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rror analysis on factorization and the effect of online individualization classes

인수분해에 대한 오류 분석과 온라인 개별화 수업의 효과

  • Received : 2021.02.18
  • Accepted : 2021.03.15
  • Published : 2021.03.30

Abstract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misconceptions and errors incurred during factorization learning. We also examined whether online individualization classes had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mathematical achievement.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4 weeks (16 times in total) on middle school juniors in rural areas of Gyeonggi Province, where the influence of private extra education was small. In the class, the 'Google Classroom' was used as a LMS, the video lecture was uploaded to YouTube, and the teacher interacted with the students through "Zoom" and "Facetalk". In the online class situation, students' assignments and test answers were checked in real time through 'Google Classroom', and immediate feedback was provided to the experimental class group's students. However, for the control group students, feedback was provided only to those who desired. A total of 7 achievement evaluations were conducted in the order of pre-test, formative evaluation (5 times), and post-test to confirm the change in students' ability improvement and achievement. Through the formative evaluation analysis, it was possible to grasp the types of errors and misconceptions that occured during the factorization process. Students' errors were divided into four types: theorem or definition distortion error, functional errors such as calculation, operation, and manipulation, errors that do not verify the solution, and no response. As a result of ANCOVA, the two groups did not show any difference from the 1st to 4th formative assessment. However, the 5th formative assessment and post-tes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confirming that online individualization classes contributed to improvemed achievement.

