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지지면에 따른 한 발 서기 운동이 20대 대학생들의 동적 균형 능력과 배 근육 두께에 미치는 즉각적인 효과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Immediate Effect of Single Limb Stance Exercise According to the Supporting Surface on the Dynamic Balance Ability and Abdominal Muscle Thickness of College Students in Their Twenties

  • 박한규 (동주대학교 물리치료과) ;
  • 이경순 (동주대학교 물리치료과) ;
  • 박진 (드림솔병원 근골격계센터)
  • 투고 : 2020.10.08
  • 심사 : 2020.11.13
  • 발행 : 2021.02.28

초록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ingle limb stance exercise according to the support surface on dynamic balance ability and abdominal muscle thickness. Methods : We recruited 28 healthy subjects in this study. Subjects were assigned to 2 groups by matching method. The control group was 5 males and 9 females, and single limb stance exercise was performed on the stable support surface.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6 males and 8 females, and trained to stand on the unstable support. During the single limb stance exercise, the dominant foot was set as the foot that appeared numerically through the exercise of the dynamic balance meter (Biorescue). Single limb stance exercise along the supporting surface was maintained for 15 seconds and then rested for 15 seconds. It was repeated 5 times. Particularly, the balance exercise on the unstable support surface was sufficiently practiced. Independent t test was performed for comparison between groups. Paired t test was performed to compare before and after each group. Results :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comparison of dynamic balance ability (p>.05).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exercise in both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p<.05). Similarly, in the comparison of abdominal muscle thicknes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in each group, especially internal oblique and transverse abdominis (p<.05), and no difference between groups (p>.05). Conclusion : Based on these results, although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the experimental group, numerical increase in dynamic balance ability and abdominal muscle thickness was confirmed. Therefore, single limb stance exercise on the unstable support surfaces activates core muscles and has a positive effect on dynamic balancing ability.

키워드

I. 서론

개개인의 균형 능력, 유전적인 영향, 시각, 고유수용성 감각, 안뜰기관, 나이, 지지면, 인체 중심의 위치, 감정적인 상태, 근력, 협조, 유연성, 운동 능력 등은 개인적인 균형 능력에 있어서 필요로 하는 다양한 내·외부적인 요소들이다. 이러한 요소들은 정적 및 동적 균형을 이루기 위해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부분들이다(Hung & Miller, 2016; Stanković & Radenković, 2012). 균형 능력은 낙상을 예방하며 안전하고 효율적인 일상생활 활동이 이루어지고 특정 운동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도 필요한 부분이라고 하였다(Ku 등, 2012). 균형의 분류는 이동 (locomotion)을 통한 신체 위치를 올바르게 유지하는 동적 균형과 최소한의 움직임에 있어 인체 중심을 지지면에 수직으로 유지하는 정적 균형으로 나뉜다(Kilroy 등, 2016).

균형 운동은 개인 능력을 증가시키고 동적인 자세 조절이나 정적인 자세에 도움이 된다고 하였으며 균형 운동의 가장 전통적인 운동 방법은 한 발로 균형 잡기(single limb balance)라고 하였다(Anguish & Sandrey, 2018). 한 발 서기(single limb stance)는 앞먹임(feedforward) 기전의 선행적 자세 조절의 동적 균형과 되먹임(feedback) 기전의 정적 균형 단계로 구별할 수 있다(Thomas 등, 2018). 정적 균형 능력을 평가하고 일상생활을 하는데 가장 많이 이루어지는 동작이 한 발 서기이다(Janda, 1983). 한 발 서기는 여러 가지 균형 장애를 동반한 환자를 평가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된다(Bohannon 등, 1984). 또한 한 발 서기를 통하여 골반과 엉덩관절의 안정성 제공, 더불어 배 근육들의 같은 길이 수축 (isometric contraction) 조절 증진, 다리뼈의 회전 감소, 발의 엎침 감소 등의 효과가 나타난다(Neumann, 2010; Sahrmann 등, 2017). 특히 한 발 서기로 균형을 유지할 때 신경-근육(neuromuscular)의 조절로 몸통 및 골반과 허리의 움직임으로 인한 몸통 근육들의 활성화가 이루어진다. 나아가 불안정한 지지면에서의 균형 운동은 몸통의 중심을 이루는 배 근육들의 활성화가 2.5 효과 크기와 47.3 %의 근 활성이 증가한다고 보고하였다(Behm & Colado, 2012; Colado 등, 2013).

