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해저표층 모래이동을 분석하기 위해, 주로 해저질의 입경분포 특성을 이용한 STA(sediment trend analysis) 기법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STA 분석결과는 정량적인 표사이동량이 아닌 정성적인 특징을 표현하므로 실제 모래이동에 대한 전반적인 상황을 상세히 설명하기에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존 STA 방법을 보완한 종합적인 모래이동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채집모래의 성분분석과 입도분석 및 수중잠수조사 등을 병행하여, 제주 남서부에 위치한 화순항 주변해안을 대상으로 침식퇴적 현상을 분석하였다. 채집한 모래시료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해저퇴적물의 공간적인 입경분포 등을 이용한 기존 STA 분석과 모래의 성분분석을 이용한 기원지(육지, 해양) 추정을 통해 모래의 공간적 이동경향을 분석하였고, 추가적으로 수중잠수조사를 통해 모래량에 대한 탐침깊이측정과 사진촬영분석 등으로 모래의 공간적인 분포현황을 파악하였다. 이들 각각 방법들에 의한 분석결과에서 모래이동에 대한 유사경향성을 서로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해저표층 모래이동에 대한 이 같은 다양한 조사방법들을 이용한 종합적인 연구결과는 수치모형 및 수심측량자료 등이 부재한 해안역에서 공간적인 모래이동의 경향을 판단하고 분석하는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most commonly adopted method to investigate the sediment transport trend is STA (sediment trend analysis) technique which utilizes the characteristics of grain size distribution on the bed. Typically, results from STA analysis represent qualitative features of sediment transport rather than quantitative aspects. This restricts from understanding the further details of actual sediment transport entirely. In this study, the erosion/deposition of seabed was analyzed around the coast of Hwasun Port in southwestern Jeju for the study of sand transport trend. As a means to complement the existing STA method, comprehensive investigations such as sand component analysis, particle size analysis, diving sand survey and gravity probing were conducted. The spatial grain size distribution of sand was analyzed through STA as well as the estimation of the origin (land, ocean) us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bottom sediment which can be achieved using collected sand samples. Analysis by each of these methods produced similarities in results for sand movement. Therefore, it can be deduced that comprehensive research adopting such various methods of investigation can be a great alternate method for the analysis of sand transport trend for areas without available numerical models or bathymetry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