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exual Intercourse Related Factors of Adolescents

청소년의 성관계 경험 관련요인

  • Received : 2020.12.10
  • Accepted : 2020.12.31
  • Published : 2021.02.28

Abstract

Purpose :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related to sexual intercourse among adolescents in South Korea. Methods : The study sample was comprised of 65,528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ged 12 to 18 years in 2016. For this study, using the data from the 12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a chi-squared test, and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 reconducted with the SPSS 22.0 program considering personal, family, school,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Results : The proportion of adolescents who had sexual intercourse was 6.0 % of boys and 2.7 % of girls, and 6.3 % of high school students and 2.4 %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ed factors of sexual intercourse were gender, grade, attempted suicide, ever drinking, ever smoking, habitual or purposeful drug use, weekly allowance, and coed school in the final model 4. Adolescents with suicide attempts had 2.49 times more sexual intercourse than adolescents with no experience of suicide attempts. Compared to adolescents without alcohol, smoking, and habitual drug use, those who have experienced alcohol, smoking, habitual or purposeful drug use were 2.22 times, 3.76 times, and 3.39 times more likely to have had sexual intercourse, respectively. Adolescents with a weekly allowance of more than 100,000 won per week and adolescents in coed schools were 2.84 times and 1.40 times more likely to have had sexual intercourse, respectively. Conclusion : Multi-level interventions should be considered in school sexual education programs while considering the substantiality of sex education and the actual adolescents' needs. In addition, sexual health interventions in cyberspace for high-risk groups may be needed to consider the emotional and mental characteristics, given the factors related to sexual intercourse in adolescents.

Keywords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청소년기는 개인의 자아실현과 주체성 확립을 기반으로 사회의 구성원이 되기 위한 많은 발달과업을 이루어야 하는 불안정한 시기로(Jang, 2010) 청소년 개개인은 신체적, 정신적, 사회 정서적 변화들을 경험하게 된다. 현대사회의 빠른 미디어의 발달과 컴퓨터,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인한 정보의 홍수 속에서 청소년들은 수많은 자극적인 컨텐츠들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는 청소년들의 인식과 행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Choi & Chung, 2016). 특히 여과되지 않은 자극적인 성 컨텐츠들은 성매매, 성폭행과 같은 문제에 기여하며 청소년의 발달과업에 장애물이 되고 있다(Nam & Hong, 201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에서 2019년도에 발표한 청소년건강행태조사에 따르면, 청소년의 성경험률은 2019년 기준 5.9 %로 2005년부터 실시한 조사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으며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추세이며, 첫 성경험 연령은 점점 낮아지고 있다. 이러한 청소년기의 성경험은 부정적인 정서, 음주, 흡연, 자살시도와 같은 청소년의 발달과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이 밝혀진 바가 있다(Lee & Cho, 2020). 또한 청소년의 성경험과 관련하여 증가하는 십대의 임신은 고위험 임신에 속하며, 유산, 태아사망, 조산, 자궁 내 성장지연, 태아 또는 신생아 질환, 선천기형, 지능 발달 지연 등 많은 문제를 야기하며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었다(Park 등, 2012).

따라서 이를 예방하고 청소년들에게 올바른 성인식과 성행동을 위한 능력을 배양하는 성교육은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다. 청소년의 성교육 경험 및 피임 실천의 추이를 살펴보면, 성교육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경우가 남학생은 2006년 56.8 % 에서 2019년 74.7 %로 증가하였고 여학생도 2006년 68.0 %에 비해 2019년 79.2 %로 증가하는 추이를 보이고 있다. 또한 피임을 항상 또는 대부분 실천하는 경우가 남학생은 2007년 39.0 %에서 2019년 58.4 %로 증가하였고, 여학생 또한, 2006년 36.1 %에 비해 2019년 59.4 %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Jang & Choi, 2020).