그러나 불안정한 지지면에서의 균형 운동은 배 근육들의 활성화를 위해서 낮은 균형 운동의 강도와 적당한 불안정성이 필요하다고 언급하였다(Behm & Colado, 2012; Behm 등, 2010). 배 근육들은 Type Ⅰ 근육 섬유들이기 때문에 천천히 그리고 지속적인 자극에 의해 활성화가 더욱 잘 일어나기 때문이다(Behm & Colado, 2013). 하지만 단순한 불안정한 지지면에서의 균형 운동은 건강한 성인이나 운동 선수들에게 근력이나 균형 증진에 있어 한계가 뚜렷하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적용된다고 하였다(Behm 등, 2015).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외부 저항, 한 발 적용, 시각적인 차단 등을 적용한 균형 운동 프로그램이 추천된다고 제시하였다(Behm & Colado, 2013; Behm 등, 2010). 허리 통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발 서기 동안 역동적 신경근 호흡에서 몸통 근육의 활성도와 근 두께의 증가를 확인하고 한 발 서기 자세 유지 시간의 증가를 확인하였으며 배 밸트 착용에 따른 한 발 서기 시 균형 증진을 확인한 기존 선행 연구들과(Ju 등, 2017; Lee 등, 2015; Yoo, 2016),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양발 서기에서 한 발 서기로 자세를 전환할 때 테이핑의 효과를 확인한 연구(Jeong & Kim, 2010)와 허리 통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발 서기 동안 몸통 안정화 근육의 근 활성도롤 확인한 연구(Min, 2014), 또한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한 발서기 동안 고유수용성 감각, 시각 정보를 이용한 전정 감각, 시각 정보 등을 활용한 동적 균형 능력을 확인하였다(Kim 등, 2015).

위와 같은 기존 선행 연구들은 허리 통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몸통 중심 근육의 강화 호흡법이나 배 벨트의 착용 및 테이핑의 적용 그리고 다양한 감각 자극을 활용한 한 발 서기 시 배 근육의 활성도나 배 두께 그리고 동적 균형 능력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지지면에 따른 한 발서기 운동을 통한 배 근육의 활성이나 두께의 변화를 확인하고 동시에 동적 균형 능력을 확인한 논문은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Park(2017)의 연구에서 사용한 오른쪽과 왼쪽으로 흔들리는 나무 보드와 반구 형태의 균형 패드 위에서 두 발로 균형 운동을 실시한 연구 방법을 수정하여 건강한 20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안정한 지지면에서 한 발 서기 운동과 균형 패드를 이용한 불안정한 지지면에서 한 발 서기 운동을 통하여 배 근육의 두께와 동적 균형 능력의 즉각적인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진행하였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자

본 연구는 부산시 D 대학에 재학 중인 건강한 20대 남녀 대학생 28명(남 11명, 여 17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이해하고 실험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자들로 실시하였다. 대상자들을 남녀 성별을 고려하여 두 그룹으로 배정하였다. 불안정한 지지면에서 한 발 서기운동을 실시한 실험군은 남학생 6명, 여학생 8명으로 구성하였다. 안정한 지지면에서 한 발 서기 운동을 실시한 대조군은 남학생 5명, 여학생 9명으로 구성하였다. 대상자 선정 기준은 지난 6개월 동안 골절, 근육 및 인대 손상 그리고 신경학적 병변의 과거력이 없는 자들을 선정하였으며 한 발 서기 운동이 가능한 대상자들을 선정하였다. 대상자들의 일반적인 특성은 Table 1과 같다. 본 연구는 헬싱키 선언에 따른 연구윤리를 준수하였다.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s (n=28)

DHTHB4_2021_v9n1_1_t0001.png 이미지

amean±standard deviations, EG; experimental group, CG; control group, BMI; body mass index, M; male, F; female, DF; dominant foot, R; right, L; left

2. 측정도구 및 방법

1) 초음파(ultrasound)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 초음파 영상 피드백을 제공하고 배 근육의 두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7.5 MHz의 곡선형 초음파인 초음파 진단기기 장비(Veneu 50, GE Healthcare, England)를 사용하였다. 초음파 영상 촬영의 장점은 수십 MHz의 고주파를 이용하여 높은 정밀도의 해상도로 인체 구조물 측정 시 정량적인 평가가 가능하며 방사선 노출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근육 두께를 촬영하고 분석하여 뼈대근의 기능 장애뿐만 아니라 질병으로 인한 뼈대근의 변화를 볼 수 있어 연구 및 임상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Ishida 등, 2018).

