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여성농업인의 경영주 등록 결정에 대한 일·생활 분야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Registration as Managers of Female Farmers on the Field of Work and Life

  • 투고 : 2021.11.03
  • 심사 : 2021.12.23
  • 발행 : 2021.12.31

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registration of managers or co-managers in agricultural management in the field of work and life of female farmers and to derive implications for expanding the registration of female farmers as managers and securing the status of women. In this study, binomial logit analysis was conducted with 1,043 questionnaire responses collected on&offline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duration of farming, decision-making initiative, the experience of the supporting policies for farming activity, the activities of the crop group/research or female farmer's group, and the experience of supporting policies for self-development and leisure activities had a statisticallty significant effect on the registration of female farmers.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은 농촌진흥청 연구사업(과제번호: PJ01564904)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

참고문헌

  1. 강혜정. (2012). 여성농업인의 역할변화와 정책 과제. 젠더리뷰, 27, 28-52.
  2. 강혜정. (2013). 여성농업인의 농업경영 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여성경제연구, 10(1), 43-62.
  3. 공윤경. (2018). 1960년대 농촌 여가문화의 특성과 의미: 대천일기를 사례로. 한국민족문화, 66, 297-334.
  4. 김경미, & 고운미. (2005). 여성농업인의 역할유형별 영농의사결정 참여 실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7(3), 47-64.
  5. 김경미, 이진영, & 최윤지. (2006). 여성농업인 리더의 생애경험을 통한 심리적 장애요인에 관한 소고. 한국농촌지도학회지, 13(1), 149-171.
  6. 김경미, 이진영, & 최윤지. (2006). 여성의 농업참여 역할 유형별 지원 정책 개발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21-121.
  7. 김대희, & 신윤호. (2012). 농촌지도기관이 제공하는 농업교육에 대한 농업인의 요구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 개발, 44(3), 23-45.
  8. 김문희, & 김태종. (2020). 토픽 모델링 분석을 활용한 여성농업인 연구동향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52(2), 1-28.
  9. 김승희, & 김선미. (2013). 맞벌이가족의 일-가정양립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1(3), 355-360. https://doi.org/10.6115/fer.2013.51.3.355
  10. 김영옥, & 김이선. (1999). 21C여성농업인의 전문인력화를 위한 정책연구. 서울:한국여성개발원.
  11. 김정섭, & 이정해. (2017). 최근 귀농.귀촌 실태와 시사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정포커스, (151), 1-20.
  12. 김정운, & 박정렬. (2004). 주 40시간 근무제 실행 후 노동자의 생활양식 변화와 학습에 대한 태도변화 연구. 2004년 정책기획과제, 대통령 자문 정책기획위원회.
  13. 김주숙. (1999). 국가 및 민간연구소의 역할 정립 및 사업추진 방향. 농촌여성의 능력 개발과 복지증진 방안 심포지엄, 부산: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pp.77-86.
  14. 농림축산식품부. (2019). 2018 여성농업인 실태조사.
  15. 농림축산식품부. (2020). 농업경영체 등록정보는 어떻게 활용될까? https://www.mafra.go.kr/mafra/293/
  16. 류기덕. (2007). 농촌여성의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 경북지역 읍.면 지역을 중심으로. 대구: 대구경북연구원.
  17. 마상열. (2012). 도시민의 귀농.귀촌 의식조사와 시사점. 경남정책 Brief, 1-8.
  18. 박영대, 김정운, 이장주, & 박정열. (2004). 주 40시간 근무제 도입에 따른 여가활동 실태조사. 여가학연구, 2(1), 43-68.
  19. 박주혜. (2008). 가족생활주기에 따라 전업주부가 지각하는 배우자의 일과 삶의 조화가 전업주부의 삶에 질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박지은. (2021). 농촌여성의 노동분화 양상. 농촌사회, 31(1), 7-91.
  21. 손영미, & 박정열. (2015). 한국 기혼여성근로자의 일-가정 양립 관련 가치관이 일-가정 갈등 및 촉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7), 203-2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7.203
  22. 송양호. (2005). 여성농업인의 사회적 역할과 권익향상.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0-25.
