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terest Rate, Property Tax, and Housing Cost by Tenure Type

점유형태별 주거비용 차이 분석: 금리 및 보유세 변화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21.03.17
  • Accepted : 2021.03.29
  • Published : 2021.04.30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trend of housing costs by tenure type and analyze the impact of interest rate and property tax policy changes. For this purpose, the housing costs of owner and renter were obtained using the approach of Hendershott and Slemrod (1982). Then, simulation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changes in interest rate and property tax system on housing costs. According to this analysis, the housing costs of the owner or Jeonse with mortgage decreased as interest costs also decreased due to lowered interest rates. However, the relative housing costs of the monthly rent or Jeonse without mortgage increased. In the case of implicit housing costs, the housing costs of the owner dropped significantly as expectations of higher prices increased. Meanwhile, the increase in property tax burden due to the public price realization and the strengthening of comprehensive real estate taxes was found to be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changes in interest rates and price expectations. These findings explain the recent rapid increase in demand of owning a home and call for policy alternatives for households that have experienced a relative increase in housing costs. At the same time, this study also raises issues related to increasing the explicit costs incurred by home owners based on excessive borrowing in case of raised interest rates.

본 연구는 점유형태별 주거비용 추이를 살펴보고, 금리 및 정책적 변화가 주거비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재정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자가가구와 임차가구의 주거비용을 계산하였으며, 상대적 비교를 위하여 헤도닉 가격 모형을 활용하여 자가, 전세, 월세에 대한 주거비용을 추정하였다. 주거비용은 각각 가계가 실제로 지출하는 명시적 주거비용과 기회비용 등을 포함한 잠재적 비용에 대해 분석하였다. 저금리 기조는 이자 비용과 기회비용의 하락으로 이어져 대출을 일으킨 가구의 명시적·잠재적 주거비용 하락 및 대출이 없는 가구의 상대적 주거비용 증가를 유발하였다. 이는 대출금이나 투입 금액이 높은 전세나 자가 가구의 주거비용 하락으로 나타났으며, 월세 가구의 상대적 주거비용 증가로 이어졌다. 또한 가격 상승 기대가 높아질 경우 자가의 주거비용은 현저하게 하락하였다. 한편, 공시가격현실화 및 종합부동산세 강화로 인한 보유세 부담 증가는 자가 가구에게 부담으로 작동하지만 금리 및 가격 상승 기대 변화에 비교했을 때 미비한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최근의 급격한 매매수요 증가현상을 설명하고, 상대적 주거비용 증가를 경험한 가구에 대한 정책적 대안을 촉구한다. 동시에 금리가 회복될 경우 과도한 차입에 기초한 매매가구의 명시적 비용 증가로 인한 문제도 제기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민석(2019),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의 현황과 시사점", KB부동산시장 리뷰, 2019(10): 19-25.
  2. 관계부처합동, 주택시장 안정 보완대책, 2020.7.10. 보도자료.
  3. 관계부처합동,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 2019.12.16. 보도자료.
  4. 관계부처합동, 주택시장 안정대책, 2018.9.13. 보도자료.
  5. 국토교통부, 부동산 공시가격 현실화 계획, 2020년 11월 3일, 보도자료.
  6. 권건우.진창하(2016), "생애주기별 가구의 주거비 부담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주택연구, 24(3): 49-69.
  7. 권연화.최열(2015), "노년층의 가구구성 및 주택점유형태에 따른 주거비 부담능력에 관한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35(4): 977-986. https://doi.org/10.12652/Ksce.2015.35.4.0977
  8. 김경환 손재영(2015), 부동산 경제학, 건국대학교 출판부.
  9. 김여정(2020), "주거지원 프로그램이 주거이동에 미치는 영향분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김혜승.홍형옥(2003), "저소득층의 주거비지불능력을 고려한 주거비보조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 39: 85-102.
  11. 마승렬(2019), "사용자비용과 임차비용의 격차와 주택가격 간의 장기적 관계에 관한 연구", 주택연구, 27(2): 63-90.
  12. 박서연.전희정(2019), "주거복지정책 유형별 주거비 부담수준 결정요인 분석: 공공임대주택 거주가구와 주거급여 수급가구의 비교연구", 국토계획, 54(3): 27-48.
  13. 박천규.이수욱.손경환(2009), "가구생애주기를 감안한 주택수요특성 분석 연구", 국토연구, 60: 171-187. https://doi.org/10.15793/KSPR.2009.60..010
  14. 배순석.김민철.임이랑.김진유.하세정.최영은(2013), 주거비 부담능력 평가방식 및 부담기준의 도입과 정책적 활용방안, 세종:국토연구원.
