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액티브 시니어의 체험 마케팅을 통한 브랜드 가치지각이 태도 형성 및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 몰입 정도에 따른 비교를 중심으로 -

The impact on the value perception of brand by experiential marketing to the attitude forma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on active seniors - Comparing of the level of commitment -

  • Lee, Sang In (Dept. of Clothing, Sangmyung University) ;
  • Yu, Jihun (Dept. of Clothing, Sangmyung University)
  • 투고 : 2021.06.16
  • 심사 : 2021.09.29
  • 발행 : 2021.12.30

초록

This study was examined whether the experiential marketing factors proposed by Bernd Schmitt were applicable to the consumer behavior of active seniors. The study was analyzed the influence of SEMs have on value perception of brand and attitude formation as well as the behavioral intentions of active senior consumers and whether this effect differed between the level of commitment. For empir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EFA, reliability, CFA, SEM, and multiple-group comparis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showed that sense and feel factor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value perception of brand, while think factor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value perception of brand. Act factor did not affect the value perception of brand; on the other hand, relate facto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value perception of brand. The resul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lso revealed that the value perception of brand had a positive influence on attitude forma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The result of multiple-group comparison analysis confirmed that the influence of act factor on value perception of brand differed according to the level of commitment, but the positive influence of act factor on value perception of brand was limited to the high-level of commitment group. As a result of the influence relate factor had on the value perception of brand, differences existed between the two groups, and the low-level of commitment group had a greater influence than the high-level of commitment group. So it will be effective for active senior consumers to form fashion communities and let them participate in to enhance positive consumer behavior toward fashion brands.

