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TO 기반 조선해양분야를 위한 정보화 성과관리모형 제안

Proposal of Informatization Performance Management Model for the ETO-based Shipbuilding and Marine Industry

  • 소승욱 (한국기술교육대학교 IT융합SW공학과, 디에스엠이정보시스템(주)) ;
  • 김승희 (한국기술교육대학교 IT융합SW공학과)
  • 투고 : 2021.01.21
  • 심사 : 2021.04.09
  • 발행 : 2021.04.30

초록

정보기술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정보화 성과 관리 연구와 성과 관리 방법은 매우 미흡하다. 본 논문에서는 협업과 공정상의 복잡도가 높은 조선해양산업의 특성을 반영한 전사적 정보화 성과 평가 및 관리 모형인 SSU-ITPM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모형은 정보화 기획 및 사업관리, 정보화 현업 활용 평가, 정보화 활용 품질 평가, 정보화 사용자 만족도 평가, 정보화 효과 달성 평가로 구성하였다. 또한 D사 적용 사례를 통해 해당 모형의 실무적 활용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조선해양 분야와 같은 ETO 플랜트 기반 기업의 정보화 성과관리에 실무적 참조 모형을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Despite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on information-oriented performance management and performance management methods are very insufficient. In this paper, the SSU-ITPM model, a company-wide informatization performance evaluation and management model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ipbuilding and marine industry with high cooperative and process complexity, was presented. This model consisted of informatization planning and project management, informatization field utilization evaluation, informatization utilization quality evaluation, informatization user satisfaction evaluation, and informatization effect achievement evaluation. In addition, through the application of Company D, the feasibility of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model was confirmed.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a practical reference model for informatization performance management of ETO plant-based companies such as the shipbuilding and offshore sector.

키워드

Ⅰ. 서론

정보기술의 생산성과 안전, 품질은 기업의 업무효율성, 고객서비스, 조직의사결정 및 기업 생존력과 연관을 갖고 있다[1]. 한편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의사 결정을 수행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경영 시스템에 근간한 경영 전략의 수립과 관리 전략은 기업의 성장과 지속 가능성, 조직의 성과에 영향을 미쳐 기업이 경쟁 우위를 확보하고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2]. 특히 경영 전략 측면에서 리더십은 조직 구성원의 성과 및 행동에 긍정적 동기를 부여하며[3][4], 역량 개발을 향상시켜 개인의 이익을 넘어 더 높은 조직 목표를 달성한다[4][5]. 그러므로 고품질의 정보기술을 통해 안정적인 기업 운영 환경을 제공하는 것은 결과적으로 리더십을 강화하게 되어 조직의 경영전략과 목표 달성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제공한다. 이러한 이유로, 공공기관의 정보기술 투자도 지속적으로 증가해오고 있으며[1], UN에서는 국가정보화역량을 매우 중요하게 다루고 있어 매년 전자정부 수준 등을 측정하여 발표하고 있으며, EU에서는 국제 디지털경제사회지수(I-DESI) 등을 측정하여 발표하고 있다. 민간의 경우도 사업 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ICT 기술을 적용한 신규 투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 기술, 산업, 사회, 문명의 혁명으로 간주되고 있는 4차 산업 혁명 시대가 도래하면서 관련 기술을 접목한 SW사업의 시장 규모가 일제히 상승하고 있다[6].

SPRI의 2019 소프트웨어산업 전망 보고서[6]에서 분석한 시장 규모 확대의 구체적인 요인을 살펴보면, 패키지 SW의 경우 클라우드 전략의 확대와 신기술을 연계한 AI 기술의 적용 산업 분야의 확대를 들 수 있으며, IT서 비스 부문의 경우 신SW 기술기반 비즈니스 모델의 개발과 기업 간 전략적 협업의 확대에 기인하고 있으며, 인터 넷SW 부문의 경우 AI기반 서비스 경쟁 확대가 주요 원인 중 하나로 분석되고 있다. 그러나 김지현과 조영임의 연구[7]에 의하면 이러한 정보기술의 중요성 증대와 확대 추세에도 불구하고 국가 정보화 관리역량 527개를 기준으로 분석한 모델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그림 1과 같이 정보화 성과 관리 역량 개발이 매우 미흡한 상태에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실제로 정보화 운영 성과 관리의 문제는 2017년 감사연구원 보고서[8]를 통해서도 심각성을 알 수 있는데, 그림 2 와 같이 지적된 IT감사사례 중 457개의 감사 처분 요구사항이 시스템 운영과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OTNBBE_2021_v21n2_157_f0001.png 이미지

그림 1. 공공기관((위) 및 민간기관(아래) 국가정보화역량 교육현황[7]), 인용 및 재구성

Fig. 1. Public institutions (above) and Private institutions (below) current state of national information competency education[7]

OTNBBE_2021_v21n2_157_f0002.png 이미지

그림 2. 2012 ~ 2015년 IT감사 사례 분석 결과[8]