본 연구에서 지지면에 따른 한 발 서기 운동 전과 후에 배 근육의 두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대상자들은 편안한 바로 누운 자세에서 우세 측의 배 부위를 노출한 뒤 초음파 겔(gel)을 오른쪽 몸통 가쪽면의 겨드랑이선(axillary line)을 중심으로 12번째 갈비뼈와 위앞엉덩뼈가시가 만나는 중간 지점에서 배꼽이 만나는 지점에 바른 뒤 초음파 탐촉자를 이동하며 영상에서 근막접합부위(muscle fascia junction)를 찾은 후 배 바깥빗근, 배속빗근 그리고 배가로근을 초음파 영상에서 확인하였다(Fig 1). 운동 후 재측정을 위한 정확한 위치를 제공하고자 측정한 위치를 마커로 표시를 해두었다(Gu, 2016). 영상 수집은 3초 동안 크게 들숨 후 날숨의 4초 지점에서 영상을 수집하였으며 3회 측정한 평균값을 결과값으로 채택하였다. 각 측정마다 휴식 시간은 30초를 제공하였다.

DHTHB4_2021_v9n1_1_f0001.png 이미지

Fig 1. Ultrasound description

본 연구에서 초음파로 수집한 배 근육의 두께는 다양한 이미지 분석에 널리 사용되는 신뢰성이 높은 프로그램으로 1997년 미국 국립 보건원에서 개발한 프리웨어 프로그램인 Image J(Image J,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USA)를 이용하여 결과값을 채택하였다(Ruden 등, 2017; Sun 등, 2015). 각각의 영상마다 3회 평균값을 계산하여 3회 평균의 결과값의 평균을 최종 결과값으로 채택하였다.

2) 바이오레스큐(biorescue)

본 연구에서는 지지면에 따른 한 발 서기 운동 전과 후의 동적 균형 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시각적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한 정적 및 동적 균형 검사와 훈련을 할 수 있는 균형 능력 측정시스템인 바이오레스큐(Biorescue, RM INGENIERIE, France)를 이용하였다. 균형 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대상자들은 지지대가 없는 플랫폼 위에 양팔은 가지런히 몸통 옆에 두고 맨발로 양발을 15° 벌림하여 편안하게 선다. 특정한 움직임 동안 발생하는 몸의 중심점 이동 경로를 면적(mm2), 길이 (cm), 평균속도(cm/s)를 측정할 수 있다(Park, 2017). 이 도구의 검사-재검사 방법에서 급내 상관 계수 ICC는 .84로 높은 신뢰도를 보고하였다(Song & Park, 2016).

본 연구에서는 동적 균형 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안정성 한계(limit of stability)를 이용하였다. 모니터와 플랫폼의 간격은 1 m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대상자 눈높이에 위치한 전방의 모니터에서 지시하는 8개의 방향인 앞쪽⋅뒤쪽⋅왼쪽⋅오른쪽 그리고 4가지 경사(oblique) 방향으로 화살표가 움직일 때 발, 엉덩이 그리고 몸통의 대상작용 없이 체중을 이동하도록 지시하였다. 측정값은 화면에 나타난 대상자들의 인체 중심점에서 이동한 면적을 앞쪽⋅뒤쪽⋅왼쪽⋅오른쪽 그리고 전체값으로 측정하였다. 이동 면적은 수치가 커질수록 동적 균형 능력이 좋음을 의미하고 모든 측정은 3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각 측정마다 휴식 시간을 30초 제공하였다. 본 측정에 앞서 연구자가 시범을 보여주고 직접 대상자들에게 1회 연습을 하도록 하였다. 이때 대상자들의 우세 쪽 다리를 확인하기 위하여 이동 면적의 오른쪽과 왼쪽 이동의 1회 연습 결과값을 토대로 지지면에 따른 한발 서기 운동 시 우세 쪽 다리의 정보를 제공하였다(Fig 2). 그 결과 본 연구의 대상자 모두 오른쪽 발이 우세하게 나타났다.

DHTHB4_2021_v9n1_1_f0002.png 이미지

Fig 2. Balance description

3. 운동방법

본 연구에서 실시한 안정한 지지면은 실험실 평편한 바닥을 이용하였으며 불안정한 지지면은 평편한 바닥에 33 cm, 높이 7 cm 규격의 에어쿠션(TOGU, Ballkissen®, Germany)을 사용하여 불안정한 지지면을 제공하였다(Kim & Lee, 2019).