키워드

참고문헌

  1. 가진. (2012). 패션상품 온라인 쇼핑몰 속성기반의 체험마케팅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갈정현. (2014). 뉴시니어 소비자의 패션정보원 및 점포선택행동, 불평행동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강희엽. (2019). 액티브 시니어의 여가유능감, 퉁합력 및 건강증진행동의 관계분석 = 건강생성 이론을 바탕으로. 힌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3(1), 11-23.
  4. 고민환, 김미영, 이충기. (2019). 대학교육서비스 품질이 교육서비스 가치, 학생태도 및 학생행동에 미치는 영향: VAB모델을 중심으로. 관광레져연구, 31(9), 445-461.
  5. 권준희. (2005). 패션 온라인 커뮤니티 특성이 커뮤니티 몰입과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국현. (2015). 오프라인의 귀환 - 옴니채널과 O2O의 세계. 서울: 페이지블루.
  7. 김다솜, 김원택, 박현우. (2014). 액티브시니어를 위한 미래 커뮤니티 제안 - 가상현실 공간을 중심으로 -. 한국디자인포럼, 44, 451-461.
  8. 김상미. (2012). 백화점 색조화장품 매장에서의 체험마케팅이 소비자와 브랜드 관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상현. (2003). 고령화시대 기업의 역할과 실버마케팅 전략. 마케팅, 37(7), 54-60.
  10. 김슬아, 홍금희. (2011). 블로그 몰입이 패션제품 구매행동과 정보 재생산 활동에 미치는 영향: 블로그 특성과 소비자 정보 다양성 추구를 중심으로 -. 한국의류학회지, 35(9), 1028-1038. https://doi.org/10.5850/JKSCT.2011.35.9.1028
  11. 김은영, 성열홍. (2019). 챗봇 체험마케팅이 챗봇 태도와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Bernd Schmitt의 체험 요소를 중심으로 -.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58, 299-308.
  12. 김재욱, 최지호, 한계숙. (2002). 온라인 커뮤니티 마케팅 활동과 친커뮤니티 행동간의 관계에 있어서 몰입의 매개효과. 마케팅연구, 17(4), 77-98.
  13. 김정실, 이선재. (2008). 뉴실버 여성소비자의 지 각연령과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의복 구매행동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2(10), 1535-1547. https://doi.org/10.5850/JKSCT.2008.32.10.1535
  14. 김정실. (2008a). 고령화 사회의 뉴 실버세대 특성에 따른 마케팅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포럼, 18, 273-288.
  15. 김정희. (2014). 대형 쇼핑센터 내 패션브랜드 매장 내.외부에서의 소비자 체험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김지수. (2008). 패션 커뮤니티의 태도적 몰입과 고객행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김지은. (2016). 액티브 시니어 나성을 위한 아웃도어 웨어 개발: 55~69세 남성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김진경. (2019). 가치-태도-행동(VAB)모델을 적용한 모바일 호텔 예약(MHR) 사용자의 행동의 도: 채널 신뢰의 조절효과. 호텔관광연구, 21(3), 113-129.
  19. 김충환, 정연승. (2018). 체험마케팅이 만족도, 충성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해양레져산업의 사용자집단별 차이를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 31(3), 603-624.
  20. 김희. (2002). 소비자 체험의 유형을 이용한 기업의 브랜드 전략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나혜진. (2010). 주얼리 매장의 VMD구성요소가 브랜드태도 형성과정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류강석, 장정민, 이형권. (2004). 기업의 고객관계 관리 프로그램이 고객의 추천행동에 미치는 영향: 고객-브랜드 관계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소비자학연구, 15(3), 87-109.
  23. 메이비잉. (2016). 중국 백화점의 물리적 환경이 소비자의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가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민경범. (2017). 스포츠브랜드 체험마케팅이 제품 디자인 속성과 소비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박수정. (2011). 지각된 경험 가치가 감정, 기억, 태도 그리고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온라인 쇼핑몰과 소셜커머스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박영봉, 김기일. (1998). 노인소비자의 정보원천에 관한 연구 - 젊은소비자와 비교를 중심으로 -. 마케팅과학연구, 1, 191-218.
  27. 박유나, 김칠순. (2017). 패션관심도와 취향에 따른 패션 큐레이션 서비스 태도 및 패션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20~30대 큐레이션 서비스 경험자를 중심으로 -. 기초조형학연구, 18(1), 173-188.
  28. 박은주, 강은미. (2005). 실버패션마켓의 의복충동 구매행동 관련 변수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3(6), 871-882.
  29. 박지영. (2009). Active senior을 위한 복합 Community center에 대한 계획안.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박춘우. (2015). 골프장 브랜드 글로벌성이 지각가치와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및 글로벌 소비자 문화 수용성의 조절효과.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배병렬. (2014). Amos 21 구조방정식모델링 - 원리와 실제. 서울: 도서출판 청람.
  32. 백승현, 채훈화. (2019). 무용학원 지도자의 의사소통능력에 따른 참여자의 행동체계 연구 : 참여자의 가치-태도-행동(VAB) 체계를 중심으로.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7(3), 87-104.
  33. 백시연, 장정아. (2015). 액티브시니어 남성의 캐주얼 재킷 착의실태 및 선호도 조사 - 부산지역 50~60대 남성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1(1), 253-265.