Fig. 2. 2012~2015 IT Audit case analysis result[8]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조직 전략적 측면으로 정보화 운영 현황의 바람직한 미션과 기준을 수립하여 이의 달성 상태를 꾸준히 관리하고 측정하고 개선해 나가기 위한 성과 관리는 정보 시스템 운영을 위한 바람직한 해결 및 개선 방안이 된다. 민간의 경우 산 업 별 특성에 따라 매우 상이할 뿐만 아니라 운영의 적정성, 유지의 용이성, 비용의 효율성 등 비용 측면의 운영성과 환산 기준과 인정 범위도 달라 더욱 어렵고 복잡한 양상을 보인다. 특히, 조선해양산업은 대표적인 ETO(Engineering To Order) 산업으로 선주로부터 주문이 결정되면 이에 맞춰 설계, 자재구매, 조달, 생산 등의 다양한 작업이 동시에 진행되는[9] 융∙복합 산업의 하나이다. 공정에 있어서도 프로세스의 복잡도가 높고 난이도가 상이하며, 각 공정의 각 세부 단계마다 다수의 기업이 협업의 형태로 진행되지만, 여기에는 표준화되지 않은 기업 간, 또는 기업마다의 다양한 방법과 절차가 존재한다. 이러한 이유로 조선해양산업의 경우 정보화에 대한 요구는 매우 높은데 반하여, 이를 얼마나 효율적으로 정보화하여 고품질의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지 또는 정보시스템에 기초한 경영 전략 수립 및 리더십 제고 측면에 얼마나 기여하고 있는지 등 정보화 측면의 성과 측정이 매우 중요하고도 어려운 상황이다. 특히 2008년 세계 경제위기 이후 조선해양산업은 그림 3과 같이 세계 선박 발주량이 2009년 81% 감소 이래로 계속 조정 과정에 있으며 2016년 86%, 2017년 79%의 감소 결과 상태에 있고, 선박운임지표도 현재 회복세 초기에 머무르고 있는 경영 악화 상황에서는 기업의 생산성, 안전, 품질과 같은 요건이 기업의 생존과 직결되기 때문에 경영 전략 측면OTNBBE_2021_v21n2_157_f0003.png 이미지에서 보수적 투자가 불가피하고, 따라서, 정보화 성과에 대한 정확한 측정과 관리는 더욱 중요시된다.

 

그림 3. 세계 선박 발주량[10]

Fig. 3. World ship Order[10]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매우 미흡한 상태에 있는 정보화 성과 관리 연구와 성과 관리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러한 성과 관리 방법을 복합적으로 적용한 성과 평가 모형을 제안한다. 또한 대표적인 융복합 산업인 조선해양 분야에 적용한 사례 제시를 통해 평가 모형의 실무적 적용성을 평가한다. 본 연구는 복잡도가 높은 조선해양 산업을 위한 정보화 성과관리를 위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조선해양산업에 있어 정보화 성과관 리를 위한 실무적 참조 모형을 제공할 것이다.

Ⅱ. 사전 연구

1. 성과관리 모형들

가. IS (Information System) Success 모델

Delone et al.[11]은 정보시스템 성공 지표를 6개로 분류한 성과 관리 모형을 제시하고, 최초로 정보시스템 성공 측정 지표들에 대하여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 결과를 확장하여 Pitt et al.[12]은 정보시스템 성공 모델에 서비스 품질 항목이 추가된 모형을 제시하였고, Seddon[13]은 사용자의 참여자 관점의 평가 항목 측정 모델을 제시하였다. 최종적으로 Deloan과 McLean[12][13]은 그림 4 와 같이 새로운 정보시스템 성공 모형의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그림 4의 성공 지표는 정보를 처리하는 기술적 기능측면의 ‘시스템 품질(system quality)’과 정보의 정확성·적시성 등을 다루는 ‘정보 품질(information quality)’, 정보시스템을 얼마나 활용하는지에 대한 ‘이용도(use)’, 정보 시스템 이용자들의 인지적 반응인 ‘사용자 만족도(user satisfaction)’, ‘개인의 업무효과(individual impact)’, 조직 전체에 미치는 영향인 ‘조직효과(organization impact)’이며, 성공 요인들 간의 관련성이나 이익이나 영향을 화살표로 표시하고 있다. 본 모델은 시스템, 정보, 서비스 질이 시스템의 사용도, 사용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고, 이것은 결과적으로 개인과 조직의 성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해석하여, 많은 정보시스템 평가의 측 정 지표로 활용되고 있다.

OTNBBE_2021_v21n2_157_f0004.png 이미지

그림 4. Deloan과 McLean의 정보시스템 성공 모델[11]

Fig. 4. Deloan과 McLean’s Information system Success Model[11]

나. 성과 참조 모델 (PRM : Performance Reference Model)

PRM 은 조직에서 수행하는 정보화 사업 및 기타 IT 관련 투자사업의 일관된 성과측정 및 관리를 지원하고, 해당 사업이 조직의 업무기능 성과와 정책목표달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표준화된 성과관리체계[14][15]로 그림 5는 PRM 프레임워크를 도식화한 것이다. 미국의 OMB(Office of Management and Budget, 예산 관리처)에서 연방정부의 전체업무구조(Federal Enterprise Architecture)하에 전자정부 사업성과를 평가하고자 제시 되었으며 상호 협력을 기반으로 의사결정의 개선된 결과물을 도출한다. 정보기술 적용 사업은 조직의 다양한 업무와 시스템이 조직의 비전, 목적, 전략에 부합해야 하는데, PRM은 이러한 조직의 정보화 성과가 조직의 성과 달성에 정렬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PRM 의 프레임워크를 보여준다.

