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경주 서봉총 출토 금관(보물 339호)의 보존처리와 제작기법 연구

Conservation Treatment and Production Technique of the Golden Crown (Treasure No. 339) Excavated from Seobongchong Tomb in Gyeongju

  • 투고 : 2021.10.01
  • 심사 : 2021.10.28
  • 발행 : 2021.11.30

초록

본고는 경상북도 경주시 노서동 129호분(서봉총)에서 출토된 금관(보물 339호)의 보존처리와 제작기법 조사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서봉총 금관은 일제강점기인 1926년 조선총독부박물관에서 진행한 발굴조사를 통해 출토되었으며, 현재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이다. 국내에 현존하는 신라 금관은 총 6점으로, 그 중 서봉총 금관은 신라 금관의 전형을 보이면서도 새장식이 달린 돔형의 반구형장식이 존재하는 유일한 사례이다. 출토이후 금속재료와 접착제 등으로 수리되었으나, 형상이 일부 변형되고 수리재료로 인한 금관의 손상이 야기되어 보존처리를 진행하였다. 이 글에서는 서봉총 금관의 보존처리 및 원형복원의 전 과정과 특히 유물의 안정성을 위해 중점을 둔 접합부 보강 방법을 상세히 서술하고, 보존처리 중 조사를 통해 확인된 제작과정의 특징을 소개하고자 한다. 또한 서봉총과 유사형태의 신라관의 제작기법을 비교하여 서봉총 금관과 다른 신라관의 관계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서봉총 금관의 제작당시 기본 장식은 금제 영락이었으며, 이후 세움장식의 영락 일부를 곡옥으로 교체하고 관테에는 곡옥을 새로 연결하여 장식을 수정한 정황을 새롭게 확인하였다. 이러한 현상이 다른 금관에도 적용되었는지 알아보고자 국내 신라 금관 6점의 장식기법을 모두 비교한 결과 천마총 출토 금관에서 동일한 방식의 수정 흔적과 여러 유사성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summarized the results of the conservation treatment and investigation on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golden crown (Treasure No. 339) excavated from Tomb No. 129 (also known as Seobongchong Tomb) in Noseo-dong, Gyeongju-si, Gyeongsangbuk-do Province. The golden crown from Seobongchong Tomb was discovered during the excavations conducted by the Museum of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n 1926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It is currently in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 total of six Silla golden crowns have survived in Korea, among which the crown from Seobongchong Tomb is the only example with a dome-shaped hemispherical decoration attached with a bird ornament while otherwise showing the typical features of Silla crowns. The crown had been repaired following its excavation using metallic materials and adhesives, but due to the partial deformation and damage brought about by the repair materials, it required further conservation treatment. This article describes in detail the overall process of the conservation treatment and the restoration of the original form of the golden crown from Seobongchong Tomb, particularly the method of reinforcing the joints to secure the stability of the crown. It 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rown's production as revealed in the investigation during the conservation treatment, and further analyzes the relationship of this crown from Seobongchong Tomb with other Silla crowns through a comparison of their production techniques. The investigation revealed that the crown was primarily decorated with golden sequins at the time of its production. At a later point some of the sequins in the upright ornament were replaced with comma-shaped jade beads and additional comma-shaped jade beads were added to the headband. In order to determine if such modifications to the decoration had occurred with other Silla crowns, the decoration of the six extant Silla golden crowns were investigated. The crown from Cheonmachong Tomb features traces of this same modification to the decoration and possesses other similarities with the crown from Seobongchong Tomb.

키워드

참고문헌

  1. 유은선, 임진왜란시기 조선군의 화기연구, 제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10-13, (2007).
  2. 有馬成甫, 火砲の起源とその傳流, 吉川弘文館, p225-232, 東京, (1962).
  3. 王兆春, 中國科學技術史: 軍事技術卷, 科學出版社, p138, 北京, (1998).
  4. 이서 저, 정호완 역, 화포식언해.신전자취염소방언해, p54,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서울, (2013).
  5. 「세종실록」 권1, 세종 즉위년 8월 14일(신묘).
  6. 「세종실록」 권78, 세종 19년 7월 27일(을묘).
  7. 「세종실록」 권78, 세종 19년 7월 27일(을묘).
  8. 「선조수정실록」권26, 선조 25년 9월 1일(정사).
  9. 「선조실록」 권96, 선조 31년 1월 1일(정해).
  10. 국립진주박물관, 동아시아 7년 전쟁, 임진왜란(1592-1598), p159, 국립박물관문화재단, 진주, (2019).
  11. 이서 저, 정호완 역, 화포식언해.신전자취염소방언해, p87-88,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서울, (2013).
  12. 허일권, 김해솔, 고창 무장현 관아와 읍성 출토 비격진천뢰의 제작기법, 고창 무장현 관아와 읍성 비격진천뢰의 발굴과 연구 심포지엄, p61-62, (2019).
  13. 김해솔, 허일권, 고창 무장현 관아와 읍성 출토 비격진천뢰의 제작기법과 보존처리, 박물관보존과학 24, p20, (2020).
  14. 전통건축수리기술진흥재단, 석재, http://www.kofta.org/architecture/Material/traditionstone.jsp, (2021).
  15. 박종경 저, 강신엽 역, 조선의 무기II: 융원필비, p41-46, 봉명, (2004).
  16. 허일권, 조선 청동제 소형 총통의 제작 기술, 공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78-121, (2021).
  17. 이종봉, 한국 도량형사, p258, 소명출판, 서울, (2016).
  18. 송응성 저, 최주 역, 천공개물, p357, 전통문화사, 서울,(1997).
  19. 박종경 저, 강신엽 역, 조선의 무기I: 훈국신조군기도설.훈국신조기계도설, p15-25, 봉명, 고양, (2004).
  20. 「경모궁악기조성청의궤」 「품목질」, 3월 일(정유).
  21. 「가례도감의궤영조정순왕후」 「이방의궤」 「품목질」.
  22. 이규경 저, 최주 역, 오주서종박물고변, p66-76, 학연문화사, 서울, (2008).
  23. Scott, D.A., Metallography and Microstructure of Ancient and Historic Metals, p120-123, Getty Conservation Institute, Los Angeles, California, (1991).
  24. 유혜선, 국보 제141호 다뉴세문경의 성분 조성에 관한 연구, 한국기독교박물관 소장 국보 제141호 다뉴세문경 종합조사연구, p102-119,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서울, (2009).
  25. Forshell, H., Bronze cannon analysis: alloy composition related to corrosion picture, Armemusei rapportserie, (1984).
  26. Guilmartin, J.F.JR., Gunpowder & Galleys-Changing Technology and Mediterranean Warfare at Sea in the 16th Century, Conway Maritime Press, (2003).
  27. Gnesin, G.G., Revisiting the History of Materials Science Metals and Alloys of the Bronze Age: From Middle to Modern Times. I. Copper and Its Alloys, Powder Metallurgy and Metal Ceramics 53, (2014).
  28. 염희택, 이계완, 주조공학, p200-212, 문운당, 서울, (1986).
  29. 윤용현, 청동유물의 주조와 복원기술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11-40, (2013).
  30. 허일권 외, 평창 수다사지 청동금고 주조기법과 보수 방식, 박물관보존과학 15, (2014).
  31. 조수연, 문희권, 주조응고학(개정2판), p111-112, 구민사, 서울,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