안정한 지지면과 불안정한 지지면에서 한 발 서기 운동을 할 때 우세다리로 체중을 지지하도록 하였다. 특히 불안정한 지지면에서 한 발 서기 운동을 할 경우 에어쿠션의 중앙에 발을 두고 운동 시작 5초 전 한 발 서기 자세에서 대상자의 오른쪽과 왼쪽에 팔 높이에 의자를 놓고 운동 시작 전에 잡고 있다가 운동이 시작함과 동시에 어깨 관절을 90° 벌림하여 균형을 유지하도록 지시하였다. 이때 지지하지 않는 왼쪽 다리는 엉덩관절을 90° 굽힘하고, 아래 다리는 중력에 의해 무릎관절이 자연스럽게 굽힘 되도록 유지하였다. 만약 시간 내에 동작을 유지하지 못할 경우 양 옆에 위치한 팔 지지대를 잡아 균형을 잡은 뒤 다시 위팔을 벌림하여 동작을 유지하는 방법으로 실시하였다(Fig 3).

DHTHB4_2021_v9n1_1_f0003.png 이미지

Fig 3. Single limb stance exercise description

운동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하여 본 운동을 시작하기 전에 연구자가 동작에 대한 시범을 보여준 뒤 피험자가 10초씩 3회 연습하도록 하였고 1분 휴식 후 본 운동을 실시하였다. 사전적인 연구의 의미로 본 연구의 중재 방법은 대상자들이 편하게 운동할 수 있는 역치를 고려하여 안정한 지지면과 불안정한 지지면에서 한 발 서기 운동시간은 15초 운동과 15초 휴식을 1 세트로 설정하여 총 5세트를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집중력을 높이기 위해 매 세트가 끝나기 3초 전에 시간을 알려주었다.

지지면에 따른 한 발 서기 운동 후에 5분간의 휴식을 제공한 뒤 초음파와 바이오레스큐를 운동 전과 같은 방법으로 무작위로 번갈아 측정하였다. 초음파와 바이오레스큐 측정 사이에 1분간의 휴식 시간을 제공하였다(Fig 4).

DHTHB4_2021_v9n1_1_f0004.png 이미지

Fig 4. Exercise schedule

4. 통계분석

자료 분석은 윈도우용 SPSS ver 22.0(IBM Co., Armonk, USA)을 사용하였다. 샤피로 윌크(Shaprio-Wilk)로 정규성 검정을 확인한 후 지지면에 따른 동적 균형 능력과 배 근육의 두께를 확인하기 위하여 그룹 내에서의 비교는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Wilcoxon signed rank test)을 실시하였으며 그룹 간의 비교는 만 휘트니 검정(Mann-Whitney test)을 실시하였다. 통계학적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Ⅲ. 결과

1. 지지면에 따른 한 발 서기 운동의 동적 균형 능력 비교

지지면에 따른 한 발 서기 운동의 동적 균형 능력 비교는 Table 2와 같다. 그룹 내 안정한 지지면과 불안정한 지지면에서 왼쪽, 오른쪽, 앞쪽, 뒤쪽 그리고 전체균형 능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다(p<.05). 하지만 그룹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Fig 5).

Table 2. Comparison of dynamic balance ability according to support surface (unit: mm2)

DHTHB4_2021_v9n1_1_t0002.png 이미지

DHTHB4_2021_v9n1_1_f0005.png 이미지

Fig 5. Comparison of before and after changes in dynamic balance ability (LB; left balance, RB; right balance, FR; forward balance, BB; backward balance, TB; total balance)

2. 지지면에 따른 한 발 서기 운동의 배 근육 두께 비교

지지면에 따른 한 발 서기 운동의 배 근육 두께 비교는 Table 3과 같다. 그룹 내 안정한 지지면과 불안정한지 지면에서 배속빗근과 배가로근에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다(p<.05). 하지만 그룹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Fig 6).