OTNBBE_2021_v21n2_157_f0005.png 이미지

그림 5. 미국 PRM 프레임워크[14]

Fig. 5. PRM Framework of USA[14]

우리나라 공공부문에서는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범정부 PRM[17]을 개발 및 보급함으로써 IT 성과를 보다 세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반을 제시하였다. PRM은 평가 분류의 체계를 구분함으로써 성과의 유형을 크게 투입(input), 산출(output), 효과(outcome)로 분류하고 있다. 이러한 성과 간에는 인과관계가 형성되어 있어 성과는 시차를 두고 나타난다.

그림 6은 우리나라 범정부 PRM에 대한 활용에 대한 내용으로 성과평가, 예산관리제도와 정책 및 사업수준과의 상호연관관계를 보여준다. 특히 정보화에 사전 및 사후 평가를 통해 대한 재무적인 성과관리와 예산 관리가 어떻게 연계되는지를 보여준다. 즉, 시스템 개발 완료 직후에 기술적 성과(투입: input)를 평가할 수 있는 반면 프로세스 개선(산출: output)과 효과(outcome) 등은 새로운 정보시스템에 대한 숙지와 활용도가 일정 수준에 도달한 후에나 가능하다. 이에 따라 정보화 성과평가 시 다양한 유형의 성과를 반영해야 하며, 평가 시점에 맞춰 적절한 평가 대상을 선정하는 것이 필요하다[1][17].

OTNBBE_2021_v21n2_157_f0006.png 이미지

그림 6. 한국 범정부 PRM 활용[17]

Fig. 6. PRM utilization of Korea government[17]

다. BSC (Balanced Score Card) 모델

Norton & Kaplan 이 제시한 BSC 모형은 최고경영자가 사업성과를 종합적 관점에서 측정할 수 있게 도와주는 성과측정기법이다[18]. BSC 에서는 조직의 성과 측정을 위해 전통적인 재무적 측면뿐만 아니라 종합적 고객만족, 내부 프로세스, 조직의 학습과 성장력 측면을 종합적으로 고려한다. 정보화 정책은 조직 전체적 차원에서는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경쟁력을 높인다는 측면이 있으며, 개별 조직 차원에서는 부여된 미션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이 된다.

한편 Grembergen은 IT 사업과 조직에 대한 성과 평가를 위한 정보화 성과 BSC모형을 제안하였다[18]. 표 1 과 같이 IT BSC는 IT 투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사용자 지향, 경영기여, 운영의 우수성, 미래지향적 관점으로 재설계한 IT조직을 위한 BSC이다[18]. 사용자 지향 관점은 사용자에 의해 더 선호되는 정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며, 경영 기여 관점은 IT 투자로부터 비용 및 사업 가치 측면의 타당한 경영성과를 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운영의 우수성 관점은 정보기술을 얼마나 효과적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IT Application 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미래지향 관점은 IT가 미래의 사업적 요구사항을 잘 충족하여 미래의 도전에 대처할 수 있는 기회를 개발하는 것을 의미한다.

표 1. Van Grembergen 의 IT BSC 기본 모형[18][19]

Table 1. Van Grembergen’s IT BSC basic Model[18][19]

OTNBBE_2021_v21n2_157_t0001.png 이미지

라. SCOR (Supply Chain Operation Reference) 모델

SCOR는 경영 컨설팅 기업인 PRTM이 1996년에 처음 개발[했으며, SCM (Supply Chain Management) 상의 프로세스를 표준화하고 결과나 성과를 측정할 수 있다. SCOR 모형은 그림 7 과 같이 공급사슬상의 계획(plan), 조달(source), 생산(make), 배송(deliver), 반품(Return) 의 5가지 프로세스를 포함하며, 프로세스를 설계하고 성과를 측정하며, 측정된 결과를 반영하는 체계적인 성과관리 방법론으로서 협업 위주 제조업의 공급사슬 상에서 발생하는 전반적인 프로세스 및 성과지표를 효과적으로 다룰 수 있다.

OTNBBE_2021_v21n2_157_f0007.png 이미지

그림 7. SCOR 모형의 관리 프로세스 영역[20]

Fig. 7. SCOR model Management Process area[20]

SCOR 모형의 상위 수준의 성과지표로는 신뢰성(reliability), 대응성(responsiveness), 유연성(flexibility), 비용(costs), 자산(assets)을 제시하고, 공급사슬의 성과를 고객 및 내부 관점에서 균형 있게 측정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상위 성과지표는 다시 하위 성과지표들로 계층적으로 구분되며, 이들은 공급사슬의 세부 프로세스와 연계됨으로써 결과를 측정하고 분석할 수 있게 한다[20].

2. 선행 연구

성과 관리와 관련한 최근의 연구는 크게 성과관리 정책 및 제도에 대한 연구, 성과관리 모델에 관련된 연구와, 성과 관리 사례 연구들로 분류할 수 있다.

