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nges in the Energy Landscape from Multi-Level Perspective: A Case Study of the Photovoltaic Module Carbon Certification System

다층적 관점에서 바라본 에너지경관의 변동: 태양광 모듈 탄소인증제를 사례로

  • Jang, Geunyong (Department of Environmental planning,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장근용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 Received : 2021.09.06
  • Accepted : 2021.10.17
  • Published : 2021.12.31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changes in the energy landscape, focusing on the photovoltaic module carbon certification system. As the global photovoltaic market has been reorganized around Chinese companie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pushed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nation's photovoltaic industry. However, a limitation remains in that the government-led effort was not sufficient to bring about dynamic changes in the energy landscape.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explored the stages leading to the multi-level perspectives of "macro-environment, socio-technical regime, and niche" to track the process of the government and domestic photovoltaic companies as part of a socio-technical regime responding to global market changes. In particular, this study raised an issue with the conceptual discussion of multi-level perspective, which placed a particular emphasis on the rate of change at each level and the niche in which innovative experiments take place, and thus attempted to fill this gap by tracking the energy landscape that varies differently from space. These spatial discussions can track different carbon emissions coefficients and industrial characteristics for each country, and have a higher level of explanatory power for the system thus constructed. In addition, through discussions on the problems and implications of the government-led introduction of renewable energy policies,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to create and implement a field-oriented system.

본 연구는 태양광 모듈 탄소인증제를 중심으로 에너지경관의 변동에 주목했다. 세계 태양광시장이 중국 기업 중심으로 재편됨에 따라, 정부는 태양광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추진했다. 그러나 정부 주도로 구성된 제도는 에너지경관의 역동적인 변화를 담지 못하는 한계가 존재했다. 이를 배경으로, 다층적 관점(multi-level perspective)의 "거시환경-사회기술체제-틈새"로 이어지는 층위를 탐색해 사회기술체제로서 정부와 국내 태양광 기업이 세계시장 변화에 대응하는 과정을 추적했다. 각 층위의 변화 속도와 혁신적 실험이 일어나는 틈새에 대해 주목했던 다층적 관점의 개념적 논의에 문제를 제기하며, 공간에 따라 차별적으로 변동하는 에너지경관을 추적해 이러한 간극을 메우고자 했다. 이러한 공간적 논의는 각 국가별로 상이한 탄소배출계수, 산업 특성 등을 추적해, 구성된 제도에 대해 보다 높은 설명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정부 주도의 재생에너지 정책 도입의 문제점과 함의에 대한 토론을 통해, 보다 현장 중심적인 제도의 형성과 이행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재정, 2016, "사회기술시스템 관점에서 유용한 기술의 수용과 확산 - 전기자동차를 중심으로-," 산경논집, 37, pp.23-52.
  2.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사회혁신팀, 2014, 지속가능한 사회.기술시스템으로의 전환: 이론과 실천방법론.
  3. 권순범, 2015, "태양광산업에서 에스에너지의 비즈니스모델 진화과정: JCPenney 백화점 사례를 중심으로," Korea Business Review, pp.75-104. https://doi.org/10.17287/kbr.2019.23.4.75
  4. 김보원.김광민, 2016, 충북지역 태양광 산업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 -선진국 사례와 시스템 다이나믹스 분석-, 2016-03 한국은행 충북본부.
  5. 김봉균.문선우, 2012, "전략적 니치관리(SNM)를 활용한 정부 신재생 R&D 성장과정 분석,"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20(2), pp.161-187.
  6. 박경환.권상철.이재열 옮김, 2021, 경제지리학개론, 서울: 사회평론아카데미(=MacKinnon D. and Cumbers, A., 2019, An Introduction to Economic Geography: Globalisation, Uneven Development and Place, London: Routledge)
  7.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2014, 대외무역관리규정, 2014년 11월 21일 최초 제정.
  8. 안희민, 2019, 태양광 산업 진흥을 위한 탄소인증제 추진 최신 동향 분석, 국내IP 환경동향보고, 환경부.한국환경산업기술원.
  9. 여형범, 2016, "지역에너지 전환과 충남의 에너지정책 방향," 충남리포트, 210, pp.1-13.
  10. 윤순진.김소연.정민지, 2011, "한국과 일본 원자력 사회기술체제 발전 경로의 유사성과 상이성: 관성과 역돌출부에 대한 대응을 중심으로," ≪ECO≫, 15(2), pp.147-195.