Table 3. Comparison of abdominal muscle thickness according to the support surface (unit: mm)

DHTHB4_2021_v9n1_1_t0003.png 이미지

DHTHB4_2021_v9n1_1_f0006.png 이미지

Fig 6. Comparison of before and after changes in abdominal muscle thickness (EO; external oblique, IO; internal oblique, TrA; transverse abdominis)

Ⅳ. 고찰

먼쪽에서 발생하는 불안정성에 대하여 우리 인체는 발, 정강이뼈, 넓적다리 주위 근육 등의 안정성뿐만 아니라 보다 효율적인 자세 조절을 위하여 배 근육들의 활성도 증가로 균형 전략을 세운다(Beaudette 등, 2014). 우리 몸의 중심을 이루는 배 근육들은 균형을 조절하기 위하여 프로그램화되어 있어 자발적인 움직임이 발생할 때 안정성을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David 등, 2015). 따라서 본 연구는 건강한 20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안정한 지지면과 불안정한 지지면에서 한 발 서기 운동을 통하여 배 근육의 두께와 동적 균형 능력을 비교하기 위하여 진행하였다.

동적 균형 능력을 비교한 본 연구 결과에서는 안정한 지지면과 불안정한 지지면에서 실시한 한 발 서기 운동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지지면에 따른 동적 균형 능력을 비교한 기존 선행 연구에서는 비만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지지면에 따른 발목 균형 전략을 실시한 결과 불안정한 지지면에서 이동 거리와 면적 그리고 동적 균형 능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다(Han & Lee, 2018). 다양한 종목의 스포츠 선수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불안정한 지지면에서의 균형 훈련이 동적 균형 능력을 증가시켰다(Cimadoro 등, 2013; Park, 2017).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불안정한 지지면에서의 몸통 조절 운동이 바깥쪽 체중 이동 훈련을 포함한 일반적인 균형 훈련보다 동적 균형 능력에 효과적이라고 하였다(Jang & Kim, 2016). 건강한 성인과 비교하여 허리 통증 환자를 대상으로 배 벨트를 착용하고 정적인 한 발 서기 균형을 비교한 결과 배 벨트를 착용한 허리 통증 환자들에게서 인체 중심 이동 면적과 속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고 건강한 성인은 인체 중심 이동 속도에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그룹 간의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지 못하였다(Ju 등, 2017). 배 벨트의 착용은 정적 균형과 동적 균형을 증가시키고 일상생활에서 균형 능력을 증진시키며 안정성을 제공한다는 Lee 등(2015)과 Yu 등(2015)의 기존 선행 연구를 통해서 배 벨트가 몸통 및 엉덩관절 폄근의 활성도 증진과 배 근육들의 증가로 인한 수동적인 자세 안정성의 결과라고 하였다. 또한 허리 통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발 서기 유지 시 역동적 안정화 신경근 호흡군에서 배 중심 근육의 근 활성도와 초음파 근 두께가 증가한 동시에 한 발 서기 자세 유지 시간 5회 반복 측정한 결과에서는 한 발 서기 시 실시한 역동적 신경근 안정화 호흡군에서 자세 유지 시간이 길게 나타났다(Yoo, 2016). Jeong과 Kim(2010)의 연구에서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양발 서기에서 한 발 서기로 자세를 전환할 때 허리 부위 테이핑의 적용이 몸통 안정화 근육의 활성도 변화 비율을 확인한 결과에서도 허리 부위에 테이핑 적용 전보다 후에서 근육 활성도의 변화율이 크게 나타났다. 이것은 양발에서 한 발 서기로 자세 전환할 때 허리 안정화 테이핑이 자세 전환 시 발생하는 불안정성에 대한 허리 부위에 수동적인 안정성을 제공하여 보다 효과적인 자세 전환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위와 같은 결과는 배 근육 두께를 비교한 본연구 결과에서 안정한 지지면과 불안정한 지지면에서 실시한 한 발 서기 운동에서 배속빗근과 배 가로근에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한 결과와 유사하다. 이것은 기존 선행 연구의 결과인 배 벨트 및 허리 부위에 적용한 테이핑으로 인한 수동적인 안정성의 증가와 본 연구의 지지면에 따른 한 발 서기 운동을 통한 인체 중심의 능동적인 안정성 증가의 결과로 동적 균형 능력이 증가한 같은 결과라고 생각된다. 배속빗근과 배가로근은 인체 불안정성과 관련하여 우리 몸의 안정성을 제공하는 선행적인 자세 조절(anticipatory postural adjustment) 근육들로 본 연구에서 실시한 지지면에 따른 한 발 서기 운동을 통해 발생하는 생체역학적인(biomechanical) 변화에 대하여 몸 전체의 균형 유지를 위하여 자세 조절에 참여한 결과라고 생각된다(Horak & Nashner, 1986; Park, 2017). 하지만 동적 균형 능력 비교에서 그룹 간에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가 사전적 의미의 연구 중재이다 보니 짧은 시간 안정한 지지면과 불안정한 지지 면에서의 한 발 서기 운동이 그룹 간의 차이를 나타내기에는 중재의 역치가 부족한 것으로 생각된다.

