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Chungnam Display Industry

충남 디스플레이 산업의 구조적 특성 분석

  • Kim, Dae-Jung (Department of Industry University Cooperation, Sunmoon University) ;
  • Ko, Kyoung-Ho (Graduate School of Policy and Business Administration, Dankook University)
  • 김대중 (선문대학교 산학협력교육학부) ;
  • 고경호 (단국대학교 정책경영대학원)
  • Received : 2020.12.01
  • Accepted : 2021.03.05
  • Published : 2021.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industrial structure and to present a future vision through analysis of industrial agglomeration, growth, and industrial efficiency targeting the Chungnam display industry nurtured by regional industrial policies since 2002. The industrial scale and aggregate status were analyzed through the business scale quotient and location quotient, and the growth and pace of structural change in the industry were analyzed through the industrial growth rate and change of industrial structure. Analysis results found the display industry shows its solid status based on industrial agglomeration. The RLQ, added value ratio, and employment coefficient have a relatively high comparative advantage. However, the growth rate has declined, and the pace of structural change has become lower. The regional competitiveness has been deteriorating. It is necessary to develop strategies to help the industry evolve into a convergence display industry to secure competitiveness by forming value chains. The regional industrial policy 'Regional Innovation Growth Plan' should be utilized to foster local industries that consider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directions and to promote the shared growth of related subsidiary industries through fostering specialized complexes for materials, parts, and equipment.

본 논문은 지역산업정책에 의해 2002년부터 지속적으로 지원·육성되어온 충남 디스플레이 산업을 대상으로 산업의 집적과 성장성 및 산업효율성 분석을 통해 현재의 산업구조적 특성을 점검하고 미래의 산업적 비전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업체규모계수(BQ)와 특화도(LQ)를 통해 산업규모와 산업집적현황을 분석하고, 산업성장률(IG)과 산업구조변화율(CIS)을 통해 산업의 성장성과 산업구조변화속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산업의 효율성을 판단하기 위해 노동의 상대적 효율성 지수(RLQ), 부가가치율, 고용계수 및 변이할당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충남 디스플레이산업은 2017년 현재 산업규모가 전국대비 대규모 형태이고, 매우 높은 집적을 통해 충남의 특화산업으로서 견고한 위상을 보여 주고 있다. 그리고 노동의 상대적 효율성지수에서도 전국대비 상대적인 비교우위를 가지고 있고, 부가가치율도 전국 대비 높게 나타났으며, 고용계수 역시 높게 나타나고 있어서 효율적인 산업활동이 높게 평가된다. 그러나 2013년에서 2017년간의 성장률이 떨어지고 전국보다 산업구조 변화 속도가 낮게 나타나는 등 산업구조적으로 지역경쟁력 측면이 악화되고 있어 구조적이고 혁신적 변화모색이 요구되는 시점이라 판단된다. 따라서 타산업과의 벨류체인을 형성하여 동반 발전을 할 수 있는 분야로 타산업의 고부가가치화와 시장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수 있도록 연관 산업과 연계된 융복합디스플레이산업으로의 전략이 필요해 보인다. 또한 최근의 지역산업정책인 '지역혁신성장계획'을 통해 지역 특성과 발전방향 등을 고려한 지역산업 육성을 도모하고,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 육성을 통해 관련 소부장산업의 동반 성장을 추진하는 역할이 필요해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Information on Application for Material Parts and Equipment, Attachment 1 of Official Letter 'Material parts and equipment specialized complex promotion plan',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Korea, June 5, 2020.
  2. Y. H. Lee, J. Y. Bae,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Analysis of Materials and Components Industry of Korea", Journal of CEO and Management Studies, Vol.19. No.2, pp.25-42, 2016.
  3. J. H. Oh, K. H. Chung, "DEA Model for Measuring the relative Efficiency of Korean Materials and Components Industry", Management and Information Research, Vol.31, No.1, PP.273-292, 2012. DOI: https://doi.org/10.29214/damis.2012.31.1.013
  4. H. H. Kwon, K. H. Jo, H. S. Kim, Role of Local Government for development of Regional Strategic Industries, KRIIA, p .7, 2002.
  5. J. H. Jang. et al., A New Paradigm of Korean Regional Policy: Harmonizing Efficiency with Equity, Kiet, p.540, 2012.
  6. Y. S. Kim, S. B. Kim, H. N. Oh, Achievements and Tasks in 10 Years of Regional Industrial Policy: Focusing on local industry promotion projects, Kiet, p.289, 2007.
  7. D. J. Kim, Regional Industry Analysis, Dae young co, p.384,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