  11. 윤순진.심혜영, 2015, "에너지전환을 위한 전략적틈새로서 시민햇빛발전협동조합의 가능성과제도적 한계," 공간과사회, 51, pp.140-178.
  12. 이경기.김덕준, 2011, "Development Strategy of the Solar Photovoltaic Industry in Chungbuk Special Zone," 2011 아시아 5개국 국제학술세미나 자료집, pp.174-207.
  13. 이근, 2014, 「경제추격론의 재창조: 기업.산업.국가 차원의 이론과 실증」, 서울: 오래.
  14. 이보아, 2018, "에너지 전환의 지리에 아상블라주 사유 더하기,"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1(1), pp.93-106.
  15. 이영석.김병근, 2014, "사회-기술 전환이론 비교 연구 -전환정책 설계와 운영을 위한 통합적 접근-," 한국정책학회보, 23(4), pp.179-210.
  16. 이재열.장근용, 2020, "지역산업 경로창출의 장소의존성: 태양광산업 선도기업의 충청북도 솔라밸리 입지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지리학회지, 9(1), pp.157-175.
  17. 산업통상자원부, 2019, 태양광.풍력산업 생태계 강화로 3020 추진동력 확보, 2020년 4월 4일자 보도자료.
  18. 산업통상자원부, 2020a, (설명자료)국내에서 판매.설치되고 있는 태양광 모듈은 관련 규정에 따라 적법하게 원산지를 표시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으며, 국내 태양광 모듈 점유율 통계는 일관된 방식으로 작성 가능한 최종 제조국 기준으로 작성중임(문화일보 10.14일자 보도에 대한 설명), https://motie.go.kr/motie/gov3.0/gov_openinfo/sajun/bbs/bbsView.do?bbs_seq_n=163404&bbs_cd_n=81, 2020년 10월 15일자.
  19. 산업통상자원부, 2020b, 온실가스 감축 위한 태양광 탄소인증제 시행, https://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402030, 2020년 7월 21일자 보도자료.
  20. 산업통상자원부, 2020c, 친환경 재생에너지 제품 확대를 위한 태양광 모듈 탄소인증제 본격 시동, https://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377549, 2020년 2월 27일.
  21. 산업통상자원부, 2020d, 태양광 모듈 탄소인증제도 공청회 공고, http://www.motie.go.kr/motie/in/ay/policynotify/announce/bbs/bbsView.do?bbs_seq_n=65971&bbs_cd_n=6, 2020년 4월 13일자.
  22. 산업통상자원부, 2020e, "2019년 기준 국내 태양광 시장 국산 모듈 점유율 78.7%로 국내 시장 주도 중," https://www.korea.kr/news/actuallyView.do?newsId=1488692442020년 2월 17일자.
  23. 상민경.한성애.박선효, 2019, "재생에너지 탄소인증제도의 개발 방향성에 관한 연구: 국제무역규범 및 환경라벨링 관련 무역분쟁사례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39(6), pp.1-13. https://doi.org/10.7836/kses.2019.39.6.001
  24. 송성수, 2002, "사회구성주의의 재검토: 기술사와의 논쟁을 중심으로," 과학기술학연구, 2(2), pp.55-89.
  25. 송위진, 2002, "혁신체제론의 과학기술정책: 기본 관점과 주요 과제," 기술혁신학회지, 5(1), pp.1-15.
  26. 송위진.성지은, 2014, "시스템 전환론의 관점에서 본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의 발전 방향," 기술혁신연구, 22(4), pp.89-116. https://doi.org/10.14383/SIME.2014.22.4.89
  27. 통계청, 2021, 지역별 신.재생에너지 발전량(비재생폐기물제외, 2019년 4/4분기~),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337&tblId=TX_33701_A005, 2021년 10월 9일 최종 열람.
  28.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15, 충북 태양광산업 현황 및 발전방안, 2015 정보분석보고서.
  29. 한국무역협회, 2020, 한국무역협회 국내통계 품목수출입, https://stat.kita.net/stat/kts/pum/ItemImpExpList.screen, 2021년 4월 15일 최종열람.
  30.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2021a, 고정가격계약 입찰 제도, https://www.knrec.or.kr/m/business/rps_bidding.aspx, 2021년 7월 1일 최종열람.
  31.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2021b, 탄소배출량 검증, https://www.knrec.or.kr/m/business/sunlight_carbon.aspx, 2021년 2월 26일 기준.