배 근육 두께 비교에서 그룹 간에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안정한 지지면과 불안정한 지지면에서 실시한 한 발 서기 운동에서 배속빗근과 배가로근에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허리 통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발 서기 훈련 시 역동적 신경근 안정화 호흡군과 자율적인 가슴 호흡군의 중심 배 근육의 활성도와 배 근육 두께의 초음파를 비교 확인한 결과 근전도에서는 모든 배 근육들과 뭇갈래근에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초음파에서는 배가로근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다(Yoo, 2016). 만성 허리 통증 환자와 건강한 성인과의 한 발 서기 동안 몸통 안정화 근육의 활성화를 비교한 연구에서는 건강한 성인 그룹에서 배곧은근, 배바깥빗근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높은 근 활성도를 확인하였다(Min, 2014). 이는 한 발 서기 시 엉치엉덩관절(sacroiliac joint)의 불안정성에 대한 몸통 깊은 근육들의 활성화가 만성 허리 통증 환자들에게서는 허리와 골반 주위 근력, 협응 및 근 동원 형태의 상호작용들이 원활하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한 발 서기 동작 시 허리 부위에 적용한 테이핑이 중심 근육의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연구 결과에서도 허리 부위에 테이핑 적용 전보다 적용 후에서 안정화 근육의 활성도가 증가하였다(Jeong & Kim, 2010). 청소년 공기 소총 사격 선수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불안정한 지지면에서의 균형 훈련과 호흡 조절 훈련을 통한 배 중심 근육의 증가를 비교한 결과 불안정한지 지면에서 균형 훈련을 한 후 폐활량을 측정할 때 확인한 배 근육 활성도에서 배속빗근에서 수치상의 증가를 확인하였다(Park, 2017).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불안정한 지지면에서의 균형 훈련과 호흡 운동을 병행한 그룹에서 폐활량과 배 근육들의 활성화에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다(Kim & Park, 2016). Choi(2015)와 Lee(2013)의 연구에서는 보수 볼과 발란스 패드 위에서 실시한 스쿼트 운동이 배 중심 근육들에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위와 같은 결과는 불안정한 지지 면에서의 균형 운동은 고유수용성 감각의 증진, 관절과 근육의 신경 근육 조절 능력의 증가와 함께 균형 능력의 향상과 먼 쪽 부분에서 발생하는 불안정한 힘(torque)에 의해 증가하는 회전력과 각운동량이 몸통 근육을 자극한 결과라고 하였다(Behm & Colado, 2013; Houdijk 등, 2009). 그러나 동적 균형 능력 비교와 마찬가지로 배 근육 두께 비교에서도 한 발 서기의 역학적인 이점 즉 먼쪽 분절에서 발생하는 힘이 인체 중심에 전달되는 운동학적인 측면과 한 발 서기 시 발생하는 불안정성에 대한 인체 중심의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한 선행적 자세 조절 개념에도 불구하고 그룹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이유는 본 연구의 사전적 의미의 개념으로 짧은 중재 시간 적용의 결과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지지면에 따른 한 발 서기 운동의 중장기적인 측면에서 다양한 방법을 적용한 균형 훈련의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불안정한 지지면에서의 한 발 서기 운동 시 골반과 다른 관절의 역학적인 부분을 고려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들을 보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Ⅴ. 결론