먼저 성과 관리 정책 및 제도와 관련하여 살펴보면, 김충영[16]은 구체적인 목표의식이 결여된 정보시스템의 경우 실질적인 성과를 보여주지 못하기 때문에 적정한 성과평가제도 확립의 필요성을 주장하며, IS Success모형을 적용한 공공부문 정보기술 성과 평가를 위한 IT성 과 실현 방법 및 원칙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윤식 등[21]은 성과 관리의 제도적 측면과 관리체계, 지표, 환류 등과 같은 운영적 측면을 모두 고려하여 성과관리 패러다임, 성과관리 체계, 성과관리 모형으로 구성된 공공부문 정보화 성과관리를 위한 분석틀을 제시하였다. 정명주[22]는 공공부문에서 정보화 계획과 예산을 연계한 평가 체계를 제시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성과관리 방안이 구현될 수 있는 제도적 장치 마련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성과 관리 모델에 대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호진원 등 [23]은 공공기관 정보기술 성과 평가모형에 관한 연구를 통해 성과지표를 5개의 평가영역으로 분류하고 각 평가 영역의 타당성을 검증하여 IT BCS에서 제시하는 4개 평가 영역과 비교를 통해 새로운 평가 모형의 균형성을 증명했으며 본 모형을 토대로 기존 성과평가 방법들을 비교 분석하는 연구를 통해 국내 평가 모형의 평가 균형측면에서 미흡한 것을 제시했다. DeLone 등[24]는 IS Success 모형의 6가지 범주(시스템 품질, 정보 품질, 사용, 사용자 만족, 개발 영향 및 조직적 영향)를 활용하고 180개 경험적 연구논문을 검토하여 정보화 시스템의 성공에 미치는 영향을 제시하였다. 신지혜 등[25] 은 BIM(Building Information Management)에 IT BSC 모델을 기반으로 BIM 적용에 의해 창출된 성과를 균형 있게 평가할 수 있는 BIM 성과 평가체계를 제시하였다. 이석준 등[14]은 미연방의 PRM을 통해 조직의 다양한 업무와 시스템이 조직의 비전, 목적, 보함 여부를 평가 가능케 하며 조직 내의 정보화 사업의 성과가 조직의 성과 달성에 정렬될 수 있도록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설명하고 국내 실정을 반영한 PRM 분류체계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성과관리사례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 임태수 등[26]은 EA 거버넌스를 위한 조직과 인력을 정비하고 수행 업무를 명시함으로 지속적인 EA 관리 및 활용이 가능한 기반을 구축하고, 업무정보화관리시스템, 프로그램변경관리시스템, 데이터 품질관리시스템, 인트라넷, 인 사관리시스템, 통합자원관리시스템과 연계함으로써 실질적인 EA 활용이 가능하도록 한 사례를 통해 성과지표 및 평가기준의 한계에 대한 문제점을 보여주고 성과관리 개선 방향을 제시했다. 정지환 등[20]은 SCOR 모형에 기반을 두어 제조 협업에서 양자가 합의할 수 있는 협력적 성과지표(CKPI: Collaborative Key Performance Indicators)를 도출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바탕으로 제조 협업에 대한 종합적인 성과 만족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특히, 기업 간에 체결되는 서비스 수준 계약(SLA: Service Level Agreements)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Sigmoid 함수를 이용한 성과 만족도 함수를 도입하였고 제시된 협력적 성과 측정 및 관리 방법은 점차 확대되고 있는 협업 프로세스에서 상호 합의할 수 있는 정량적 지표를 개발하고 성과를 측정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음을 제시했다.

Ⅲ. 정보화 성과 관리 모형 제안

1. 성과관리 모형도

조선해양분야의 주요 업무는 개요적으로 Sales, Engineering, Production, Procurement, Corporate Management 의 value chain으로 표현된다. 각 단계 별로 살펴보면, Sales는 고객관리/견적관리/AS관리, Engineering은 기본/상세/생산설계 및 연구, Production은 생산기술/생산계획/생산실행 및 설비관리/품질관리, Procurement는 조달 및 Logistics 마지막으로 Corporate management는 지원관리 분야(인사/총무, 재경 및 전략)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업무를 수행하거나 지원하기 위하여 각 단계별 주요 정보서비스로는 그림 8과 같이 Sales 단계에서는 견적관리시스템, A/S(After Service)시스템, Engineering단계에서는 CAD 및 설계관리시스템, Procurement단계에서는 조달협업시스템 및 물류시스템, Production 단계에서는 MES(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전사관리(Corporate Management) 단계에서는 ERP (Enterprise Resource Management) 시스템이 주요 정보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정보 서비스는 전사적 차원에서 기획되고, 구축되어 운영되다가 어느 시점이 도면이 폐기되거나 재구축 또는 재개발되는 생명주기를 거치게 된다. 따라서 정보화 성과관리를 위해서는 업무적 value chain 이외에 전략적 요구에 대한 성과관리가 수반되어야 하며, 우리는 이러한 개념을 적용하여 그림 9와 같이 SSU-ITPM (IT Performance Management) 모형을 제안한다.

OTNBBE_2021_v21n2_157_f0008.png 이미지

그림 8. 조선해양분야 주요 업무 Value Chain

Fig. 8. Value chain of Major Business in the shipbuilding & Offshore Field

OTNBBE_2021_v21n2_157_f0009.png 이미지

그림 9. SSU-ITPM (IT Performance Management)모형도

Fig. 9. SSU-ITPM (IT Performance Management) Model

SSU-ITPM 모형은 IS-SUCCESS, IT BSC, SCOR 및 PRM 모형의 주요 특성과 장점에서 조선해양분야에 가장 적합하도록 성과 평가 항목과 지표를 선별적으로 적용하였다. 그림 9는 SSU-ITPM 성과관리 모형을 나타내며, 정보화 기획/사업관리 평가, 정보화 현업 활용 평가, 정보화 활용 품질 평가, 정보화 사용자 만족도 평가, 정보화 효과 달성 평가로 구성된다.