  32.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2021c, 태양광모듈 탄소배출량 산정 및 검증지침, 2021년 1월 25일 공고.
  33.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2021d, 2021년 1/4분기 신.재생에너지 신규 보급용량 안내, https://www.knrec.or.kr/pds/statistics_read.aspx?no=104&searchfield=&searchword=&page=1, 2021년 5월 28일 최종열람.
  34. 한재각, 2010, 왜 에너지 전환의 '과정'에 주목해야 하는가: 사회기술 시스템과 전환 이론의 함의, 제14호,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35. 한재각, 2017, 에너지전환에서 에너지협동조합의 전략과 역할, 「Enerzine Focus」, 제79호,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http://enerpol.net/epbrd/bbs/board.php?bo_table=bbs15&wr_id=4149
  36. 한재각, 2018, "에너지전환의 개념 분석과 한국 에너지정책을 위한 시사점," Energy Focus, 15(3), pp.72-98.
  37. 홍덕화, 2019, 「한국 원자력발전 사회기술체제: 기술, 제도, 사회운동의 공동구성」, 서울: 한울.
  38. 홍덕화, 2020, "동북아 수퍼그리드와 에너지전환의 경로," 공간과사회, 30(1), pp.247-282.
  39. Amin, A. and Thrift, N., 1994, "'Living in the global', in Amin, A. and Thrift, N. (eds), Globalisation, institutions, and regional development in Europe,"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pp.1-22.
  40. Ball, J., Reicher, D., Sun, X. and Pollock, C., 2017, The New Solar System: China's Evolving Solar Industry and Its Implications for Competitive Solar Power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World, Steyer-Taylor Center for Energy Policy and Finance.
  41. Bernreuter Research, 2019, SOLAR VALUE CHAIN How China has become dominant in all production steps for solar panels, https://www.bernreuter.com/solar-industry/value-chain/, 2021년 4월 30일 최종 열람.
  42. Bridge, G., Bouzarovski, S., Bradshaw, M. and Eyre, N, 2013, "Geographies of energy transition: Space, Place and the low-carbon economy," Energy Policy. 53, pp.331-340. https://doi.org/10.1016/j.enpol.2012.10.066
  43. Creswell, J. and Poth, C., 2018,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transitions, CA: SAGE.
  44. Devine-Wright, P., 2007, "Energy citizenship: Psychological aspects of evolution in sustainable energy technologies, In J. Murphy(eds.), Framing the present, Shaping the future: Contemporary Governance of Sustainable Technologies," Earthscan, pp.63-86.
  45. Geels, F.W., 2002, "Technological transitions as evolutionary reconfiguration processes: a multi-level perspective and a case-study," Research Policy, 31, 1257-1274. https://doi.org/10.1016/S0048-7333(02)00062-8
  46. Geels, F.W., 2004, "From sectoral systems of innovation to socio-technical systems: Insights about dynamics and change from sociology and institutional theory," Research Policy, 33(6-7), 897-920. https://doi.org/10.1016/j.respol.2004.01.015
  47. Geels, F.W., 2011, "The multi-level perspective on sustainability transitions: Responses to seven criticisms," Environmental Innovation and Societal Transitions, 24-40.
  48. Geels, F.W., 2019, "Socio-technical transitions to sustainability: a review of criticisms and elaborations of the multi-level perspective,"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39, 187-201.
  49. Geels, F. W. and Schot, J., 2007, "Typology of sociotechnical transition pathways," Research Policy, 36(3), 399-417. https://doi.org/10.1016/j.respol.2007.01.003
  50. Geels, F. W. and Schot, J., 2010, Conceptual Framework for Analyzing Transition, in Grin. et al., ed., Transition to Sustainable Development: New Directions in the Study of Long Term Transformative Change, New York: Routledge.
  51. IRENA, 2016, End of life management: Solar photovoltaic panels, https://www.irena.org/-/media/Files/IRENA/Agency/Publication/2016/IRENA_IEAPVPS_End-of-Life_Solar_PV_Panels_2016.pdf.