본 연구는 건강한 20대 대학생 28명을 대상으로 안정한 지지면에서 한 발 서기 운동과 불안정한 지지면에서의 한 발 서기 운동을 실시하여 동적 균형능력과 배 근육 두께의 변화를 즉각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 지지면에 따른 각 그룹 내에서 동적 균형 능력과 배 근육 두께의 변화에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연구 중재의 중장기적인 측면에서의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지지면에 따른 그룹 간의 차이를 확인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1. Anguish B, Sandrey MA(2018). Two 4-week balance-training programs for chronic ankle instability. J Athl Train, 53(7), 662-671. https://doi.org/10.4085/1062-6050-555-16.
  2. Beaudette SM, Graham RB, Brown SH(2014). The effect of unstable loading versus unstable support conditions on spine rotational stiffness and spine stability during repetitive lifting. J Biomech, 47(2), 491-496. https://doi.org/10.1016/j.jbiomech.2013.10.055.
  3. Behm D, Colado JC(2012). The effectiveness of resistance training using unstable surfaces and devices for rehabilitation. Int J Sports Phys Ther, 7(2), 226-241.
  4. Behm DG, Colado JC(2013). Instability resistance training across the exercise continuum. Sports Health, 5(6), 500-503. https://doi.org/10.1177/1941738113477815.
  5. Behm DG, Drinkwater EJ, Willardson JM, et al(2010). The use of instability to train the core musculature. Appl Physiol Nutr Metab, 35(1), 91-108. https://doi.org/10.1139/H09-127.
  6. Behm DG, Muehlbauer T, Kibele A, et al(2015). Effects of strength training using unstable surfaces on strength, power and balance performance across the lifespa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Sports Med, 45(12), 1645-1669. https://doi.org/10.1007/s40279-015-0384-x.
  7. Bohannon RW, Larkin PA, Cook AC, et al(1984). Decrease in timed balance test scores with aging. Phys Ther, 64(7), 1067-1070. https://doi.org/10.1093/ptj/64.7.1067.
  8. Choi NY(2015). The effects of doing smith machine squat exercise on unstable ground on lower extremity muscle and trunk muscle. Graduate school of Dankook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Master's thesis.
  9. Cimadoro G, Paizis C, Alberti G, et al(2013). Effects of different unstable supports on EMG activity and balance. Neurosci Lett, 548, 228-232. https://doi.org/10.1016/j.neulet.2013.05.025.
  10. Colado JC, Borreani S, Pinto SS, et al(2013). Neuromuscular responses during aquatic resistance exercise with different devices and depths. J Strength Cond Res, 27(12), 3384-3390. https://doi.org/10.1519/JSC.0b013e3182915ebe.
  11. David P, Terrien J, Petitjean M(2015). Postural- and respiratory-related activities of abdominal muscles during post-exercise hyperventilation. Gait Posture, 41(4), 899-904. https://doi.org/10.1016/j.gaitpost.2015.03.012.
  12. Gu YM(2016). The effects of maximum expiration and drawing-in on healthy adults' trunk muscle activity and thickness and trunk and pelvic movements. Graduate school of Daegu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Doctoral dissertation.
  13. Han JH, Lee HJ(2018). The effect of ankle balance training on unstable and stable surface on proprioception, balance and muscle strength in obese middle-aged woman. J Korean Soc Integrative Med, 6(3), 59-71. http://doi.org/10.15268/ksim.2018.6.3.059.
  14. Horak FB, Nashner LM(1986). Central programming of postural movements: adaptation to altered support-surface configurations. J Neurophysiol, 55(6), 1369-1381. https://doi.org/10.1152/jn.1986.55.6.1369.
  15. Houdijk H, Fickert R, van Velzen J, et al(2009). The energy cost for balance control during upright standing. Gait Posture, 30(2), 150-154. https://doi.org/10.1016/j.gaitpost.2009.05.009.
  16. Hung YJ, Miller J(2016). Extrinsic visual feedback and additional cognitive/physical demands affect single-limb balance control in individuals with ankle instability. World J Orthop, 7(12), 801-807. https://doi.org/10.5312/wjo.v7.i12.801.
  17. Ishida H, Suehiro T, Suzuki K, et al(2018). Muscle thickness and echo intensity measurements of the rectus femoris muscle of healthy subjects: Intra and interrater reliability of transducer tilt during ultrasound. J Bodyw Mov Ther, 22(3), 657-660. https://doi.org/10.1016/j.jbmt.2017.12.005.
  18. Janda(1983). On the concept of postural muscles and posture in man. Aust J Physiother, 29(3), 83-84. https://doi.org/10.1016/S0004-9514(14)60665-6.
  19. Jang JY, Kim SY(2016). Effects of trunk control exercise performed on an unstable surface on dynamic balance in chronic stroke patients. J Korean Soc Phys Med, 11(1), 1-9. https://doi.org/10.13066/kspm.2016.11.1.1.
