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这项研究得到2020年台湾联谊会的支持。作者感谢「二◯二◯年台湾同胞计划」的资助与资助。
References
- 蔡东杰. (2015). 图解: 两岸关系. 台北: 五南出版社.
- 赵建民主编. (2016). 大陆研究与两岸关系. 台北: 晶典出版社.
- 张五岳主编. (2014). 两岸关系研究. 台北: 新文京开发出版社.
- 赵可金. (2017). 大国方略一带一路在行动. 北京: 人民出版社.
- 黄忠.唐小松. (2016). 中国对韩公共外交评析. 现代国际关系, 3.
- 朴锺锦. (2012). 韩国人对华负面认知与中国对韩公共外交途径. 当代韩国, 3.
- 张胜军. (2017). 民间外交的内涵与特征以新中国的基本经验为考察. 当代 世界.
- 孙存良.李 宁. (2015). 一带一路人文交流:重大意义, 实践路径和建构机制. 国际援助, 2.
- 周长焕. (2020). 对于中国政治的文化论接近: 文化代码与政治倾向, A&A. 4(2).
- 中国商务部, http://www.mofcom.gov.cn/article/swfg/swfgbl/201101/20110107352176.shtml: 检索日期 2020.06.30.
- 韩国联合日报新闻报道, https://www.yna.co.kr/view/AKR20170123169300014: 检索日期2020.06.30.
- ASAN 政策硏究所. http://www.asaninst.org/contents: 检索日期 2020.05.30.
- 台湾国立政治大学选擧硏究中心, https://esc.nccu.edu.tw/course/news.php?class=203: 检索日期 2020.07.03.
- Nye, Joseph S. (2004). Soft power: The Means to Success in World Politics, New York: Public Affairs.
- Nye, Joseph S. (2008). "Public Diplomacy and Soft Power.", Annals of The American Academy, 616.
- Wang, Yiwei. (2008). "Public Diplomacy and the Rise of Chinese Soft Power.", The Annals of the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616(1).
- 김병호. (2020). 공공외교의 이해. 서울: 명인문화사.
- 김수한. (2013). 한,중 교류의 새로운 방식: 인문유대와 도시 간 국제협력. 한중사회과학연구, 29: 255-277.
- 김수한. (2018). 사드 이후 한중 지방정부 협력 강화를 위한 제언. 인천연구원.
- 김수한. (2020). 양안관계에 대한 대만시민의 인식 변화. KCI BRIEF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6.
- 문흥호. (2020). 차이잉원의 재집권과 양안관계. 중소연구, 44(2): 145-175. https://doi.org/10.21196/APRC.44.2.202008.005
- 백우열.함명식. (2017). 중국의 대한국 공공외교 성과와 한계 분석: 시진핑 집권 시기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51(5): 135-159.
- 서진영. (2008). 21세기중국정치. 서울: Politelia.
- 신상진. (2019). 시진핑 신시대 중국의 대만정책과 양안관계의 변화: '평화발전'에서 '평화통일'로의 이행. 중소연구, 43(3): 47-80. https://doi.org/10.21196/APRC.43.3.201911.002
- 안지영. (2020). 중국 공공외교 전략과 수행방식 변화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20(7): 169-184. https://doi.org/10.5392/JKCA.2020.20.07.169
- 윤석준. (2020). 공공외교의 이해. 서울: 한울출판사.
- 이교덕. (2012). 중국의 대한국 통일 공공외교 실태. 통일연구원.
- 이문기. (2014). 중국 민족주의의 세 가지 특성과 국가 정체성: 역사적 제도주의 시각에서. 국제정치논총, 54(3): 177-209.
- 이장원. (2011). 중국의 공공외교: 배경, 목표, 전략. 동서연구, 23(2)
- 장호준.김수한. (2016). 한중 인문유대와 지방도시간 인문교류. 중국과 중국학, 27: 53-84.
- 정재호. (2019). 개혁기 중국의 대외관계(1980-2017): 변화와 계속성에 하여. 서울: 한울출판사.
- 주장환.유은하.김수한.조형진. (2018). 동북아 안보구조의 변화와 중국한반도 관계: 시나리오 분석 및 한국의 대응방안. 대외경제정책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