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F와 좀비 서사의 감염 상상력

Imagination of Infection in SF and Zombie Narratives

  • 최성민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통합의료인문학연구단)
  • 투고 : 2021.05.10
  • 심사 : 2021.06.15
  • 발행 : 2021.06.30

초록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여파가 계속되고 있다. 다양한 예방과 방역의 조치들 이면에는 '내가 감염될지 모른다'는 공포와 '누군가가 나를 감염시킬지도 모른다'는 공포, 두 가지 공포가 잠재되어 있다. 이러한 잠재의식은 감염 상상력 위에서 이루어진다. 본 논문은 우리의 감염 상상력에 영향을 미친 SF 서사와 좀비 서사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SF 소설과 영화들이 '감염'을 어떻게 이해하고 표현하였는지, 그리고 좀비 서사들은 '감염'과 그 공포를 어떻게 드러내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메리 셸리의 소설 『최후의 인간』은 감염병의 공포가 인류에게 성찰의 기회를 제공한 역설을 드러내주었다. 영화 <컨테이젼>과 <감기>는 감염병에 대한 공포와 혐오가 폭동과 충돌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좀비 서사는 감염이 주는 공포를 가장 극적으로 표현한 장르이다. <부산행>을 비롯한 연상호 감독의 좀비 3부작은 가까운 주변 사람이 가장 위협적인 감염원으로 돌변할 수 있음을 드러낸다. 우리는 SF와 좀비 서사를 통해, 감염병 앞에서 인류가 겸허한 연대의식과 윤리의식, 공감능력을 갖추어야 함을 깨달을 수 있다. 이러한 서사를 통해 우리는 감염 상상력의 중요성을 깨달을 수 있다. 감염 상상력은 감염 확산의 원인과 결과, 그리고 그 과정과 향후 전망에 대한 이해의 기반이 되는 인식 체계가 된다.

The aftermath of the COVID-19 virus continues. There are two potential fears behind the various preventive and quarantine measures. : the fear that "I may be infected" and the fear that "someone may infect me". This subconscious is built on the 'imagination of infection'. This paper attempted to analyze science fiction(SF) narratives and zombie narratives that influenced our imagination of infection. And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how SF novels and movies understand and express "infection", and how zombie narratives reveal "infection" and its horror. Mary Shelley's novel "The Last Man" revealed the paradox that the fear of an infectious disease gave humanity an opportunity for reflection. The films and showed that fear and aversion to infectious diseases can lead to riots and conflict. Zombie narrative is a genre that most dramatically expresses the horror of infection. Director Yeon Sangho's zombie trilogy, including , reveals that people around you can turn into the most dangerous source of infection. Through SF and zombie narratives, we can realize that humanity must have a humble sense of solidarity, ethics, and empathy in the face of infectious diseases. Through this narrative texts, we can realize the importance of the imagination of infection. Imagination of infection is the basis for understanding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the spread of infection, the process and future prospects.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은 2019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9S1A6A3A04058286)

참고문헌

  1. 김초엽 외, 「팬데믹: 여섯 개의 세계」, 문학과지성사, 2020.
  2. 메리 셸리, 「최후의 인간 1, 2」, 김하나 역, 아고라, 2014.
  3. 김성수 감독, <감기>, 아이러브시네마, 2013.
  4. 스티브 소더버그 감독, <컨테이젼(Contagion)>, Warner Bros. Pictures, 2011.
  5. 연상호 감독, <서울역>, 다다쇼, 2016.
  6. 연상호 감독, <부산행>, 영화사레드피터, 2016.
  7. 연상호 감독, <반도>, 영화사레드피터, 2020.
  8. 김성훈 연출, <킹덤>, 에이스토리, 2019.
  9. 김성훈.박인제 연출, <킹덤> 시즌2, 넥플릭스, 2020.
  10. 박길성 외, 「전염의 상상력」, 나남출판, 2017.
  11. 박선주, 「메리 셸리의 「최후의 인간」에 나타나는 전염병과 근대 정치」, 「인문논총」 78권 1호,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363-392쪽. https://doi.org/10.17326/JHSNU.78.1.202102.363
  12. 박재영, 「개념의료」, 청년의사, 2018.
  13. 박하림, 「파국의 기원과 멜랑콜리: 2000년대 한국 문화에 나타난 좀비 서사연구」, 「비교문학」 71, 비교문학회, 2017, 5-40쪽.
  14. 송아름, 「괴물의 변화: '문화세대'와 '한국형 좀비'의 탄생」, 「대중서사연구」 19권 2호, 대중서사학회, 2013, 186-224쪽.
  15. 이동신, 「좀비 반, 사람 반: 좀비서사의 한계와 감염의 윤리」, 「문학과 영상」 18권 1호, 문학과영상학회, 2017, 33-51쪽.
  16. 이윤종 「바이러스의 살육성: <괴물>과 <감기>의 기생체」, 「영화연구」 87, 한국영화학회, 2021, 253-288쪽.
  17. 임영훈, 「한국 좀비 영화를 바라보는 시선의 변화: <부산행>과 <곡성>을 중심으로」, 「애니메이션연구」 17권 1호,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21, 223-241쪽.
  18. 최성민, 「판타지의 리얼리티 전략과 서사적 감염: 소설 「흡혈귀」와 영화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을 중심으로」, 「대중서사연구」 25권 4호, 대중서사학회, 2019, 397-428쪽. https://doi.org/10.18856/JPN.2019.25.4.013
  19. 최은영, 「한국 영화에 나타난 감염의 은유 방식 연구: <감기>, <부산행>을 중심으로」, 「건지인문학」 26호, 전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9, 401-421쪽.
  20. 최정민, 「전염병의 서사와 가상공동체」, 「인문언어」 10, 국제언어인문학회, 2008, 367-389쪽.
  21. 최지운, 「한국 사극 속 좀비 캐릭터 연구: <창궐>과 <킹덤>을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56, 인문콘텐츠학회, 2020, 105-122쪽.
  22. 후지타 나오야, 「좀비 사회학」, 선정우 역, 요다, 2017.
  23. Ahmad, Farida B. et al., "Provisional Mortality Data - United States, 2020", MMWR 70(14), CDC, 2021, pp.519-522.
  24. EBS 다큐채널 다큐프라임 <포스트코로나>, 2021.2.5. https://www.youtube.com/watch?v=tchXQgsrP0s(접속 2021.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