  20. Jeong KY, Kim SY(2010). Effect of lumbar stabilizing taping on the electromyographic activation of trunk and gluteal muscles during one-leg standing. J Korean Phys Ther Sci, 17(1), 23-32.
  21. Ju HP, Choi SA, Jeong DH, et al(2017). Effect of abdominal compression belt on static balance during one leg standing in low back pain patients. PNF and Movement, 15(3), 353-360. https://doi.org/10.21598/JKPNFA.2017.15.3.353.
  22. Kilroy EA, Crabtree OM, Crosby B, et al(2016). The effect of single-leg stance on dancer and control group static balance. Int J Exerc Sci, 9(2), 110-120.
  23. Kim GH, Tak JY, Lim HY, et al(2015). Effects of various sensory stimulation on surface area and velocity of center of pressure during one leg standing in healthy adults. Phys Ther Korea, 22(3), 41-49. https://doi.org/10.12674/ptk.2015.22.3.041.
  24. Kim HS, Lee KC(2019). Effect of support surface form on abdominal muscle thickness during flank exercise. J Korean Soc Integrative Med, 7(3), 197-204. https://doi.org/10.15268/ksim.2019.7.3.197.
  25. Kim TH, Park HK(2016). Effect of the balance exercise on the unstable surfaces for the vital capacity in healthy adults: a preliminary study. J Korean Soc Integrative Med, 4(3), 17-25. https://doi.org/10.15268/ksim.2016.4.3.017.
  26. Ku PX, Abu Osman NA, Yusof A, et al(2012). Biomechanical evalu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ural control and body mass index. J Biomech, 45(9), 1638-1642. https://doi.org/10.1016/j.jbiomech.2012.03.029.
  27. Lee JE, Yi CH, Kwon OY, et al(2015). Dynamic balance and muscle activity of the trunk and hip extensor following the wearing of pelvic compression belt. Phys Ther Korea, 22(1), 49-57. https://doi.org/10.12674/ptk.2015.22.1.049.
  28. Lee JS(2013). Comparison of core muscle activity on surface conditions and loads during squat exercise. Graduate school of Dankook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Master's thesis.
  29. Neumann DA(2010). Kinesiology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Foundations for physical rehabilitation. 2nd ed, St. Louis, Mosby, pp.479-530.
  30. Min DK(2014). Trunk stabilization muscle activity in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s during one leg stance. J Korean Phys Ther Sci, 21(1), 13-20.
  31. Park HK(2017). The effects of balance training and breathing control training on balance, respiration, muscle activity, and shooting record of adolescent air rifle athletes. Graduate school of Daegu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Doctoral dissertation.
  32. Rueden CT, Schindelin J, Hiner MC, et al(2017). ImageJ2: ImageJ for the next generation of scientific image data. BMC bioinformatics, 18, Printed Online. https://doi.org/10.1186/s12859-017-1934-z.
  33. Sahrmann S, Azevedo DC, Van Dillen L(2017). Diagnosis and treatment of movement system impairment syndromes. Braz J Phys Ther, 21(6), 391-399. https://doi.org/10.1016/j.bjpt.2017.08.001.
  34. Song GB, Park EC(2016). The effects of balance training on balance pad and sand on balance and gait ability in stroke patients. J Korean Soc Phys Med, 11(1), 45-52. https://doi.org/10.13066/kspm.2020.15.2.65.
  35. Stankovic M, Radenkovic O(2012). The status of balance in preschool children involved in dance program. Res Kinesiol, 40(1), 113-116.
  36. Sun Z, Wang Y, Ji S, et al(2015). Computer-aided analysis with image J for quantitatively assessing psoriatic lesion area. Skin Res Technol, 21(4), 437-443. https://doi.org/10.1111/srt.12211.
  37. Thomas C, Dos'Santos T, Comfort P, et al(2018). Relationships between unilateral muscle strength qualities and change of direction in adolescent team-sport athletes. Sports, 6(3), 83. https://doi.org/10.3390/sports6030083.
  38. Yoo IG(2016). Effects of dynamic neuromuscular stabilization breathing on core muscles during one-leg standing in patients with mechanical low back pain. Graduate school of Health and Environment Yonsei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Master's thesis.
  39. Yu WJ, Lee SH, Park JS, et al(2015). A study of pelvic compression belt effects for adults well-being. J Korea Entertain Industr Assoc, 29(3), 421-428. https://doi.org/10.21184/jkeia.2015.09.9.3.421.

피인용 문헌

  1. 계단 운동과 케겔 복합 운동이 최대 자발적 환기량과 안정성의 한계에 미치는 비교 연구 vol.9, pp.3, 2021, https://doi.org/10.15268/ksim.2021.9.3.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