하지만 성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학년이 높아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면서 현재 학교 성교육이 지속적으로 학생들에게 만족감을 주지 못함을 시사하고 있다(Cho 등, 2018). 선행 연구에서는 현재 이런 학교의 성교육의 문제점이 성 관련 교육이 교과별로 산발적으로 분산되어 있어 교육이 일관되지 못하게 진행되고 있고, 청소년들이 실제적으로 궁금한 내용에 대해서 자세히 다루지 못하고 있으며, 교육이 구체적이지 않음을 지적하고 있다(Lee & Kim, 2001). 그러므로 효과적인 성교육을 위해 청소년들의 성관계 경험 관련 요인에 대한 다수준에서의 분석을 통해 학생들의 요구도를 파악하고 지속적으로 만족감을 주는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의 성관계 경험 관련 요인들을 다수준에서 파악하고, 이를 통해 효과적인 학교의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제12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원시통계자료를 이용하여 청소년의 성관계 경험 관련 요인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고자 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청소년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관계 경험 유무와의 차이를 파악한다.

2) 청소년의 성관계 경험 관련 요인을 개인, 가족, 학교 및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파악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제12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원시통계자료를 이용하여 청소년의 성관계 경험 관련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이차자료 분석연구이다.

2. 연구 대상 및 자료수집

제12차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조사 통계자료는 질병관리본부의 원시자료 공개 및 관리 규정에 의거하여 제공받아 활용하였다. 전국 800개 중·고등학교(중학교 400개교, 고등학교 400개교)의 학생 67,983명을 대상으로 익명성 자기기입식 온라인조사를 수행하였고, 65,528명이 참여하여 95.4 % 의 참여율을 보였다. 본 연구의 표본은 자기기 입식 온라인조사에 참여한 12~18세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65,528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3. 연구 도구

1) 성관계 경험

본 연구 대상자의 성관계 경험은 ‘지금까지 경험해 본 것을 모두 고르십시오’라는 질문에 ‘이성과 성관계’와 ‘동성과 성관계’에 응답한 경우에는 성관계 경험이 있는 것으로 분류하였고, ‘없다’에 응답한 경우에는 성관계 경험이 없는 것으로 분류하였다.

2) 개인적 특성, 가족 특성, 학교 특성, 지역 특성

개인적 특성으로 성별, 학년, 학업 성적, 흡연 경험, 음주 경험, 약물 경험, 자살 시도 경험을 포함하였다. 가족 특성에는 동거유무, 경제적 상태, 일주일 평균 용돈을 포함하였다. 학교 특성으로는 학교 유형을, 지역 특성으로는 지역 유형을 포함하였다.

4. 윤리적 고려

제 12차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조사 통계자료는 질병관리본부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로부터 2014년에 승인을 받아(2014-06EXP-02-p-A) 수행되었다.

5. 자료 분석 방법

제 12차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조사 통계자료는 질병관리본부의 복합표본설계 자료 분석을 위해 층화 집락추출법을 적용하여 층화변수(Strata), 집락변수(Cluster), 가중치(W)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관계 경험 유무와의 차이를 카이제곱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성관계 경험 관련요인 확인을 위해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Ⅲ. 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대상자의 성별은 남자가 51.6 %로 여자보다 많았고, 학년은 고등학생이 50.8 %로 중학생보다 많았다. 학업성적은 상 38.5 %, 하 33.1 %, 중 28.4 % 순이었다. 자살 시도는 2.3 %, 음주 유경험 비율은 37.9 %, 흡연 유경험 비율은 14.5 %, 습관적 또는 일부러 약물 복용 유경험 비율은 0.8 %로 나타났다. 가족과 동거하지 않는 비율은 5.0 % 이었고, 경제적 상태는 중 47.4 %, 상 37.0 %, 하 15.6 % 순이었으며, 일주일 평균 용돈으로 10만원 미만을 받는 경우가 95.9 %인데 반해, 10만원 이상을 받는 경우는 전체의 4.1 %이었다. 아버지 교육수준은 대학교 졸업 62 %, 고등학교 졸업 35.2 %, 중학교 졸업 2.8 % 순이었고, 학교 유형은 남녀공학이 63.2 %, 남학교가 18.4 %, 여학교가 18.4 %이었으며, 거주지는 중소도시가 48.3 %, 대도시 44.3 %, 지방 7.4 % 순으로 나타났다(Table 1, 2).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s of sexual intercourse (N=65,528)

