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Use Intention of Online Charging Service for Prepaid Electronic Payment: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s and Transportation Card Users

선불 전자지급 수단의 온라인 충전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교통카드사용자,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Seon-Ku Lee (Department of Fintech & Blockchain, Dongguk University) ;
  • Won-Boo Lee (Department of Fintech & Blockchain, Dongguk University)
  • 이선구 (동국대학교 핀테크블록체인학과) ;
  • 이원부 (동국대학교 핀테크블록체인학과)
  • Received : 2020.12.30
  • Accepted : 2021.07.12
  • Published : 2021.08.31

Abstract

Recently, the use of prepaid electronic payments such as electronic wallets, digital currency and prepaid points is gradually increasing. Prepaid electronic payments has the characteristic of being used after charging first.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d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online charging in order to help improve the service that require prepaid recharge by applying transformed TAM. Since there are not many previous studies for the intention to use online charging, we extract factors through preceding researches for electronic cash and mobile easy payment. Also we analyze the intention to use online charging for transportation card user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convenience', 'ubiquity', and 'self-efficacy' among the independent variables had a positive (+) effect on mediation variable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usefulness' was analyze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dependent variable 'usage intention'. According to users' gender, internet usage time, internet shopping frequency, online charging frequency and transportation card usage type, the moderating effect was significant on 'perceived usefulness' and 'usage intention'. As an implication, it was suggested that service improvement and differentiated marketing are needed in direction of increasing the usefulness of services. Additional research directions were proposed for services such as e-wallets, prepaid points and digital currencies by adding other factors and moderate variables.