온라인 수업에서 다양한 상호작용 도구의 적극적 활용은 비대면 수업의 한계를 극복하고 교사와 학생 간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돕는다. 본 연구는 인수분해에 대한 오개념과 오류를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이용한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온라인 개별화 수업이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사교육의 영향이 적은 경기도 농촌 지역의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4주 동안(총 16차시) 실험을 실시하였다. 수업은 '구글클래스룸'을 LMS로 활용하고, 동영상 강의는 유튜브에 업로드하였으며, 화상회의 소프트웨어인 '줌(Zoom)'과 '페이스톡'을 통해 학생들과 상호작용을 하였다. 온라인 수업상황에서 '구글클래스룸'을 통해 학생의 과제와 질문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실험군에는 학생들의 질의 여부와 상관없이 과제와 시험에 대해 즉각적인 피드백이 이루어졌고, 대조군에도 피드백이 이루어졌으나 자발적으로 피드백을 원하는 학생에게만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학생의 실력 향상과 성취도의 변화 추이를 확인을 위해 사전검사, 형성평가 5회, 사후검사의 순서로 총 7번의 성취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5회의 인수분해 형성평가 분석을 통해 인수분해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 및 오개념의 유형을 파악할 수 있었는데, 학생들이 '다항식으로 된 인수를 하나의 인수로 인식하지 못함'과 '숫자는 인수가 아니다.'라는 오개념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학생들의 오류유형을 정리 또는 정의의 왜곡 오류, 기능상의 오류, 풀이를 검증하지 않는 오류, 무응답의 4가지 유형으로 나누고, 이를 개별화 지도에 이용하였다. 공분산분석 결과 두 집단은 1회부터 4회까지의 형성평가까지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5회차 형성평가와 사후검사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어 온라인 개별화 수업이 성취도 향상에 기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2015). 수학과 교육과정(제2015-74호). 서울:교육부.
  2. 교육통계 서비스. (2020). 연도별 학급당 학생수. https://kess.kedi.re.kr/index
  3. 김부미. (2005). 수학적 오개념과 오류에 대한 인지심리학적 고찰.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4. 김화경, 이미라, 권영기, 나귀수, 이애경. (2020). 중학교 수학 3. 김포: (주)좋은책신사고.
  5. 남궁지영. (2020). 코로나 발생에 따른 학교의 원격교육 운영실태. 교육정책포럼 328호 (10월호), pp.34-36. https://kess.kedi.re.kr/mobile/post/6711307?itemCode=03&menuId=m_02_03_02
  6. 도중훈. (2019). 제곱근의 뜻과 성질에 대한 이해 및 근호를 포함한 식의 계산에서 나타나는 수학 학습 부진 학생들의 오류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2(1), .1-21. https://doi.org/10.30807/ksms.2019.22.1.001
  7. 박성익. (2008). 개별화 학습의 전망과 과제. 교육방법연구, 20(1), 1-23. https://doi.org/10.17927/TKJEMS.2008.20.1.1
  8. 박수란. (2017). 중학교 3학년 학생의 소수 개념 이해.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수원.
  9. 박영배. (1996). 수학 교수.학습의 구성주의적 전개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10. 성태제. (2007). SPSS/AMOS를 이용한 알기쉬운 통계분석. 서울: 학지사
  11. 조성기, 강창완, 김규곤. (2008). 대조군 전-후 반복측정설계에서의 반복측정 공분산분석 고찰. 한국자료분석학회.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0(6), 3179-3189.
  12. 우정호. (2000). 수학 학습 지도 원리와 방법.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3. 유진은. (2013). 교육학 연구에서 ANCOVA에 대한 오해와 오용.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6), 27-49.
  14. 이용상 & 신동광. (2020). 코로나19로 인한 언택트 시대의 온라인 교육 실태 연구. 교육과정평가연구, 23(4), 39-57.
  15. 이헌수, 김영철, 박영웅, 김민정. (2015). 일차방정식과 일차함수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과 오류.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8(3), 258-279.
  16. 정현주. (2012). 중학교 수학학습부진아의 개별화 교수.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17. 최동원. (2020). 온라인 수업에서의 개별화 지도가 수학에 대한 성취도 및 수학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가톨릭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강릉.
  18. 최신애. (2017). 수열의 극한 단원에서 SOLO 분류법을 활용한 개별화 수업 사례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19. 최은식, 신혜경, 정진원. (2014). 초.중등 음악교과 담당 교사의 개별화 수업에 관한 인식 및 요구. 교과교육학연구, 18(1), 27-55. https://doi.org/10.24231/RICI.2014.18.1.27
  20. 최정임, 신남수. (2009). 보편적 학습설계(UDL)을 반영한 디지털 교과서 설계 원리. 한국교육공학회, 25(1), 29-59.
  21. 최지선. (2003). 중등학교 수학 학습에서 나타나는 오개념에 대한 고찰.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대학원, 서울.
  22. 한병선. (2007). 개별화를 통한 자기주도 학습의 시사점-대안학교 수업을 사례로. 한국사진지리학회지, 17(1), 91-98.
  23. 한재갑. (2020), (교육잇다. 2020.08.12.) 교사 80% "학생 간 학습격차 커졌다."...2학기 전면 등교수업 시작할까? http://www.itdaa.kr/news/articleView.html?idxno=31355
  24. Ashlock, R. B. (2006). Error Patterns in computation: using error patterns to improve instruction, 9th, Merrill Orentice Hall.
  25. Ashlock, R. B. (2013). 초등수학 교수법-수학 오개념과 오류 바로잡기 (남승인, 류성림, 권오용, 남현준, 류운재, 이목형, 이장호 역). 서울: 경문사. (원저 2009년 출판)
  26. Brousseau, G. (1997). Theory of didactical situations in mathematics, 1970-1990. New York: Kluwer Academic Publishers.
  27. Confrey, J. & Lipton, A. (1985). Misconceptions research and Clinical interview. 7th Proceedings of the Second International Seminar Misconceptions and Educational Strategies in Science and Mathematics. 38-43. ED 411127
  28. Hadar, N. M. & Zaslavsky, O. (1987). An empirical classification model for errors in high school mathematic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8(2), 3-14. https://doi.org/10.2307/749532
  29. Radatz, H. (1979). Error analysis in mathematics education.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0, 163-172. https://doi.org/10.2307/748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