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신한옥마을의 공간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Organization of neo-Hanok Village

  • 투고 : 2021.01.12
  • 심사 : 2021.03.09
  • 발행 : 2021.04.30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the identity and succession of traditional Hanok villages by analyzing the location, layout, and spatial organization of neo-Hanok Village, which was built in Korea. So far, neo-Hanok Village has not prepared a specific institutional mechanism despite the government's support and growing public interest. In addition, the purpose of neo-Hanok Village has not been verified, even though it was built all over the country for the purpose of the dignity and succession of the traditional Hanok Village. This study examines how the spatial organization elements of the traditional Hanok Village are planned according to the design principles of the old literature and applies them to the neo-Hanok Village to determine the succession of the traditional Hanok Village.

키워드

과제정보

본연구는 건축공간 연구원에서 수행한 "한옥정책 및 산업화 연구조사지원사업"의 결과물을 활용하여 작성함.

참고문헌

  1. 한국건축연사학회,「한국 건축사 연구1」 분야와 시대, 발언 2003
  2. 한필원,「한국의 전통마을을 찾아서」, 휴머니스트 2011
  3. 권영상 외2, 「신한옥마을 조성을 위한 계획기준」,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27(3), 2011.3
  4. 권영상 외1, 「한옥마을 지원정책을 통한 역사문화경관 형성의 특성」,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8(12), 2012.12
  5. 권영상, 「신도시 블록형 단독주택지 내 한옥마을 계획 및 제도개선방향」,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9(3), 2013.3
  6. 권영상 외,「한옥건축 산업화를 위한 기반구축연구-한옥마을 조성방안 연구」, 국토해양부, 2008
  7. 신치후 외1, 「한옥마을 조성사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6
  8. 이중환 저, 이익성 역, 「택리지」, 을유문화사, 2002
  9. 홍만선 저, 유중림 역, 「산림경제」, 민족문화추진회, 1997
  10. 서유구 저, 안대회 역, 「산수간에 집을 짓고」, 돌베개, 2005
  11. 신상섭, 「한국의 전통마을과 문화경관찾기」, 대가, 2007
  12. 이영진,「전통마을에서 겨레과학을 읽다」 민속원, 2020
  13. 「농어촌정비법」
  14. 「택지개발업무처리지침」
  15. 「전라남도 한옥지원 및 진흥 조례」
  16. 「청주시 한옥 보전 및 진흥에 관한 조례」
  17. 「세종특별자치시 한옥 등 건축자산의 진흥에 관한 조례」
  18. 세종시 행복청누리집, 건축정보(가이드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