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Design of Planterior to Reduce and Purify Indoor Particle Matters (PM)

실내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플랜테리어 디자인 연구

  • Ahn, SeungWon (The Graduate School of Design, Daegu University, Major of Flower Design) ;
  • Jeong, Jun Hyun (Dept. of Interior Architecture Design, Daegu University/Art & Design Institute)
  • 안승원 (대구대학교 디자인대학원 플라워디자인전공) ;
  • 정준현 (대구대학교 실내건축디자인학과/조형예술연구소)
  • Received : 2020.12.30
  • Accepted : 2021.02.02
  • Published : 2021.02.28

Abstract

To verify the types of effects that plants have in our general living conditions, I examined an air quality in living rooms of the three, 129.78m2 size, apartments that were with and without plants. an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addressed below. 1) Experiment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se A. However, in Case B and Case C, the standard deviation of PM10, PM2.5 and PM 1.0 verified that each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01) differences. 2) It is believed that the effect of reducing particle matters due to the installation of plants in the indoor space is to vary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indoor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cleanliness of the room, and the amount of furniture and may also differ depending on the daily dietary cooking method. In addition, it is believed that the planterior will not only reduce indoor fine dust, but also reduce the psychological comfort and eye fatigue of the residents. Nevertheless, supplementary research is needed. 3) In the planterior design for reducing indoor particle matters, various measures were examined. Among them, the vertical wall design method was tested and suggested through empirical experiments. In addition, maintenance methods were proposed depending on the type of indoor plant.

본 연구는 실생활 환경인 주거공간에서 식물의 공기 정화능력 이 어떤 효과를 보이는가를 검증하기 위하여 전용면적 129.78m2의 아파트 3개호를 대상으로, 거실 공간(115.6m3)에 한정하여 식물 유·무에 따라 공기질 상태를 조사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사례A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으나, 사례B, C는 PM10, PM2.5, PM1.0의 영역에서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미한(p<.01) 차이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2) 실내공간의 식물설치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효과는 실내 환경 조건과 실내의 청결도와 집기의 양에 따라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대한 보충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3) 실내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플랜테리어 디자인으로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였으며, 그중 실증적 실험을 통하여 수직벽면 디자인 방법을 실험하여 제언하였다. 또한 실내식물의 유형에 따라 유지관리 방법을 제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손관화, 「아름다운 생활공간을 위한 분식물 디자인」, 중앙생활사, 2016.
  2. 이종석 외, 「新실내조경학」, 도서출판 조경, 2007.
  3. 이경준, 「수목생리학」,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8, pp.14, 173, 213, 216, 218.
  4. 손기철, 「실내식물 사람을 살린다」, 중앙생활사, 2016.
  5. 월버튼(B.C. Wolverton), 김광진옮김, 「사람을 살리는 실내공기정화식물 50」, 중앙생활사, 2005, pp.14, 49-51.
  6. 김선옥 외, 「회훼장식기사」, 부민출판사, 2017.
  7. 문 원 외, 「생활원예」,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2016.
  8. 허동화, 「우리가 정말 알아야할 우리 규방문화」, 현암사, 2006.
  9. 권계정, 「관엽식물의 환경조건에 따른 실내환경개선 및 식물전지의 활용」, 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pp.48-49
  10. 김예하, 「실내식물 기르기 여부에 따른 식물 기르기 및 삶에 대한 인식 차이」,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pp,38-39.
  11. 오세경, 「그린인테리어용 식물에 대한 디자인 요소별 이미지 분석」,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pp.67-68.
  12. 고윤서, 「주거공간에서 환기에 따른 실내라돈과 미세먼지 농도 변화분석 연구」,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p.50.
  13. 박재숙, 「관상화훼식물의 실내공기정화에 관한 연구-이산화탄소와 포름알데히드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p.90.
  14. 류상미, 「업무공간별 실내식물 색채와 배색에 대한 선호도 분석」, 서울시립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 pp.1-3.
  15. 농촌진흥청, 「식물의 기능성을 활용한 그린빌딩 구축」, 과제번호:PJ907184, 2014, pp.9-10.
  16. 방성원, 「실내환경 개선 및 공기정화를 위한 'Bio Will System' 개발」,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p.1.
  17. 박소영, 김정, 장영기, 성기준, 2005a, 「포름알데히드로 오염된 실내공기의 정화에 미치는 식물효과에 관한 연구」, 환경영향평가학회지 14(4): 47-53.
  18. 손기철, 송종은, 유명화, 2006, 「인간 건강 증진 측면에서 화훼의 기능성 연구」, 원예과학기술지 24(5):77-90.
  19. http://www.kisti.re.kr 제3495호
  20. http://www.rda.go.kr
  21. http://www.doopedia.co.kr
  22. http://www.en18.sedsk.com
  23. http://www.apartmenttherapy.com
  24. http://www.lexiunlimited.wordpress.com
  25. http://www.ggumim.co.kr
  26. http://www.pinterest.co.kr
  27. http://www.sophierobinson.co.uk
  28. http://www.casacor.abril.com
  29. http://www.simplesdecoracao.com.b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