DHTHB4_2021_v9n1_59_t0001.png 이미지

Table 2. Family, school, and community and experiences of sexual intercourse (N=65,528)

DHTHB4_2021_v9n1_59_t0002.png 이미지

2. 개인적 특성에 따른 성관계 경험

대상자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성관계 경험 유무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개인적 특성의 모든 항목은 성관계 경험 유무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남학생이 6.0 %로 여학생 2.7 %보다 높았고, 고등학생 6.3 %로 중학생 2.4 %보다 많았다. 학업성적에서는 하인 학생이 5.3 %로 중·상위권보다 많았다. 최근 12개월 동안의 자살 시도 유경험자의 성관계 경험은 18.6 %로 비경험자 4.1 %에 비해 4배 많았다. 음주 유경험자의 성관계 경험은 8.4 %로 비경험자 2.0 %에 비해 4배 많았고, 흡연 유경험자 16.5 %는 비경험자 2.3 %에 비해 7배 이상 많았다. 약물을 복용한 유경험자의 성관계 경험은 48.3 %로 비경험자 4.0 %에 비해 12배 높게 나타났다.

3. 가족, 학교 및 지역 특성에 따른 성관계 경험

대상자의 가족 특성 및 학교 및 지역적 특성에 따른 성관계 경험 유무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가족 특성 및 학교 특성의 모든 항목은 성관계 경험 유무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지역적 특성은 유의하지 않았다. 가족 구성원과 동거하지 않은 학생이 12.5 %로 가족과 동거하는 학생 4.0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경제적 상태에서 하 6.7 %, 상 4.7 %, 중 3.4 % 순으로 많았고, 일주일 평균 용돈은 10만원 이상이 19.8 %로 10만원 미만 3.7 %보다 훨씬 많았다. 학교 유형에서는 남학교 6.1 %, 남녀공학 4.6 %, 여학교 1.6 % 순으로 여학교에 비해 다른 유형의 학교에서 유의하게 높은 성관계 경험 비율을 보였다. 지역 특성으로는 지방 5.1 %, 대도시 4.4 %, 중소도시 4.3 % 순이었으나 청소년 성경험 관계에서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성관계 경험 관련 요인

청소년의 성관계 경험과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개인적 특성만 투입된 모델 1에서는 성별, 학년, 자살 시도 경험, 흡연 경험, 음주 경험, 약물 복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가족 특성이 추가적으로 투입된 모델 2에서는 성별, 학년, 자살 시도 경험, 흡연 경험, 음주 경험, 약물 복용, 일주일 평균 용돈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학교 특성이 추가된 모델 3에서는 성별, 학년, 자살시도 경험, 흡연 경험, 음주 경험, 약물 복용, 일주일 평균 용돈, 학교 유형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지역 특성이 추가된 최종모델 4에서는 개인적 특성에서 여학생에 비해 남학생의 성관계 경험이 1.58배(95 % CI: 1.38~1.81) 많았고,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성관계 경험이 1.68배(95 % CI: 1.49~1.89) 많았다. 최근 12개월 동안 자살 시도를 경험한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성관계 경험이 2.49배(95 % CI: 2.01~3.09) 많았고, 음주 비경험자에 비하여 음주 유경험자는 성관계 경험이 2.22배 (95 % CI: 1.97~2.50) 많았고, 흡연 비경험자에 비하여 흡연 유경험자는 성관계 경험이 3.76배(95 % CI: 3.37~4.20) 많았다. 약물 복용 비경험자에 비하여 유경험자는 성관계 경험이 3.39배(95 % CI: 2.49~4.62) 많았다. 가족 특성에서 일주일 평균 용돈 10만원 미만에 비하여 10만원 이상의 성관계 경험이 2.84배(95 % CI: 2.46~3.29) 많았다. 학교 특성에서 남녀 공학에 다니는 청소년의 성관계 경험이 여학교에 다니는 경우보다 1.40배(95 % CI: 1.16~1.69) 많았다.