  15. 성은영.최창규(2012), "임차인의 자산과 소득이 전.월세 선택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노동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국토계획, 47(1): 69-83.
  16. 오근상.오동훈(2018), "서울 주거비부담능력 부족 민간임차가구 규모의 추정: 잔여소득접근법과 품질기반접근법의 적용", 서울도시연구, 19(3): 57-80.
  17. 유병선.정규형(2017), "저소득 임차가구의 주거비 부담 결정 요인 분석: 전세가구와 월세가구의 차이를 중심으로", 지역발전연구, 26: 1-38.
  18. 이선우(2010), "장애인가구와 비장애인가구의 주거복지수준 비교: 최저주거기준과 주거비부담능력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2(2): 1-21. https://doi.org/10.22944/KSWA.2010.12.2.001
  19. 이소영.정의철(2017), "패널자료를 이용한 청년층 임차가구의 자가 전환 결정요인 분석", 주택연구, 25(1): 63-89.
  20. 이수욱.김태환.황관석.변세일.이형찬(2015), 저성장시대 청년층 주거안정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세종: 국토연구원.
  21. 이현정(2015), "2012년 주거실태조사에 나타난 청년임차가구의 지역별 주거 실태 비교",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6(1): 81-90. https://doi.org/10.6107/JKHA.2015.26.1.081
  22. 정의철(2005), "모기지론이 주택점유형태 및 자가주택수요에 미치는 효과 분석", 서울도시연구, 6(2): 1-20.
  23. 정의철(2017), "주택점유형태의 동태적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주택연구, 25(4): 181-209.
  24. 조혜진.김민정(2014), "한국 중고령 가계의 주거부담 결정요인", 소비자정책교육연구, 10(2): 19-37.
  25. 진미윤(2003), "자가주거비 계측에 대한 방법론 탐색 연구", 통계연구, 8(1): 85-120.
  26. 최은희.이종권.김수진(2011), "국민임대주택 입주에 따른 주거개선효과: 주거비 부담 수준 비교를 중심으로", 주택연구, 19(3): 123-147.
  27. 최창규.지규현(2007), "전세와 월세에 대한 구조적 해석: 금융조건 및 임차인의 자산 제약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42(3): 215-226.
  28. 한지혜.최승비.김갑성(2015), "상대주거비용의 변화가 전세가구의 점유형태 및 주거이동에 미치는 영향", 주택연구, 23(2): 5-29.
  29. Adelino, M., A. Schoar, and F. Severino (2018), "Perception of house price risk and homeownership", NBER Wording Paper, no. w25090.
  30. Combs, E.R. and L. Olson (1990), "Differences in housing expenditure/income and utility expenditure/income ratios by selected characteristics of rural home owners", Housing and Society, 17(3): 27-36. https://doi.org/10.1080/08882746.1990.11430079
  31. Goodman, A. C. (1988), "An econometric model of housing price, permanent income, tenure choice, and housing demand", Journal of Urban Economics, 23(3): 327-353. https://doi.org/10.1016/0094-1190(88)90022-8
  32. Hendershott, P. H. and J. Slemrod (1982), "Taxes and the user cost of capital for owner-occupied housing", Real Estate Economics, 10(4): 375-393. https://doi.org/10.1111/1540-6229.00270
  33. Hendershott, Patric H. and James D. Shilling (1980), "The economics of tenure choice: 1955-79", NBER Working Paper, no. w0543.
  34. Hill, R. J. and I. A. Syed (2016), "Hedonic price-rent ratios, user cost, and departures from equilibrium in the housing market", Regional Science and Urban Economics, 56: 60-72. https://doi.org/10.1016/j.regsciurbeco.2015.11.001
  35. Himmelberg, C., C. Mayer, and T. Sinai (2005), "Assessing high house prices: Bubbles, fundamentals and misperceptions",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19(4): 67-92. https://doi.org/10.1257/089533005775196769
  36. Saarimaa, T. (2011), "Imputed rental income, taxation and income distribution in Finland", Urban Studies, 48(8): 1695-1714. https://doi.org/10.1177/0042098010377474
  37. Stone, M. E. (1975), "The housing crisis, mortgage lending, and class struggle", Antipode, 7(2): 22-37. https://doi.org/10.1111/j.1467-8330.1975.tb00617.x
  38. https://www.r-one.co.kr/
  39. https://onland.kbstar.com/
  40. http://ecos.bok.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