정보화 현업 활용, 정보화 활용 품질과 정보화 사용자 만족도 평가는 정보화 효과 달성 평가의 입력 정보가 되어 전사 경영전략 성과를 통해 정보화 효과를 정량적, 정성적으로 반영할 수 있다. 성과 결과는 SLA 를 통해 공식화되며 이후 정보화 기획/사업관리의 입력값으로 참조됨으로써 정보화 기획/전략, 구축, 운영의 전체 과정을 통한 평가가 가능하다. 정보화 현업 활용 평가는 SCOR 모형에서 모기업과 협업을 하는 협력사를 모두 포함해서 정보화 시스템의 신뢰성, 대응성, 유연성에 대해 적용했다. 이는 기존 정보화 평가가 모기업만 대상으로 한정되 었다면, 공급사슬 전반으로 정보화 성과관리를 확대한다는 의미가 되어 정보화의 성과를 포괄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는 협력사/중소기업의 중요성[27]을 정보화 성과 측면에서 반영하는 것으로 정보화 지원의 실효성을 제고한다.

정보화 활용 품질 평가는 IS-SUCCESS 모형의 기능 측면의 시스템 품질 (System Quality) 및 정보 정확성/적시성의 정보 품질 (Information Quality) 을 적용했으며, 정보화 사용자 만족도 평가는 마찬가지로 IS-SUCCESS 의 정보 시스템을 얼마나 잘 활용하는지에 대한 이용도(Use) 및 사용자 만족도 (User Satisfaction) 및 개인 업무 효과와 조직 효과를 적용했다. 정보화 효과 달성 평가는 IT BSC의 사용자 지향, 경영 기여, 운영의 우수성 및 미래 지향 관점을 적용했으며, 이 4개의 관점에서 정보화 현업 활용, 정보화 활용 품질 및 사용자 만족도에 대한 성과가 집결될 수 있게 되며, SLA를 통해 회사 전체 경영 측면에서 정보화의 성과를 평가하게 된다. 정보화 기획/사업관리 평가는 PRM 모형의 다양한 조직의 정보화 성과가 조직의 성과 달성에 정렬될 수 있게 하여 정보화 기획 및 정보화 사업관리의 성과를 평가한다. 올바른 정보화 기획 및 사업관리는 Input (인력, 비용, 자원) 대비 높은 가성비의 Output(산출)과 Outcome(효과)를 만들어내게 된다. 기존은 정보화 성과 평가는 시스템 구축과 운영에 한정적이였다. 정보화 기획 및 사업관리의 성과평가를 포함한 것은 정보화 상류에서 올바른 평가를 통해 구축 및 운영의 선순환을 만드는 것이 목적이며 SSU-ITPM 모형의 가장 큰 특징이 된다.

2. SSU-ITPM 모형 상세

각 절차 별 성과 관리 모형은 정보화 협업 활용 평가, 정보화 활용 품질 평가, 정보화 사용자 만족도 평가, 정보화 효과 달성 평가, 정보화 기획/사업관리 평가 분야로 구성되며 그림 10 은 SSU-ITPM 모형의 특징과 분야별 작동 흐름을 나타낸다.

OTNBBE_2021_v21n2_157_f0010.png 이미지

그림 10. SSU-ITPM 모형 특징

Fig. 10. SSU-ITPM model features

가. 정보화 현업 활용 평가

정보화 현업 활용 평가는 정보화 요청조직이 IT시스 템 도입 후 얼마나 제대로 사용하는가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지표이다. 정보화 요청 조직(원)의 사용도, 데이터 사이즈 증가, 사용자 수 의 확인을 통해 정보화 활용을 양적 측면에서 잘 사용하는 것을 평가한다.

나. 정보화 활용 품질 평가

정보화 활용 품질 평가는 정보화 요청 조직의 기대했던 정보화 활용 목적과 정보화를 통해 기대했던 업무 효과, 즉 정보화 질적 측면 활용도를 평가한다.

다. 정보화 사용자 만족도 평가

협력사(외부) 사용자를 포괄하는 요청조직원들의 만족도를 평가 및 정보화 요청 조직 의사결정자/관리자의 만족도를 평가한다.

그림 10의 SSU-ITPM 모형 특징 (1)번 화살표는 IS-SUCCESS 모형의 기능 측면 시스템 품질, 정보 정확성/적시성 시스템 품질, 정보시스템 이용도(USE) 및 정보시스템 만족도 측면에서 System Quality, Information Quality, USE, User Satisfaction의 지표를 활용하였다. 또한 SCOR 모형을 통해 협력사 사용자의 정보화 활용, 정보화 활용 품질 및 정보화 사용자 만족도 평가를 취합했다.

조선해양산업의 특성상 협력사 사용자가 50% 정도 차지하며, 이들의 만족도 평가 포함을 통해 협업 Value Chain 효과를 반영할 수 있다. 협업 사용자 조직의 의사 결정자들의 만족도를 파악해서 정보화 투자 및 추진의 선순환을 가능하게 한다.