Table 3. Related factors of sexual intercourse of adolescents (N=65,528)

DHTHB4_2021_v9n1_59_t0003.png 이미지

p<.05, p<.001

Ⅳ. 고 찰

본 연구는 제 12차(2016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국내 청소년의 성관계 경험 관련 요인을 개인적 특성, 가족 특성, 학교 및 지역 특성을 고려한 다수준 영역에서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결과 국내 청소년의 성관계 경험률은 전체 65,528명 중 4.4 %이었으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았고,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 성경험과 관련된 국내 선행연구들(Cho, 2013; Jo & Kim, 2006; Kim & Son, 2017)과 Rew 등(2011)의 국외 연구에서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청소년의 성행동 인식이 연령이 높아지면서 신체적 성숙과 함께 변화되고 증가하며(Kim, 2003; Lee & Cho, 2020), 고등학생의 경우 중학생 때부터 성관계 경험이 누적된 경우 높은 수치의 결과로 나타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Boo 등, 2017).

본 연구에서의 회귀분석 결과 학업성적은 성관계 경험 관련 요인으로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학업성적이라는 변수가 청소년의 성관계 경험과 관련성이 낮다라는 선행연구(Boo 등, 2017; Lee, 2016)와 일맥상통하였으나, 반대로 학업성적이 성관계 경험 관련 요인으로 확인된 연구(Lee & Cho, 2020)도 확인되었다. 이는 청소년의 성관계 경험이 학업성적이 상대적으로 낮은 청소년들의 일탈행위라고 치부하기보다는 국내 청소년의 성관계 경험이 우리 사회에 만연하게 증가하고 있다는 것과, 학업성적을 떠나 과도기적 성장기의 청소년들 누구라도 이른 청소년 시기부터 성관계 경험에 상당히 노출되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향후 더 많은 청소년 성행동 관련 연구를 통해 학업성적과 성관계 경험의 관련성을 검증하는 연구들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청소년의 음주 경험, 흡연 경험, 습관적 약물복용 및 자살시도는 청소년의 성관계 경험 관련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음주, 흡연, 습관적 약물복용 및 자살 시도를 경험한 청소년들이 그렇지 않은 청소년들보다 성관계 경험률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음주, 흡연, 약물복용이 청소년의 성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Kim & Cho, 2010; Pyo 등, 2016)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국내 청소년들의 음주, 흡연 경험은 사회적으로 문제를 일으키며 일탈 행위로 이어질 위험이 있으며(Boo 등, 2017), 본 연구에서의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음주 유경험자는 2.22배, 흡연 유경험자는 3.76배만큼이나 성관계 경험률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청소년의 음주, 흡연경험이 성관계 경험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을 것이다. 더불어 청소년의 음주와 흡연 경험은 이차적인 약물복용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Pyo 등, 2016), 이는 다수의 사람들과의 성일탈 행위로 표출될 가능성 역시 높기 때문에 (Tapert 등, 2001), 이러한 청소년들의 사회 문제에 적극적인 관심과 중지를 모아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 결과 자살시도 경험이 있는 청소년의 성관계 경험이 그렇지 않은 청소년보다 3.39배 높게 나타났는데, 스트레스, 슬픔, 우울감의 경험이 있는 경우 자살생각이나 자살 시도를 경험한 청소년들에게서 성관계 경험률이 높게 나타났다고 보고한 선행연구들(Hallfors 등, 2004; Kim, 2015; Lee & Cho, 2020)과 일치하였다. 결국 성적 욕구가 왕성한 청소년기에 성관계 유경험 청소년들에게서 그렇지 않은 청소년보다 우울감이 높고, 자살 생각, 자살 시도와 같은 위험 행동의 가능성이 오히려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Hallfors 등, 2004). 따라서 청소년들이 스트레스를 받거나 우울할 때 성경험률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Yu 등, 2014) 자살 생각, 자살 시도와 같은 위험 행동으로 초래될 수 있으므로 건강문제 위험군에 속해 있는 청소년들에게 정서적, 정신적 특성을 고려하여 성일탈과 건강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전문 상담이나 중재프로그램이 활성화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가족과의 동거 여부, 가족의 사회경제적 수준은 성관계 경험의 관련 요인으로 나타나지 않았으나, 청소년의 일주일 평균 용돈이 10만원 이상이라고 응답한 청소년들의 성관계 경험이 10만원 미만의 청소년들보다 2.84배 높게 나타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선행연구결과(Lee, 2016; Peltzer, 2010; Pyo 등, 2016)에서 청소년들의 성관계 경험은 가족과 함께 살고 있지 않는 청소년에게서 성관계 경험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가족의 경제적인 수준과도 관련이 없었다(Kim & Son, 2017; Kim 등, 2013). 일반적으로 경제 수준이 낮고 가족과 떨어져 살 경우 청소년의 일탈 행동이 많을 것이라는 생각과 일치하지 않는 연구 결과를 볼 때, 청소년들의 성관계 경험은 부모의 사회경제적 위치에 영향을 받는다기 보다는 그들에게 필요한 최소한의 경제적 상황이 주어진다면 거주 형태와 상관없이 현실적으로 가능한 일이라는 것을 예상할 수 있겠다.

