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Mobility as Dispositif and its Representations - Mobility-Based Textual Research Method Centered on Mobility and Foucault

장치로서의 (임)모빌리티와 그 재현 -『모빌리티와 푸코』를 중심으로 한 텍스트 연구 시론

  • Received : 2021.09.01
  • Accepted : 2021.10.13
  • Published : 2021.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mobility-based textual research methods raised in Mobility and Foucault and apply them to textual analysis. This book contains seven articles applying Foucault's terms to mobility studies, giving intellectual stimulation to both studies. Since Foucault examined discipline power operated through the technology of distinguishing between rational/irrational and normal/abnormal, his works seem to a study of closed spaces like prisons. However, the authors of this book note that Foucault's works already had sufficient insight on mobility, and them actively incorporated it into mobility study. When we concentrate Foucault's works on mobility as a governmentality and a dispositif, the tension and dynamics between mobility and immobility are emphasized. And then it is possible to cross the simple dichotomy in mobility studies. This paper analyzes Kim Joong-hyuk's short story 1F/B1 by applying this method. This story describes a building manager who seems to be fixed in a building, but the mobility of him in the story goes through stereotypes and creates new spaces. Kim Hye-jin's short stories also represent mobility that cannot move and hesitates. These stories are important in that they show the mobility as a dispositif that constitutes the subject. When referring to the achievements of Mobility and Foucault, we read this narrative again by paying attention to the dynamics of mobility and immobility in the text.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is that it expands mobility-based textual research anew. While text analysis applying mobility study was usually focused on clearly mobile narratives such as travel statements and diaspora narratives, Mobility and Foucault drives new textual research by paying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power and mobility, mobility and immobility dynamics. Therefore, this paper is significant in confirming the new meaning of the text revealed when paying attention to the representation of mobility in the narrative that no one seems to be mobile, and seeking to expand the mobility-based textual research method.

이 연구의 목적은 『모빌리티와 푸코』에서 제기하고 있는 새로운 모빌리티 연구방법을 검토하고, 이를 텍스트 분석에 적용해보는 것이다. 이 책은 푸코의 주요 개념을 모빌리티 연구에 적용한 논문 7편을 담고 있어 양쪽 연구 모두에 지적 자극을 주고 있다. 푸코는 이성/비이성, 정상/비정상을 구분하는 기술을 통해 작동한 규율 권력에 대한 탁월한 연구를 보여주었기 때문에, 그의 작업은 감옥으로 대표되는 폐쇄적 공간에 대한 연구처럼 보이기 쉽다. 하지만 『모빌리티와 푸코』의 필자들은 푸코의 작업에 이미 모빌리티에 대한 충분한 연구가 들어있었음에 주목하며 이를 모빌리티 연구에 적극적으로 접목시킨다. 푸코가 말한 통치성이자 장치로서의 모빌리티에 주목했을 때, 모빌리티와 임모빌리티 사이의 긴장감과 역동성이 강조되어 단순한 이분법을 가로지르는 모빌리티 연구의 가능성이 열린다. 본고는 이같은 연구방법을 적용해 김중혁의 소설 <1F/B1>과 김혜진의 단편소설을 분석한다. <1F/B1>은 건물 안에 흡사 갇혀있는 듯 보이는 건물관리인의 서사를 담고 있지만, 소설 속 관리인의 모빌리티는 기성의 통념을 관통하며 새로운 공간을 창출하는 데에로 나아가며, 김혜진의 단편소설 <목화맨션>, <치킨 런>, <줄넘기> 등은 움직이지 못하고 주저하는 모빌리티의 재현을 통해 주체를 구성하는 장치로서의 모비리티를 보여준다. 『모빌리티와 푸코』의 연구를 참조했을 때 우리는 텍스트 속 모빌리티와 임모빌리티의 역동성에 주목하여 서사를 재독하게 된다. 이 연구는 모빌리티 텍스트 연구를 새롭게 확장한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그간 모빌리티 연구를 적용한 텍스트 분석은 대개 여행기나 표류기, 디아스포라 서사 등 명백하게 이동하는 서사에 집중되어 있었는데, 『모빌리티와 푸코』는 권력과 모빌리티의 관계, 모빌리티와 임모빌리티의 역동성 등에 주목하게 하여 새로운 텍스트 연구를 추동한다. 따라서 이 논문은 아무도 이동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서사 속 모빌리티 재현에 주목했을 때 드러나는 텍스트의 새로운 의미를 확인하고, 모빌리티 텍스트 연구 방법의 확장을 모색한다는 의의를 갖는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중혁, 「1F/B1 일층, 지하 일층」, 문학동네, 2012.
  2. 김혜진, 「어비」, 민음사, 2016.
  3. 김혜진, <목화맨션>, 「2021 젊은작가상 수상작품집」, 문학동네, 2021.
  4. Manderscheid, Katharina, Tim Schwamem & David Tyfield (eds.), Mobility and Foucault, New York: Routledge, 2015.
  5. 김나현, 「국토라는 로컬리티: 1970~80년대 박태순의 국토기행문」, 「사이間SAI」 제30호, 국제한국문학문화연구학회, 2021, 281-312쪽. https://doi.org/10.30760/INAKOS.2021..30.008
  6. 김한상, 「조국근대화 유람하기」, 한국영상자료원, 2007.
  7. 미셸 푸코, 「안전, 영토, 인구」, 오트르망 옮김, 난장, 2011.
  8. 양명심, 「일본명 조선인 작가의 디아스포라 서사와 모빌리티 재현」, 「일본어문학」 제79호, 일본어문학회, 2018, 251-267쪽.
  9. 이승윤, 「소설 「토지」에 나타난 모빌리티 연구: 공간의 재인식과 관계의 재구성」, 「현대문학의 연구」 제72호, 한국문학연구학회, 2020, 359-382쪽.
  10. 이진형, 「새 모빌리티 패러다임과 모빌리티 텍스트 연구 방법의 모색」, 「대중서사연구」 제24권 4호, 대중서사학회, 2018, 337-402쪽.
  11. 전완근, 「1970년대 국토경관의 사회적 구성」,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12. 정은혜, 「모빌리티 렌즈로 바라본 최부의 「표해록」」, 「인문학연구」 제42호,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449-481쪽.
  13. 존 어리, 「모빌리티」, 강현수.이희상 옮김, 아카넷, 2014.
  14. 지그문트 바우만, 「액체근대」, 이일수 옮김, 강, 2009.
  15. 하신애, 「제국의 법역으로서의 대동아와 식민지 조선인의 모빌리티」, 「한국현대문학의 연구」 제57호, 한국현대문학회, 2019, 203-23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