최근 전자지갑, 디지털화폐, 선불포인트, 선불카드 같은 선불전자지급수단의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선불지급수단은 선 충전, 후 사용이라는 특성이 있다. 본 연구는 선불 충전이 필요한 서비스의 개선에 도움을 주고자, 선불전자지급수단의 온라인 충전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하여 기술수용모델을 변형하여 실증적으로 연구하였다. 선불전자지급수단의 온라인 충전 이용의도에 관련된 선행연구가 많지 않아 기존 간편결제와 전자화폐에 대한 연구들을 통해 요인 변수를 도출하였다. 선불 교통카드 사용자를 대상으로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온라인 충전의 이용의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독립변수 중에서 '편리성', '보편성', '자기효능감'은 매개변수인 '지각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유용성'은 종속변수인 '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용자들의 성별, 인터넷 사용시간, 인터넷 쇼핑 구매빈도, 모바일충전 이용빈도, 교통카드 이용형태 등에 따라서 '지각된 유용성'과 '이용의도'에 조절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시사점으로 선불 서비스의 유용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서비스에 대한 개선과 차별화된 마케팅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다른 요인변수와 조절변수를 추가하여 전자지갑, 간편결제포인트, 디지털화폐 등의 서비스를 대상으로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석환, 신은정, 배성영, 강형구, "비트코인 수용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제18권, 제3호, 2018, pp. 187-226.
  2. 김의석, "디지털화폐와 화폐 변천과정에 관한 문헌적 연구", 한국전자거래학회지, 제25권, 제2호, 2020.5, pp. 109-126.
  3. 김희건, 핀테크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행동 영향 요인-모바일 결제 서비스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 2019.
  4. 노경섭, 제대로 알고 쓰는 논문 통계분석: SPSS & AMOS, 한빛아카데미, 2019.
  5. 류재철, 류춘호, "전자화폐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이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 연구", 한국생산관리학회지, 제15권, 제3호, 2005, pp. 95-117.
  6. 배병렬, SPSS/AMOS/LISREL/SmartPLS에 의한 조절효과 및 매개효과 분석, 도서출판 청람, 2015.
  7. 백상용, "조절변수 탐색을 위한 기술수용모형 메타분석", 경영학연구, 제38권, 제5호, 2009, pp. 353-380.
  8. 신동희, 김용문, "국내 소비자들의 비트코인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호, 2016, pp. 24-41. https://doi.org/10.5392/JKCA.2016.16.01.024
  9. 우종필, 구조방정식 모델 개념과 이해, 서울: 한나래출판사, 2012.
  10. 유재현, 박종찬, 김기훈, "핀테크 서비스의 확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산업경제연구, 제31권, 제1호, 2018, pp. 1-21.
  11. 유재현, 박철, "기술수용모델(Technology Acceptance Model) 연구에 대한 종합적 고찰",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제9권, 제2호, 2010, pp. 31-50.
  12. 은지훈, 김상현,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 특성이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현상유지 편향(관성)의 조절효과",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제18권, 제3호, 2018, pp. 19-39.
  13. 이준형, 이성훈, 이도은, 김우철, 김민수, "비트코인을 활용한 효율적 전자화폐 활성화 방안 연구", 융합보안논문지, 제16권, 제4호, 2016.6, pp. 79-90.
  14. 이홍재, 핀테크 기반 모바일 간편 결제 서비스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2017.
  15. 장태락, 이종호, "모바일 간편 결제서비스의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e-비즈니스연구, 제17권, 제6호, 2016, pp. 203-218. https://doi.org/10.15719/GEBA.17.6.201612.203
  16. 정기석, "국내 모바일 간편결제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융합보안논문지, 제15권, 제4호, 2015, pp. 73-82.
  17. 정석찬, 최창원, "가상화폐 거래소의 수용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 2018, pp. 509-516.
  18. 정승은, 석중휘, "사용성과 관련된 UI 디자인 원칙 구현을 위한 그래픽 디자인 방법 연구: 단순성, 명확성, 일관성을 중심으로",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제37권, 2013, pp. 165-174.
  19. 진로, 이동명, "모바일 간편 결제 서비스 수용 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중국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8호, 2017, pp. 1-13. https://doi.org/10.5392/JKCA.2017.17.08.001
  20. 하준석, 강문식, 이동만, "간편 결제 서비스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제17권, 제6호, 2017, pp. 157-180.
  21. 한국은행, 2020 지급결제보고서, 2021.4.
  22. 한동균, 핀테크 수용 및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2015.
  23. 함형범, "공공기관의 모바일 결제서비스 정책 동향과 대응방안에 대한 연구", e-비즈니스연구, 제21권, 제2호, 2020, pp. 119-136.
  24. Ajzen, I.,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 Vol. 50, No.2, 1991, pp. 179-211. https://doi.org/10.1016/0749-5978(91)90020-T
  25. Ajzen, I., From Intentions to Actions: A Theory of Planned Behavior, Berlin Heidelberg: Springer, 1985.
  26. Bandura, 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Vol.84, 1977, pp. 191-215.
  27. Bentler, P. M. and D. G. Bonett, "Significance tests and goodness of fit in the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s", Psychological Bulletin, Vol.88, No.3, 1980, 588-606. https://doi.org/10.1037/0033-2909.88.3.588
  28. Bentler, P. M., "Comparative fit indexes in structural models", Psychological Bulletin, Vol.107, No.2, 1990, pp. 238-246. https://doi.org/10.1037/0033-2909.107.2.238
  29. Browne, M. W. and R. Cudeck,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Sociological Methods & Research, Vol.21, No.2, 1992.
  30. Carmines, E. G. and J. P. McIver, "Analyzing models with unobserved variables: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s", In George W. Bohrnstedt and Edgar F. Borgata (Eds.), Social Measurement: Current Issues, Beverly Hills, Saga Publications, 1981, pp. 65-115.
  31. Davis, F., A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r empirically testing new end-user information systems: Theory and results (Doctoral dissertation), Sloan School of Management,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1986.
  32. Fishbein, M. and I. Ajzen,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MA: Addison-Wesley, 1975.
  33. Fornell, C. and D. E. Larcker,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8, No.1, 1981, pp. 39-50.
  34. Hair, J. E. Jr., W. C. Black, B. J. Babian, and R. E. Anderson, Multivariate Data Analysis (7th ed.), Pearson Hall, 2010.
  35. Hinkle, D. E., W. Wiersma, and S. G. Jurs, Applied Statistic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5th), Boston, 2003.
  36. Hoyle, R. H. and A. T. Panthe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ed). R. H. Hoyle,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1995.
  37. Hu, L. and P. M. Bentler,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Vol.6, No.1, 1999, pp. 1-55. https://doi.org/10.1080/10705519909540118
  38. James, L. R., S. A. Mulaik, and J. M. Brett, Causal analysis: Assumptions, models and data, Beverly Hills: Sage. 1982.
  39. Muthen, B. and D. Kaplan, "A comparison of some methodologies for the factor analysis of non-normal Likert variables", British Journal of Mathematical and Statistical Psychology, Vol.38, No.2, 1985, pp. 171-189. https://doi.org/10.1111/j.2044-8317.1985.tb00832.x
  40. Nysveen, H., P. E. Pederson, and H. Thorbjornsen, "Intensions to Use Mobile Service: Antecedents and Cross-Service Comparison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Vol.33, No.3, 2005, pp. 330-346. https://doi.org/10.1177/0092070305276149
  41. Rogers, E. M., Diffusion of Innovations (5th ed.), Free Press, 2003.
  42. Shaw, N., "The mediating influence of trust in the adoption of the mobile wallet", Journal of Retailing and Consumer Service, Vol.21, No.4, 2014, pp. 449-459. https://doi.org/10.1016/j.jretconser.2014.03.008
  43. Venkatesh, V., M. G. Morris, G. B. Davis, and F. D. Davis,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Toward a unified view", MIS Quarterly, Vol.27, No.3, 2003, pp. 425-478.  https://doi.org/10.2307/300365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