 안효자, 양승정, 신헌태. 표준화 난임환자를 활용한 한의대생의 진료 및 의사소통 수준연구.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14. 18(3).
  19. 이영미, 안덕선, 김병수, 박정율. 임상의학입문 교육과정 개발. 한국의학교육. 2001. 13(2).
  20. 이현우, 홍승욱. 아토피 피부염 증례를 이용한 표준화환자 프로그램 연구. 대한한의학회지. 2011. 32(5).
  21. 임철일 외 4인. 2016 한의사 역량모델 정립 및 활용 방안. 대한한의학회지. 2016. 37(1).
  22. 전국 한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양생학(한방예방의학). 서울. 계축문화사. 2015.
  23. 전국 한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예방한의학과 공중보건학. 서울. 푸른솔. 2019.
  24. 전국 한의과대학 원전학교실 교재편찬위원회. 유편황제내경. 대전. 주민출판사. 2006.
  25. 전국한의과대학 본초학공동교재 편찬위원회. 본초학. 서울. 영림사. 2017.
  26. 전국한의과대학.한의학전문대학원 경락경혈학 교재편찬위원회. 대학경락경혈학각론(상). 대전. 종려나무. 2012.
  27. 전국한의과대학.한의학전문대학원 경락경혈학 교재편찬위원회. 대학경락경혈학총론(하). 대전. 종려나무. 2012.
  28. 전국한의과대학.한의학전문대학원 경락경혈학 교재편찬위원회. 대학경락경혈학총론. 원주. 의방출판사. 2010.
  29. 전우택. 의학교육의 미래. 서울. 박영스토리. 2016.
  30. 정선형, 김정필, 강유정, 정혜인, 김경한. 한의학교육에 대한 한의대생들의 인식 및 만족도 조사.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20. 24(3). https://doi.org/10.25153/spkom.2020.24.3.005
  31. 조충식. 한의학교육에서 진료수행평가에 대한 학생 만족도 및 환자-의사관계 점수의 채점자간 비교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15. 29(2).
  32. 조학준, 민성호. 전국 한의과대학(원)의 진료수행평가(CPX) 현황과 향후 과제. 한국의사학회지. 2020. 33(2). https://doi.org/10.15521/jkmh.2020.33.2.009
  33. 차호열, 김나형, 홍진우, 신상우. 한의학교육에서 문제바탕학습 시행에 따른 만족도.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12. 26(3).
  34. 한국한의학교육평가원. 2017 역량중심 한의학교육 학습목표 개발 - 2017 기초편. 서울. (재)한국한의학교육평가원. 2017.
  35. 한국한의학교육평가원. 2017 역량중심 한의학교육 학습목표 개발 - 2017 임상편. 서울. (재)한국한의학교육평가원. 2017.
  36. 한국한의학교육평가원. 제2주기 한의학교육평가인증 편람. 2017.
  37. 한국한의학교육평가원. 한의학교육 인증기준 2021-2025 KAS2021. 2019.
  38. 한의방제학 공동교재 편찬위원회. 한의방제학. 서울. 군자출판사. 2020.
  39. 한의진단학회 편찬위원회. 한의진단학(진단편). 파주. 군자출판사. 2019.
  40. 한의진단학회 편찬위원회. 한의진단학(진찰편). 파주. 군자출판사. 2018.
  41.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2017년 3학년 임상실습입문 시간표(엑셀 파일).
  42.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2020년도 1학기 임상실습입문1,2 계획서(pdf 파일).
  43.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한의학과 교육과정. [cited on January 18, 2021]: Available from: https://kmed.pusan.ac.kr/kmed/13862/subview.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