라. 정보화 효과 달성 평가

그림10의 SSU-ITPM 모형 특징 (2)번 화살표는 정보화 현업 활용 평가, 정보화 활용 품질 평가 및 정보화 사용자 만족도 조사를 통해 정보화 정성적/정량적 결과를 회사 전략 목표, 성과 목표, 핵심성과지표와 연계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 성과는 그림10 SSU-ITPM 모형 특징 (3)번 화살표처럼 SLA (Service Level Agreement)를 통해 평가된다. SLA는 회사 전략과 매핑이 되어 있으나 정보화 성과 평가를 위해서는 항목들이 운영에 방점을 두고 있다. SSU-ITPM 적용을 위해 SLA의 내용 보완이 필요하다. 즉 운영 항목 외에 개발 및 기획 항목 추가가 필요하다. 그림 10 SSU-ITPM (4)번 화살표를 통해 SLA의 결과가 회사 조직의 성과로 정렬된다는 내용으로 PRM모형의 성과 방법을 참조했다.

마. 정보화 기획/사업관리 평가

정보화 사업관리평가는 사전 연구들에서는 간과되었던 성과 측정 및 관리부분으로, 조선해양산업은 매년 수 많은 시스템이 도입/구축 요청되고, 상당 금액의 투자가 동반됨으로 사업관리측면의 성과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정보화 사업관리 평가단계에서는 조직의 미션과 비전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략적으로 어떻게 정보화를 추진할 것인가에 대한 계획과 그 계획이 구체적으로 구현되는 사업 수행 관리에 대한 성과와 효율성을 측정한다.

그림 10 (5)번 화살표는 정보화를 통한 조직의 성과를 정보화 기획 및 사업관리 평가로 환류시키는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정보화를 통해 조직의 성과를 가시화를 통해 정보화 기획을 활성화시키는 목적이며 정보화 사업 관리는 정보화 사업관리를 체계적으로 하는가를 평가에서 측정한다는 의미이다.

Ⅳ. 조선해양분야 모형 적용 사례

1. 기업소개

D사는 40년 이상 조선해양 엔지니어링/생산을 전문으로 하는 글로벌 Top 3에 포함되는 기업으로 LNGC/VLCC 및 FPSO(해양 플랫폼) 분야에 특화된 제조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 2017년 정보화 분야 역량 강화를 위해 정보시스템 및 PI(Process Innovation) 조직을 조선/해양 ICT전문기업으로 분사시켜, 정보화 업무 전문화를 추진하고 있다.

2. 정보시스템 현황 및 SSU-ITPM 적용 배경

D사는 조선해양분야 불황 극복을 위해 다양한 활동을 추진 중에 있으며, 2018년부터 대규모 정보화 Project 인 FR(Fast Recovery) Project 등을 추진하면서 시스템 기반의 경영혁신에 집중 추진 중에 있다. 중요 정보 시스 템 서비스는 그림 11과 같으며, 분야별 시스템들은 조선 해양 프로세스 특성을 잘 반영해서 업무를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매년 수많은 시스템들이 추가되고 기 개발된 시스템들은 기능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이 수많은 정보시스템의 성과를 제대로 관리하기 위한 조선해양 분야에 적합한 새로운 성과관리 방법이 필요했으며, 이를 위해 Corporate management 부문에 대하여 SSU-ITPM 을 적용하여 정보화 기획/사업관리 평가, 정보화 현업 활용평가, 정보화 활용 품질평가, 정보화 사용자 만족도평가, 정보화 효과 달성평가를 실시하였다.

OTNBBE_2021_v21n2_157_f0011.png 이미지

그림 11. Value chain 별 주요 정보시스템 서비스

Fig. 11. Major information system services by value chain

표 2 는 조선해양 분야 분야별 주요 정보화 시스템과 기능이며 분야별 업무에 최적화되어 운영되고 있음을 보여 준다.

표 2. 분야별 주요 시스템 및 기능

Table 2. Major information system and Function

OTNBBE_2021_v21n2_157_t0002.png 이미지

3. SSU-ITPM 모형 적용

조선해양 Value Chain 에서 관리 영역(Corporate Management) 분야에 시범 적용을 통해 표 3과 같은 적용 결과를 도출했다.

표 3. SSU-ITPM 적용 사례

Table 3. SSU-ITPM application case 단위평가 평가항목

OTNBBE_2021_v21n2_157_t0003.png 이미지

“정보화 현업활용평가” 에서는 요청 조직(원)의 활용 여부를 정성적 측면에서 확인과 정량적 측면에서 사용 확인, 즉 데이터 사이즈 증가량, 사용자 수 변화에 대해 측정을 통해 현업 활용도 측면에서 평가를 진행했다.

“정보화 활용품질평가” 에서는 요청 조직(원)의 활용 목적 달성 여부, 업무 효과 달성 여부를 평가한다. 요청 조직인 생산예산부는 정보화 시스템 활용에 대한 목적 달성에 대해 구체적, 공식적 자료를 통해 정보화 시스템에 대한 질적 활용도를 파악할 수 있었다.