  23. 신경자. (2002). 여성의 사회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의정부시 지역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신현옥. (2000). 국가개발정책과 농촌지역 여성조직에 관한 연구: 1960-70년대 마을부녀조직의 역할과 활동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심순자. (1996). 한국농촌여성조직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유은영. (2017). FAO의 성 인지적 농식품 가치사슬 개발. 세계농업, 198, 3-22.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7. 유은영. (2018). 2018 농어촌의 삶의 질 실태와 주민 만족도.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8. 이상호. (2018). 한국의 지방소멸 2018. 고용동향 브리프, 2018. 07. 진천: 한국고용정보원.
  29. 이상호. (2019). 가족경영협약 실태분석과 체결의향 분석. 한국유기농업학회지, 27(4). 425-436. http://doi.org/10.11625/KJOA.2019.27.4.425
  30. 이선영, & 황미진. (2019). 여성농업인 조직활동의 가치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개선회 60주년 활동 가치에 관하여.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51(4), 1-26. doi: 10.23840/agehrd.2019.51.4.1
  31. 이성호, & 김정호. (1995). 농가의 상속과 경영승계에 관한 연구.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32. 이윤경. (2009). 일과 생활의 균형(Work-Life Balance)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이재기. (2018). 농촌 생활 인프라가 농촌 노인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이정해. (2017). EU 농촌 여성의 경제적 지위와 성주류화 전략. 세계농업 198.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35. 이호철, 최수영, & 박재홍. (2002). 여성농업인의 전문인력화를 위한 교육방안. 농촌사회, 12(1), 37-62.
  36. 장혜경. (2004). 저출산 시대의 여성정책 방향. 젠더리뷰, 5, 50-54.
  37. 정기환. (1997). 농가 여성의 노동력 구조와 경제활동 실태.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38. 정도채. (2019). 농어촌서비스기준으로 살펴본 농어촌 생활 SOC 구축 방향. 국토, 449, 14-20.
  39. 정영금. (2006). 일-가족 균형의 촉진요인 분석 및 교육내용 개발. 가정과 삶의질 연구, 24(6), 131-145.
  40. 정은미. (2012). 프랑스 여성농업인의 현황과 전망.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41. 정은미. (2013). 한국 여성농업인 지원체계와 정책 과제. pp. 3-22.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자료.
  42. 정은미, 김태환, & 박은지. (2020). 여성농업인 지위향상을 위한 농업경영체 제도 개선 연구.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43. 정은미, 마상진, & 민자혜. (2012). 여성농업인의 경제 사회적 역할 제고방안.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44. 정은미, 박석두, 김용렬, 김우태, & 최세균. (2013). 여성농업인의 경제사회역 역할 제고방안. 서울:농촌경제연구원.
  45. 조영숙, 이한기, 박은식, 고정숙, 조록환, 황대용, et al. (2004). 농촌주민의 사회단체 참여와 농촌역할에 대한 인식.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99-116.
  46. 채구묵. (2014). SPSS와 AMOS를 이용한 고급통계학. 서울: 양서원.
  47. 채연주, & 윤세준. (2012). 통합과 분리: 경계활동으로 살펴본 일과 삶의 균형. 인사조직연구, 20(2), 109-165.
  48. 통계청. (2021). 2020년 농림어업총조사. 대전: 통계청.
  49. 홍은파. (2010) 여성농업인 영농교육이 농업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2(1), 49-79. doi: 10.23840/agehrd.2010.42.1.49
  50. 황미진, 윤순덕, & 최정신. (2017). 여성농업인 조직활동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농촌지도와 개발, 24(3), 155-172. https://doi.org/10.12653/JECD.2017.24.3.0155
  51. 황정임, 최윤지, & 최정신. (2018). 농가 경영이양에 대한 영향요인. 농촌지도와 개발, 25(2), 57-70. https://doi.org/10.12653/JECD.2018.25.2.0057
  52. Bokemeier, J., & Garkovich, L. (1987). Assessing the influence of farm women's self-identity on task allocation and decision making. Rural Sociology, 52(1), 13-36.