또한 남녀공학에 다니는 청소년의 경우에 성관계 경험이 높게 나타났는데, 남녀공학 학교에 다니는 청소년들이 성일탈이 많다는 연구 결과(Gwon & Lee, 2015; Lee 등, 2000)와 동일하다. 이는 남녀공학이 남학교, 여학교에 비해 이성을 만날 기회가 절대적으로 많기 때문에 나타나는 결과라고 추측할 수 있다. 한편 지역적 특성에서는 지방과 도시에서의 청소년 성관계 경험률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지방과 도시의 문화적 차이가 존재하지만 모바일과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청소년들이 주로 활동하는 사이버 공간에서의 문화적 차이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과, 인터넷을 통한 성 일탈이 많아지는 것을 감안하면 이는 타당한 결과라고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청소년 성 일탈 예방을 위한 청소년 성교육프로그램의 대부분이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기에, 성교육 내실화와 학생들의 실제 요구도를 고려함과 동시에 본 연구결과에서와 같이 청소년 개인별 다수준 영역에서의 특성에 맞는 교육프로그램이 구성되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청소년건강 온라인행태조사이기에 대표성을 가진 표본으로 분석한 연구라는 점과 청소년의 성관계 경관련 요인을인을 파악하기 위해서 다수준에서 청소년의 개인적 특성, 가족 특성, 학교 특성, 지역 특성을 반영하여 파악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원자료가 온라인기입식설문조사이기 때문에 발생하는 불성실 응답 가능성이 있고, 현재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이지 않은 청소년은 포함하지 않은 자료이므로 연구 결과를 일반화 하는데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Ⅴ. 결론

본 연구는 청소년건강 온라인행태조사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청소년의 성관계 경험 관련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모델 1, 2, 3이 모두 투입된 최종 모델 4에서는 성별, 학년, 음주경험, 흡연경험, 자살 시도, 습관적 약물복용, 일주일 평균 용돈, 남녀공학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수준영역에서의 청소년 성관계 경험관련 요인과 특성을 고려한 성교육 중재 프로그램을 제안하는 바이다.