“정보화 사용자만족도평가” 는 요청 조직의 조직원의 만족도와 조직장(스폰서)의 만족도를 같이 파악한다. 이를 통해 정보화 시스템에 대한 관심을 사용자와 의사결정자 모두에게 인식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정보화 효과달성평가”에서는 앞선 3가지 평가의 결과를 정성적, 정량적 목표 달성을 취합하는 단계로 기존 정적인 SLA와 연계애서 정보화 효과를 통합하는 과정이다. 생산예산부 조직은 신규 도입된 월간생산관리시스템을 통해 조직의 목적을 달성했으며 기존 작업 대비 90% 의 효과달성을 증빙했으며, 이를 통해 정보화 조직은 정량적으로 시수가 절감되었음을 공식화할 수 있었다. D 사의 경우 비수익 공사(Project) 는 시간당 19,000원을 효과로 인정한다. 정량적 효과 계산을 예를 들면 200명 일 1시간의 효과를 봤다면 9억1천2백만원(200명 * 1h* 20일/월 * 12월/년 * 19, 000원)으로 정량적 효과를 인정받게 된다.

“정보화 기획/사업관리평가” 에서는 올바른 정보화 기획과 과제(Project)관리를 평가하게 된다. 기존 SLA 에서는 이 분야에 대한 평가가 전무하며 이 분야 평가를 통해 IT전략, 기획 단계 및 사업관리 단계에서 정보화에 성과에 대한 관심을 끌어낼 수 있다. 정보화 상류 단계부터 정보화 성과를 관리한다는 목표로 추진한다.

4. 적용 전후 비교

SSU-ITPM 모델을 적용한 성과관리와 기존 SLA 성과 관리를 표 4 와 같이 비교했다. SSU-ITPM 의 특징을 종합하면, 조선해양과 같이 거대 수주 산업에서 묻히기 쉬운 정보화의 성과를 “정보화 기획-정보화 프로젝트 관리 결과-개발-운영” 의 정보화 수명주기 전체를 대상으로 정보화 성과평가를 포괄적으로 실행했다는 점이며, 복합적인 협업이 요구되는 조선해양산업에서 정보화 평가에 협력사 사용자의 만족도를 포함한다는 점이며, 이를 위해 정보화 성과평가 분야에서 기검증된 다양한 이론을 융.복합적으로 적용한 점이다. 향후 SSU-ITPM을 전사적으로 확대 적용 예정이다. 또한 SSU-ITPM 모형 구성 요소 5개 항목별 성과평가에 대한 인과관계의 구체화를 통해 SSU-ITPM의 이론적 토대를 발전시키고자 한다.

표 4. SSU-ITPM 적용과 SLA 비교

Table 4. Comparison between SSU-ITPM and SLA

OTNBBE_2021_v21n2_157_t0004.png 이미지

또한 SSU-ITPM 결과에 대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고객만족의 정보화 실효적 성과를 분석을 진행할 것이다.

Ⅴ. 결론

정보시스템은 조직의 효율적 운영을 지원하고 조직의 성과를 기여하는 주요한 도구가 되었다. 정보시스템에 대한 예산과 투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구체적인 성과를 산출하지 못한다면 이는 투자에 대한 기본적인 의무를 이행하지 못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활용중인 성과관리 모델과 조선해양산업에서 정보화 성과관리사례 분석을 통해 조선해양산업에 적합한 성과관리 모델인 SSU-ITPM 모델을 개발하고 적용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그 활용가능성을 검증하였다.

