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odeling and Simulation for Analyzing Efficient Operations on Public Bike System: A Case Study of Sejong City

공공 자전거 시스템의 효율적 운용을 위한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세종시 사례 중심

  • Received : 2021.01.11
  • Accepted : 2021.03.06
  • Published : 2021.03.31

Abstract

In recent years, public bicycle systems are widely spread over the worl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ICT technology. Since the public bicycle systems in large cities need to secure both publicity and convenience for citizens, analysis of various their issues from introduction to operation is required. In addition, it is also necessary to prepare for various scenarios for coexistence with the PM business, which is recently in the spotlight as a last mile means and normally managed privately. This paper introduces modeling and simulation for efficient operations of public bicycle systems. In particular, the proposed method was developed in a form that can be easily used in other cities by modeling the general structure and behavior of the public bicycle system, and it was developed to facilitate modification and expansion of the future model with a component-based model configuration. This paper provides a case study of the propose method, which is the public bicycle simulation in Sejong City. The simulation results were derived by applying the data from the public bicycle system of Sejong City, and they were verified with the associated real data of Sejong City. Using the verified model,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used as a tool to design and analyze various services on the public bicycle systems, which were especially suitable for Sejong City.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른 공공 자전거 시스템 운영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대도시의 공공 자전거 시스템은 시민에 대한 공공성과 편리성을 모두 확보해야하기 때문에, 도입부터 운영까지 다양한 이슈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또한, 최근 라스트 마일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는 개인 모빌리티 사업과의 공존을 위한 다양한 시나리오 역시 대비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공공 자전거 시스템의 효율적 운영 관리를 위한 시뮬레이션 모델을 제안한다. 특히, 제안한 방법은 공공 자전거 시스템의 일반적인 구조와 행태를 모델링 하여 다른 도시에 쉽게 활용할 수 있는 형태로 개발하였고, 컴포넌트 기반의 모델 구성으로 향후 모델의 수정 및 확장이 용이하도록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방법의 사례로 세종시 공공 자전거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세종시 공공 자전거 시스템의 데이터를 적용하여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출하고, 도출된 결과를 세종시 실데이터와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검증된 모델을 이용하여, 세종시에 적합한 공공 자전거 서비스를 설계하고 분석할 수 있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가지표체계 사이트, 대중교통수송분담률, https://www.index.go.kr/unify/idx-info.do?idxCd=4259
  2. 한국교통연구원, 세종시 광역권 지방대중교통계획 최종보고서, 2013.09, https://www.codil.or.kr?original?OTKCRK180344
  3. 서울연구데이터서비스, 교통수단 분담율 http://data.si.re.kr/2015br10-modal-share
  4. 세종특별자치시 공공자전거 어울링 공식사이트, https://www.sejongbike.kr/mainPageAction.do?process=mainPage
  5. 임희종, 정광헌 (2020), "확률적 동적 계획법을 이용한 공공자전거 정비소에서의 최적 재고관리", 한국생산관리학회지, 31(1), pp.15-28. https://doi.org/10.21131/KOPOMS.31.1.202002.15
  6. 김숙희, 오세창, 최기주 (2019), "스테이션 없는 공유자전거 통행특성분석: 수원시사례를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지, 37(2), pp.110-123.
  7. 이은탁, 손봉수 (2019), "이용수요 기반의 서울시 공공자전거 재배치전략 도출", 대한교통학회지, 37(1), pp. 27-38.
  8. 이석준, 김지태, 권재윤 (2018), "서울시 공공자전거 시스템 운영에 관한 이용경험 및 개선사항 분석", 한국체육과학회지, 27(6), pp.485-503.
  9. 장재민, 김태형, 이무영 (2016), "서울시 공공자전거 이용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도시연구, 17(4), pp.77-91.
  10. 임동순 (2016), "공공 자전거 정적 재배치에의 VNS 알고리즘 적용", 한국경영과학회지, 41(1), pp.41-53. https://doi.org/10.7737/JKORMS.2016.41.1.041
  11. 정인웅, 엄현섭, 이영훈 (2018), "공유 자전거 시스템의 수요기반 재배치", 한국경영과학회지, 43(4), pp.17-31.
  12. 이재영, 박진희, 임윤택 (2012), "도시특성에 따른 공공자전거 이용특성 및 정책방향 연구", 국토계획, 47(3), 295-308.
  13. Collier, Nicholson, and Michael North (2012), "Repast HPC: A platform for large-scale agent-based modeling", Large-Scale Computing 10, pp.8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