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North Korea's Perception of Korean Traditional Medicine in Joseonbogeonsa[History of Public Health in Joseon Korea] - Focusing on Premodern Medical History -

『조선보건사』를 통해 살펴본 북한의 전통의학 인식 - 근대 이전 의학사를 중심으로 -

  • Shin, Sang-won (Dept. of Humanities & Social Medicine, School of Korean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Kim, Jong-hyun (Dept. of Korean Medical Classics & History, College of Korean Medicine, Gachon University) ;
  • ;
  • ;
  • ;
  • ;
  • ;
  • 辛 (釜) ;
  • 相 (山) ;
  • 元 (大) ;
  • ;
  • 金 (校) ;
  • 鍾 ( 韓) ;
  • 鉉 (醫) ;
  • Received : 2021.02.02
  • Accepted : 2021.02.08
  • Published : 2021.02.25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the significance of the 『Joseonbogeonsa』 by examining North Korea's perspective in its documentation of the history of medicine, and to further understand North Korea's perception of Korean Traditional Medicine. Methods : The focus of examination was on the perspective of historical description as shown in the first chapter of the 『Joseonbogeonsa』. Its unique features were made clear through comparison with historical texts of medicine of South Korea such as the 『History of Medicine in Korea』, and the 『History of Korean Medicine』. In order to grasp the current of historical research in North Korea, various Traditional Medicine related dictionaries and academic journals of North Korea along with the 『Joseontongsa』 were examined. Results & Conclusions : The historical views of the 『Joseonbogeonsa』 could be categorized as nation-focused, materialistic, and nationalistic. These are core elements that make up North Korea's self-reliance ideology, which influenced the interpretation of medical facts. While the text is valuable in that it introduced new historical material along with its interpretation, and argued for a more independent development of Traditional Medicine, its limitation of interpreting historical material from a conclusive, pre-determined standpoint cannot be overlooked. The North Korean 'Goryeo Medicine' is defined by its historical nature rather than academic characteristics, and its significance is determined by its clinical efficacy rather than theoretical value.

Keywords

References

  1. 김기욱 외. 한의학통사. 고양시. 대성의학사. 2006.
  2. 김동수. 고려의학 현황과 남북 전통의학 교류.협력방안. 한국한의학연구원. 정책연구 2020-1호. 2020.
  3. 김동일. 허준과 그가 편찬한 고려의학 책. 천리마. 1992. 11호.
  4. 김두종. 한국의학사. 서울. 탐구당. 1966.
  5. 김종현, 김송이. 북한의 침구학 서적에 대한 개괄적 연구.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37(4). 2020.
  6. 김진혁, 문미라. 사회주의 진영의 북한 의료지원과 교류(1945-1958): '소련배우기'와 '주체적' 발전의 틈새에서. 의사학. 28(1). 2019.
  7. 김창복. 16세기 후반기-17세기초 의학자 허준과 <<동의보감>>. 력사과학. 1986. 4호.
  8. 림영호. 허준과 <<동의보감>>. 천리마. 2002. 12호.
  9. 문도웅. [력사인물소개] 허준과 <<동의보감>>. 천리마. 2008. 1호.
  10. 三木榮. 朝鮮醫書誌. 大阪. 學術圖書刊行會. 1956.
  11. 三木榮. 朝鮮醫學史及疾病史. 大阪. 富土精版. 1963.
  12. 박지영. 서평: 한국의학사 연구의 최근 경향과 전망(여인석, 이현숙, 김성수, 신규환, 박윤형, 박윤재, 한국의학사). 의사학. 21(2). 2012.
  13. 박형우. 홍순원의 조선보건사. 연세의사학. 1(1). 1997.
  14. 白裕相. 韓醫學 정체성 논의에 대한 연구 - 原典學을 중심으로.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3(5). 2010.
  15. 보건부 김일성동지보건사상연구실 집필, 홍순원 심사, 서창남 편집. (위대한 수령)김일성 동지의 보건령도사.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0
  16. 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 (북한학술총서1)조선통사(상)(하). 서울. 도서출판 오월. 1988.
  17. 신동원. 한국 전근대 의학사 연구 동향. 의사학. 19(1). 2010.
  18. 신동원. 한국 전근대 의학사 연구 동향. 의사학. 19(1). 2010.
  19. 신순식, 한국한의학연구소. 한국한의학사재 정립(상). 서울. 한국한의학연구소. 1995.
  20. 여인석. 一山 金斗鍾의 생애와 학문. 의사학. 7(1). 1998.
  21. 윤창렬. 북한의 고려의학 연구. 대전. 주민출판사. 2004.
  22. 전병우. 북한 古代史觀의 변화 -1960년 前後에 나타난 古代史 時期 구분을 중심으로-. 평화통일연구. 1호.
  23. 평화문제연구소. 조선향토대백과(1). 서울. 평화문제연구소.
  24. 허정. 서평: 홍순원, 조선보건사(청년세대, 1990). 한국과학사학회지. 13(1). 1991.
  25. 홍순원 심사, 김명순 편집. 조선사회과학학술집482 혁명력사학편:위대한 수령 김일성동 지의 보건령도사.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2014.
  26. 홍순원. 보건경영학:대학용. 평양. 고등교육도서출판사. 1990.
  27. 홍순원. 조선보건사. 서울. 도서출판 청년세대. 1989.
  28. 홍순원. 조선보건사. 평양.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81
  29. 홍창신. [인물소개] 허준과 <<동의보감>>. 민족문화유산. 2007. 1호. 29. 황상익, 김수연. 해방 전후부터 정부 수립까지(1945년-1948년)의 북한 보건의료. 의사학. 16(1). 2007.
  30. 황상익, 김수연. 해방 전후부터 정부 수립까지(1945년-1948년)의 북한 보건의료. 의사학. 16(1).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