  52. Massey, D., 1984, Spatial Divisions of Labour: Social Structures and the Geography of Production, London: Macmillan.
  53. Miller, C., Iles, A. and Jones, C., 2013. "The Social Dimensions of Energy Transitions," Science as Culture, 22(2), pp.135-148. https://doi.org/10.1080/09505431.2013.786989
  54. Pike, A., 2015, Origination: The geographies of brands and branding, Oxford: Wiley-Blackwell.
  55. Ruming, K., 2009, "Following the actors: mobilising an actor-network theory methodology in geography," Australian Geographer, 40(4), pp.451-469. https://doi.org/10.1080/00049180903312653
  56. Schot J., 1998, "The usefulness of evolutionary models for explaining innovation. The case of the Netherlands in the nineteenth century," History and Technology, 14, pp.173-200. https://doi.org/10.1080/07341519808581928
  57. 그린데일리, 2010, "외산 재료 써도 美서 생산하면 미국산," http://www.green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9014, 2010년 10월 7일자.
  58. 동아일보, 2020, "[단독]中 저가공세에 꺼져가는 태양광... 대기업마저 셀 사업 철수 검토,"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00701/101760884/1, 2020년 7월 1일자.
  59. 머니투데이방송, 2021, "매각설까지 돌았던 LG 태양광, 친환경 훈풍에 시장 정조준," https://news.mtn.co.kr/newscenter/news_viewer.mtn?gidx=2021060414174388508, 2021년 6월 4일자.
  60. 아이뉴스24, 2021, "태양광 잘 나가는데...모듈의 70% 이상이 중국산?," http://www.inews24.com/view/1367201, 2021년 5월 14일자.
  61. 아시아경제, 2021, "강제노역 논란 中신장서 세계 폴리실리콘 절반 공급...태양광 어쩌나," https://view.asiae.co.kr/article/2021041208573148741, 2021년 4월 12일자.
  62. 아주경제, 2020, "태양광 탄소인증제 시작됐지만...업계 '빈익빈 부익부' 우려," https://www.ajunews.com/view/20200722145527044. 2020년 7월 23일자.
  63. 에너지경제신문, 2021, ""태양광 설비 탄소인증제도 좋지만 중국산 모듈 국내시장 잠식 가속 위협"," https://www.ekn.kr/web/view.php?key=20210419010003737, 2021년 4월 19일자.
  64. 이투뉴스, 2021a, "탄소인증제, 태양광모듈 가격만 높였다," https://www.e2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29599, 2021년 1월 18일자.
  65. 이투뉴스, 2021b, "[탐방]불량율0.3%미만...연700MW 고출력 모듈 생산," http://www.e2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31973, 2021년 5월 4일자.
  66. 인사이트코리아, 2021, "'클린룸' 잘나가는 신성이엔지, 올해는 '태양광'으로 빛 볼까," http://www.insight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87915, 2021년 4월 14일자.
  67. 전자신문, 2014, "EU, 한국산 태양광 모듈 주의보 발령," https://www.etnews.com/20140915000389, 2014년 9월 15일자.
  68. 전기신문, 2021a, "중소 모듈 업계, 탄소인증 1등급 시장에서 '숨통' 트이나," https://electimes.com/article.php?aid=1630559424222203097, 2021년 9월 2일자.
  69. 전기신문, 2021b, "탄소인증제, 모듈 면적 키우는 세계 시장 추세에 '역행'," http://www.electimes.com/article.php?aid=1623032189218384097, 2021년 6월 7일자.
  70. 전기신문, 2021c, 태양광산업협회 "도 넘은 태양광 산업 흠집내기 중단하라," http://www.electimes.com/article.php?aid=1611194032211377097, 2021년 1월 21일자.
  71. 전기신문, 2021d, "'1등급 웨이퍼' 공급 부족해... 쓰고 싶어도 못 쓴다," http://www.electimes.com/article.php?aid=1623844853218876097, 2021년 6월 16일자.
  72. 조선비즈. 2020, "BMW.애플, 부품社에 "100% 재생에너지만 써라"... 구글은 "원전도 무탄소 에너지","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7/07/2020070702766.html, 2020년 7월 7일자.
  73. 투데이에너지, 2020, "RPS 탄소인증제, 기회균등 원칙 위배," http://www.todayenergy.kr/news/articleView.html?idxno=231434, 2020년 12월 1일자.
  74. 한국경제, 2020, "코로나發 '셧다운' 지속...현대차 공장 또 스톱, 기아차도 휴업 연장,"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002184661i, 2020년 2월 18일자.
  75. 한국세정신문, 2020, "'무늬만 국산?' 태양광 모듈...관세청, 전수조사해야," https://www.taxtimes.co.kr/mobile/article.html?no=246726, 2020년 10월 14일자.
  76. 한무경의원실, 2021, "2020년 국내 보급된 태양광 모듈 중국산은 22.12%에 불과!" 2021년5월 14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