최근 평가 시스템은 동영상 정보를 통한 성과 평가 및 검증, IIOT를 활용한 지능형 기술과 서비스와의 접목[28] 형태로 진화되고 있어 SSU-ITPM도 이러한 기술들의 적용을 통해 보다 효과적이고 공정한 평가를 위한 다양한 평가 정보 관리 방법으로의 진화를 고민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성과 측정 시 성과 지표와 과정지표를 상호 연계한 달성 수준 평가가 품질 경영에서 주요하게 다루어지는 추세[29]를 반영하여 SSU-ITPM도 중간 평가 제도를 도입하여 과정지표 이행 수준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에 대한 검토가 필요시 된다. 본 모델은 조선해양 분야와 같이 규모가 크고 복잡도가 높은 ETO 기반 기업의 정보화 성과관리 분야에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1. Jae-Young Kim, "A Study on Evaluation Indicators for Information Performance Management-A Focused on the Case of Public Institutions", Gyeongsang Journal, Vol. 36, No. 1, pp. 69-85, 2016.
  2. Carpenter, Mason A., "The implications of strategy and social context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op management team heterogeneity and firm performance",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 23, No. 3, pp. 275-284, 2002. DOI: https://doi.org/10.1002/smj.226
  3. Sorensen, Jesper B., "The strength of corporate culture and the reliability of firm performance",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 47, No. 1, pp. 70-91, 2002. DOI: https://doi.org/10.2307/3094891
  4. Elenkov, Detelin S., William Judge, and Peter Wright., "Strategic leadership and executive innovation influence: an international multi-cluster comparative study",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 26, No. 7, pp. 665-682, 2005. DOI: https://doi.org/10.1002/smj.469
  5. Moon-Jun Kim, "A Study on the Impact of Management's Strategic Leadership and Management Strategy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Focusing on Small and Medium Venture Companies",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Vol. 9, No. 1, pp. 121-131, 2020. DOI: https://doi.org/10.7236/IJASC.2020.9.1.121
  6. KISDI, Outlook for the software industry in 2019
  7. Ji-Hyun Kim and Young-im Jo, "A Study on National ICT Competency Model",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Vol. 15, No. 6, pp. 275-281, 2015 DOI: https://doi.org/10.7236/JIIBC.2015.15.6.275
  8. Audit Institute Audit Research Institute, Annual Reprot of Audit Institute Audit Research Institute, 2017.
  9. Dong-Ki Kim and Seung-Hee Kim, "Neutral data generation algorithm for EPC-based manufacturing process collaboration",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Vol. 20, No. 1, pp. 1-9, 2020. DOI: https://doi.org/10.7236/JIIBC.2020.20.1.1
  10. Shipping Intelligence Weekly- Clarksons Research, https://www.clarksons.com/services/research/
  11. Delone, William H., and Ephraim R. McLean., "The DeLone and McLean model of information systems success: a ten-year update",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Vol. 19, No. 4, pp. 9-30, 2003. DOI: https://doi.org/10.1080/07421222.2003.11045748
  12. Pitt, Leyland F., Richard T. Watson, and C. Bruce Kavan, "Service quality: a measure of information systems effectiveness", MIS quarterly, pp. 173-187, 1995. DOI: https://doi.org/10.2307/249687
  13. Seddon, Peter. B., "A respecification and extension of the DeLone and McLean model of IS success",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 8, No. 3, pp. 240-253, 1997. DOI: https://doi.org/10.1287/isre.8.3.240
  14. Seog-Jun Lee, Suk-Jin Cho, Seung-Un Oh and Yong-Jae Kim, "An Empirical Study on PRM(Performance Reference Model) Framework",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Architecture, Vol. 5, No. 1, pp.53-68, Apr. 2008.
  15. Kyung-Ihl Kim, "An exploratory study of the IMS performance measurement model using the information system success model", Digital Convergence Research, Vol. 12, No. 3, pp.127-140, 2014. DOI: https://doi.org/10.14400/JDC.2014.12.3.127
  16. Chung-Young Kim,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of Information Technology Performance Evaluation in Public Sector: Perspective of Performance Realization", Digital Convergence Research, Vol. 9, No. 2, pp.15-31, 2011. DOI: https://doi.org/10.14400/JDPM.2011.9.2.015
  17.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Pan-Government Performance Reference Model 1.0, 2008
  18. Kaplan, Robert S., and David P. Norton, "Using the balanced scorecard as a strategic management system", 1996.
  19. Chang-Gyu Kim and Won-hee Park,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System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Methodology", Journal of the Korean Industrial-Academic Technology Association, Vol. 17, No. 8, pp. 527-535, 2016. DOI: https://doi.org/0.5762/KAIS.2016.17.8.527 https://doi.org/10.5762/KAIS.2016.17.8.527
  20. Ji-Hwan Jung, Jae-Yoon Jung, Dong-min Shin and Sang-Guk Kim, "Development and measurement of cooperative performance indicators of new manufacturing collaboration based on the SCOR model", The Korean Journal of Electronic Commerce, Vol. 15, No. 1, pp. 157-171, 2010.
  21. Yun-Sik Lee, Jin-Wan Seo, Yeon-Jeong Jeong and Seung-yong Noh,"Analysis of the status of informatization performance management in the public sector and measures for improvemen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Local Information Chemistry, Vol. 11, No. 3, pp. 1-30, 2008
  22. Myung-Joo Jeong, "Informatization Performance Management Focusing on the connection between informatization plan-budget-evaluation", Journal of the Seoul Public Administration Association Conference, pp. 237-254, 2003
  23. Jin-Won Ho and Chung-Young Kim, "A Study on the Evaluation Model of Information Technology Performance in Public Institutions: A Perspective of Validity and Balance", NIA Information Policy, Vol. 16, No. 1, pp. 0-0(1page), Mar. 2009.
  24. DeLone, W. H., and McLean, E. R., "Information systems success: The quest for the dependent variable",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 3, No. 1, pp. 60-95, 1992. DOI: https://doi.org/10.1287/isre.3.1.60
  25. Ji-Hye Shin, Jung-Sik Choi, In-Han Kim and Doo-Young Yoon, "A Study on Development of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BIM Property Information", Society for Computational Design and Engineering, Vol. 21, No. 2, pp. 130-142, 2016. DOI: http://dx.doi.org/10.7315/CADCAM.2016.130
  26. Tae-Soo Lim, Seo-Jun Lee, Jeong-Ik Min and Sung-Sik Park, "A Research on Improvement of Informatization Output Management System", Informatization Research, Vol. 13, No. 3, pp. 421-430, 2016.
  27. Hoon-Bae Lee and Wook Lee. "Small and Medium Business Informatization Support Policy Evaluation and Support Direction Study", Journal of the Korean Industrial-Academic Technology Association, Vol. 17, No. 10, pp. 655-665, 2016. DOI: https://doi.org/10.5762/KAIS.2016.17.10.655
  28. Young-Hyun Chang.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Integrated Assessment System for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Professional Basic",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Vol. 7, No. 4, pp. 121-127, 2018 DOI: https://doi.org/10.7236/IJASC.2018.7.4.121
  29. Jun-Hyun Park and Min-Woo Kim. "A Study on the Development in Evaluation Indices and Model of the Quality level for Manufacturers of Military Supplier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20, No. 10, pp. 107-116, 2019 DOI: https://doi.org/10.5762/KAIS.2019.20.1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