References

  1. Boo YJ, Kang MJ, Yi JS(2017). Factors related to adolescents' sexual experience. J Korean Soc Sch Health, 30(2), 154-163. https://doi.org/10.15434/kssh.2017.30.2.154
  2. Cho ES(2013). Associations between the internet pornography preference and adolescents risk sexual behavior focused on gender difference.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10), 291-314.
  3. Cho YJ, Kim DS, Nam-Gung YY, et al(2018). A study on demand survey on sexuality education for youth.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4. Choi JY, Chung DH(2016). Influence of sexual attitudes, personal relations, and mobile media on the sexual behavior of adolescents. Information Society and Media, 17(2), 1-34.
  5. Gwon SH, Lee JY(2015). Factors that influence sexual intercours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data from the 8th (2012)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J Korean Acad Nurs, 45(1), 76-83. https://doi.org/10.4040/jkan.2015.45.1.76.
  6. Hallfors DD, Waller MW, Ford CA, et al(2004). Adolescent depression and suicide risk; association with sex and drug behavior. Am J Prev Med, 27(3), 224-231. https://doi.org/10.1016/j.amepre.2004.06.001.
  7. Jang HS(2010). The effect of achievement of development tasks in adolescence on 5-factor personality characteristics, self-esteem and happiness. Korean J Dev Psychol, 23(2), 1-17.
  8. Jang IS, Choi EH(2020). Trends in sexual intercourse, sex education experience, and contraception among adolescents in Korea: based on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from 2006 to 2019. J Korean Soc Sch Health, 33(2), 79-88. https://doi.org/10.15434/kssh.2020.33.2.79.
  9. Jo JY, Kim YH(2006). A path model of self, family, & extra familial system factors associated with adolescents' sexual risk behavior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4(3), 181-195.
  10. Kim HS(2015). Effects of sexual intercourse on suicidal behaviors among adolescents in South Korea. J Korean Acad Nurs, 45(2), 183-191. https://doi.org/10.4040/jkan.2015.45.2.183.
  11. Kim HW(2003). The relationships among sexual knowledge, attitudes, behaviors of male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 Counsel Psychotherapy, 15(2), 309-328.
  12. Kim JS, Cho SW(2010). An analysis of current status of sexual behaviors and consciousness about sex of adolescents: On adolescents includ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School Social Work, 19, 61-87.
  13. Kim MY, Son HS(2017). A study on influencing factors of sexual experience among Korea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13), 611-630. https://doi.org/10.22251/jlcci.2017.17.13.611.
  14. Kim JY, Lee DE, Chung YK(2013). The impact of academic stress on delinquent behavior-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J Korean Soc Matern Child Health, 41, 101-123.
  15. Lee GY(2016). Sexual behaviors and sexual experience of adolescents in Korea.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12), 71-80. https://doi.org/10.5762/KAIS.2016.17.12.71.
  16. Lee HN, Cho HY(2020). A convergence study on difference of health behaviors depending on wether sexual experiences of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1(3), 145-152. https://doi.org/10.15207/JKCS.2020.11.3.145
  17. Lee JM, Kim HW(2001). Characteristics, problems, and future directions of school sex-education for teenagers on regarding with the teenagers' sexual behaviors and past school sex-education for teenager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8(1), 117-142.
  18. Lee MS, Kim EY, Chun BC, et al(2000). Risk factors related to adolescent sexual activity. J Korean Soc Matern Child Health, 4(2), 199-217.
  19. Nam ME, Hong BS(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exposure to internet pornography and deviant sexual activities: Focusing on mediated effects of perceptional factor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9(9), 93-124.
  20. Park IH, So CH, Cho JI, et al(2012). Obstetric and neonatal outcomes of teenage pregnancies. J Korean Soc of Neonatol, 19(3), 127-133. https://doi.org/10.5385/jksn.2012.19.3.127.
  21. Pyo EY, An JY, Jeong JO, et al(2016). Effects of drinking, smoking and drug use experience on adolescents' sexual intercourse: Using the data of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from 2010 to 2014. J Korean Soc Sch Health, 29(3), 299-309. https://doi.org/10.15434/kssh.2016.29.3.299
  22. Peltzer K(2010). Early sexual debut and associated factors among in school adolescents in eight African countries. Acta Paediatr, 99(8), 1242-1247. https://doi.org/10.1111/J.1651-2227.2010.01874.x.
  23. Rew L, Carver T, Li CC(2011). Early and risky sexual behavior in a sample of rural adolescents. Issues Compr Pediatr Nurs, 34(4), 189-204. https://doi.org/10.3109/01460862.2011.619861.
  24. Tapert SF, Aarons GA, Sedlar GR, et al(2001). Adolescent sub stance use and sexual risk-taking behavior. The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28(3), 181-189. https://doi.org/10.1016/S1054-139X(00)00169-5.
  25. Yu JO, Kim HH, Kim JS(2014). Factors associated with sexual debut among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Child Health Nurs Res, 20(3), 159-167. https://doi.org/10.4094/chnr.2014.20.3.159.
  26.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15th Korea Youth Risk Behavior Online Survey, 2019. Available at http://www.cdc.go.kr/ Accessed September 20,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