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new Direction for the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of Public Healthcare Facilities

공공의료시설 예비타당성조사 방법론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20.12.08
  • Accepted : 2021.02.17
  • Published : 2021.03.31

Abstract

Due to COVID-19, the importance of public medical facilities, especially hospitals specializing in infectious diseases, is rising. Despite the government's strong will, the establishment of public medical facilities and infectious disease hospitals has not been properly established. This is because the overall system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public medical facilities does not sufficiently reflect social and economic changes and the trend of the ti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limitations and problems related to the guidelines for preliminary feasibility studies of public medical facilities and to present alternatives. This study proposes 'Option Value' as an alternative. Since the option value is a willingness to pay for an uncertain situation, it is theoretically reasonable and reasonable to reflect it as an additional benefit. Normally, the value of existence is not seen, but the system that is seen in a crisis is in the 'medical and health'.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a system that is invisible even in the feasibility evaluation in the medical and health, and constantly improve and develop a methodology that can estimate changes in the welfare of citizens within the system. I expect this study to play a role as a catalyst.

코로나19 이후 공공의료시설, 특히 감염병전문병원의 중요성이 높아졌다. 그러나 메르스 사태 이후 정부의 강력한 정책의지에도 불구하고 공공의료시설과 감염병전문병원의 공급은 충분히 이뤄지지 않았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가장 큰 문제로 대두된 것이 바로 사회·경제적 변화와 시대의 흐름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예비타당성조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의료시설과 관련된 현행 예비타당성조사제도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그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그 대안으로 '선택가치'를 제안한다. 선택가치는 불확실한 상황에 대한 지불의 사이므로 감염병에 대비한 공공의료시설의 편익항목으로 반영하는 것이 학술적으로 가능하다. 선택가치는 비시장 재화이므로 조건부가치추정법과 선택모형을 통해 추정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방법론의 장단점과 활용대안을 제시하였다. 일상에서는 그 존재가치가 보이지 않지만 위기 상황에서 나타나는 것이 바로 의료와 보건시스템이다. 따라서 의료·보건분야의 예비타당성평가에서도 보이지 않는 편익을 찾고, 후생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방법론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가 그 촉매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동진.송병록.노정현. 2012. "실물옵션 기법을 이용한 도로사업의 경제성 평가". 국토연구 제72권. pp.41-62. https://doi.org/10.15793/KSPR.2012.72..003
  2. 권태형. 2008. "공공사업 타당성평가에서 다기준분석의 의의와 한계: 예비타당성조사의 AHP 평가기법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보 제22권 제3호. pp.31-51.
  3. 김민재.이영성. 2015. "선택실험법을 활용한 부산김해경전철의 선택가치 추정". 국토연구 제87권. pp.81-95.
  4. 김민재. 2018. "사회기반시설의 외부효과와 갈등의 양상에 관한 연구: 김해 신공항 소음에 대한 지불용의액과 수용용의액의 비교를 통해".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상겸. 2013. "사회적 할인율 변화가 편익-비용분석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예비타당성조사의 사례분석". 사회과학연구 제39권 제3호. pp.39-56.
  6. 국립중앙의료원 공공보건의료지원센터. 2019. 2018년 공공보건의료 통계집
  7. 박정수. 2008. "서울시 도시철도 운영비용 함수모형 개발". 서울도시연구 제9권 제2호. pp.83-94.
  8. 보건복지부. 2015. 2015 메르스백서, 메르스로부터 교훈을 얻다!.
  9. 안상진.김혜원.이윤빈. 2010.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 분석틀 표준화 연구: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을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제16권 제1호. pp.176-198.
  10. 엄영숙.권오상.신영철. 2011. "예비타당성조사 적용 CVM의 분석체계와 개선과제". 자원.환경경제연구 제20권 제3호. pp.595-630.
  11. 이영성.문흥안.김갑성.김민재. 2016. "북한 지역 지적측량원도 디지털화의 편익추정". 지역연구 제32권 제2호. pp.3-13. https://doi.org/10.22669/KRSA.2016.32.2.003
  12. 장병철.손의영.오미영. 2010. "공공투자사업 평가의 적정 사회적 할인율 추정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28권 제2호. pp.65-75.
  13. 장수은.강지혜.이범신.윤석강. 2008. "철도의 선택 및 비사용 가치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26권 제6호. pp.143-154.
  14. 조공장. 2013. 대규모 개발사업의 지속 가능성 확보를 위한 예비타당성조사 제도 개선 방안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보고서 2013-17.
  15. 한국개발연구원 공공투자관리센터. 2011. 의료시설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 연구.
  16. 한국개발연구원 공공투자관리센터. 2011. 마산의료원 신축사업 타당성 재조사 보고서.
  17. 한국토지주택공사. 2016. 주택단지 부문 예비타당성조사 가이드라인.
  18. 황지혜. 2020. "감염병 관리를 위한 공공의료원 법제 개선에 관한 연구: 민간의 참여 방안을 중심으로". 토지공법연구 제91권. pp.59-91.
  19. Crockett, D. 1992. "Should Non-Use Benefits be Included in Social Cost Benefit Analysis". Institute for Transport Studies. Leeds: University of Leeds.
  20. Geurs, K. T., Rinus, H. & van Wee, B. 2006. "Option Value of Public Transport: Methodology for Measurement and Case Study for Regional Rail Links in the Netherlands". Transport Review. Vol.26, No.5. pp.613-643. https://doi.org/10.1080/01441640600655763
  21. Geurs, K. T. & van Wee, B. 2006. "Ex-post evaluation of thirty years of compact urban development in the Netherlands". Urban Studies. Vol.43, No.1. pp.139-160. https://doi.org/10.1080/00420980500409318
  22. Humphreys, R. & Fowkes, A. 2006. "The significance of indirect use and non-use values in transport appraisal". Vol.33, No.1. pp.17-35.
  23. Painter, K. M., Scott, II R. D., Wandschneider, P. R. & Casavant, K. L. 2002. "Using contingent valuation to measure user and nonuser benefits: An application to public transit". Review of Agricultural Economics. Vol.24, No.2. pp.394-409. https://doi.org/10.1111/1467-9353.00105
  24. Roson, R. 2001. "Assessing the option value of a publicly provided service: The case of local transport". Urban Studies. Vol.38, No.8. pp.1319-1327. https://doi.org/10.1080/00420980120061043
  25. Stephanie, H., Gregory, R. W. & Diego, S. 2020. "Social, ethical, and other value judgments in health economics modelling". Social Science & Medicine, Vol.253, pp.1-9.
  26. Susie, M. G., Simeon, L. H., Philip, N. T. & Eugene, J. M. 2013. "Review Ecosystem services of the Southern Ocean: trade-offs in decision-making". Antarctic Science, Vol.25, No.5. pp.603-617. https://doi.org/10.1017/s095410201300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