  53. Frone, M. R. (2003). Work-family balance. In J. C. Quick & L. E. Terick (Eds.), Handbook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pp. 143-162). Washington, N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https://doi.org/10.1037/10474-007
  54. Gasson, R. (1980). Roles of farm women in England. Sociologia Ruralis, 20(3), 165-179. https://doi.org/10.1111/j.1467-9523.1980.tb00706.x
  55. Graig, R. (1979). Down on the farm: Role conflicts of Australian farm-women, In The Woman in Country Australia Looks Ahead; Conference Proceedings. Melbourne: LaTrobe University.
  56. Greenhaus, J. H., Collins, K. M., & Shaw, J. D. (2003). The relation between work-family balance and quality of lif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3(3), 510-531. https://doi.org/10.1016/S0001-8791(02)00042-8
  57. Illich, I. (1981) Shadow work. London: Marion Boyars.
  58. Kim, S. M., & Sherraden, M. (2014). The impact of gender and social networks on microenterprise business performance. Journal of Sociology & Social Welfare, 29(4), 404-417. https://scholarworks.wmich.edu/cgi/viewcontent.cgi?article=3964&context=jssw#page=52
  59. Lobley, M., Baker, J. R., & Whitehead, I. (2010). Farm succession and retirement: Some international comparisons. Journal of Agriculture, Food Systems, and Community Development, 1(1), 49-64. https://doi.org/10.5304/jafscd.2010.011.009
  60. Loughhead, T. A. (1989). The use of leisure in career development.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15(3), 154-163. https://doi.org/10.1007/BF01321504
  61. Mishra, A. K., & El-Osta, H. S. (2008). Effect of agricultural policy on succession decisions of farm households. Review of Economics of the Household, 6(3), 285-307. https://doi.org/10.1007/s11150-008-9032-7
  62. Morf, M. (1989). The work/life dichotomy: Prospects for reintergrating people and jobs. New York: Qourum Books.
  63. Mu, R., & van de Walle, D. (2011). Left behind to farm? Women's labor re-alloc ation in rural China. Labour Economics, 18(1), 83-97. https://doi.org/10.1016/j.labeco.2011.01.009
  64. Pearson, J. (1979). Note on female Farmers. Rural Sociology, 44(1), 189-200. http://pascal-francis.inist.fr/vibad/index.php?action=getRecordDetail&idt=12565135.
  65. Poter, C., & Lobley, M. (1996). Unbroken threads? Succession and its effects on family farms in Britain. Sociologia Ruralis, 36(3), 268-308. https://doi.org/10.1111/j.1467-9523.1996.tb00023.x
  66. Rapoport, R., & Rapoport, R. N. (1975). Leisure and the family life cycle. London: Loutledge.
  67. Rosaldo, M. Z., & Lamphere, L. (1974). Woman, culture, and society: A theoretical overview.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68. Sanday, P. R. (1974). Female status in the public domain. In Michelle Zimbalist Rosaldo, & Louise Lamphere (Eds.), Woman, culture, and society (pp. 189-206).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69. Shortall, S. (1993). Canadian and Irish farm women: some similarities, differences and comments. The Canadian Review of Siciology and Anthropology, 30(2), 172-191. https://doi.org/10.1111/j.1755-618X.1993.tb00171.x
  70. Stiglbauer, A., & Weiss, C. (2000). Family and nonfamily succession in the upper Austrian farm sector. Cahiers d'Economie et Sociologie Rurales, 54, 5-26. https://hal.archives-ouvertes.fr/hal-01200950/document. https://doi.org/10.3406/reae.2000.1632
  71. Uchiyama, T., Lobley, M., Errington, A., & Yanagimura, S. (2008). Dimensions of intergenerational farm business transfers in Canada, England, the USA and Japan. Japanese Journal of Rural Economics, 10, 33-48. https://doi.org/10.18480/jjre.10.33
  72. Ward, C. K. (1996). Life skill development related to participation in 4-H animal science project.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34(2). http://www.joe.org/joe/1996 april/rn2.html
  73. Williams, M., & Howard, J. W. (2007). Analysis of minority participation in Texas' East region 4-H and youth dvelopment program in relationship to leadership, marketing, and educational opportunities. Journal of Youth Development, 2(2), 178-190. https://www.proquest.com/open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