  34. 백지희. (2012). 유통채널 유형별 체험요소가 매장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 미국 모바일 폰 유통채널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5. 선외. (2014). 체험마케팅이 브랜드자산과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한국과 중국 소비자 비교를 중심으로 -. 배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설도원. (2001). 대형 할인점 고객의 가치지각과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성경은, 이돈태. (2016). 시니어의 활동성 증진을 위한 근 미래형 보행기 미래 시나리오 연구 - 한국 베이비붐 세대의 여성 액티브 시니어를 중심으로 -. 기초조형학연구, 17(1), 295-306.
  38. 성영신, 한민경, 박은아. (2004). 브랜드 성격이 브랜드 애착에 미치는 영향: 커뮤니티 몰입도에 따른 차이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5(3), 15-34.
  39. 시니어 시장. (n.d.). 매일경제. 자료검색일 2021. 4. 5, 자료출처https://www.mk.co.kr/dic/desc.php?keyword=%BD%C3%B4%CF%BE%EE&page=0&so=all&from=&to=
  40. 신상무, 김도훈. (2010). 체험마케팅이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브랜드 홍보대사를 중심으로 -. 한국의류학회지, 34(2), 242-251. https://doi.org/10.5850/JKSCT.2010.34.2.242
  41. 신혜봉. (2002). 실버패션마켓에서의 고객과 판매원의 관계에 관한 연구: 중상층 노년여성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2. 심수연. (2007). 전통적 마케팅과 체험 마케팅이 브랜드 로열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비교 연구: 던킨도너츠와 스타벅스 브랜드를 중심으로 -.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안길상. (2002). 고객가치 : 개념, 구성요소 및 창출전략. 산업과경영, 14(2), 239-267.
  44. 안성숙, 양수진. (2018). 가치-태도-행동 모델에 기반한 공유숙박에 대한 소비자행동의 이해. 소비문화연구, 21(2), 97-119.
  45. 안진환. (2021). 액티브 시니어 당구 참여가 여가 만족 및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6. 유지원. (2014). 패션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위한 체험마케팅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7. 윤설민, 윤선정. (2015). 메가 이벤트에 대한 방문 객의 가치 인식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가치-태도-행동(VAB)체계의 적용을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29(12), 19-32.
  48. 윤설민, 이충기. (2018). 체험마케팅의 개별적 체험과 공유적 체험을 활용한 고궁 방문객에 대한 확장된 가치-태도-행동 체계 분석. 관광연구, 33(7), 83-100.
  49. 윤성중. (2012). 인터넷쇼핑몰 가상체험마케팅 요소에 관한 연구(Schmitt 체험마케팅 요소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0(9), 151-158. https://doi.org/10.14400/JDPM.2012.10.9.151
  50. 윤원규, 이아름, 이진화. (2017). 실버 소비자와 액티브 실버 소비자의 쇼핑성향과 점포서비스품질 비교 평가.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7(4), 157-172.
  51. 이승재, 박명호. (2011). 브랜드체험이 소비자-브랜드 관계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논집, 19(2), 21-39.
  52. 이요. (2014). 고객체험이 고객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고객특성 및 브랜드 이미지의 조절효과.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3. 이은엽. (2004). 체험 마케팅이 브랜드 로열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제품 유형에 따른 차이 비교.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4. 이정민. (2011). 화장품 체험마케팅이 브랜드 만족, 애착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5. 이지효, 나진억, 김치호. (2021). 비대면 패션.뷰티 공연의 체험요인이 지각된 가치를 매개로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9(5), 383-395. https://doi.org/10.14400/JDC.2021.19.5.383
  56. 이학식, 최재익, 임지훈. (2004). 소비자 구매행동에 대한 브랜드의 태도: 토론에 대한 대응 토론. 소비자학연구, 15(2), 117-123.
  57. 이항, 김준환. (2010). 대학의 온라인 커뮤니티 특성이 커뮤니티 몰입과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비즈니스연구, 11(4), 165-185.
  58. 전우정, 문용원, 최정환. (2017). 시니어 마케팅의힘 - 저성장 시대를 이기는 새로운 기회. 서울: 유아이북스.
  59. 전호경, 황선진. (2001). 패션점포 판매원의 의복과 점포유형이 노년여성소비자들의 호감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5(2), 293-302.
  60. 진의토, 박현정. (2019). 오프라인 매장의 체험특성과 환경특성이 지각된 가치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7(5), 167-178. https://doi.org/10.14400/JDC.2019.17.5.167
  61. 최미선, 오민재. (2019). 생태관광객의 지각된 가치, 태도, 생태관광 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 VAB모형의 적용. 관광연구저널, 33(1), 157-171.
  62. 최은미. (2004).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 특성이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 충성도 및 브랜드 개성과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3. 페페. (2017). 숙박업의 공유경제에 대한 지각된 가치 및 관여도가 공유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4. 편해수. (1999). 소매점의 서비스 유형이 소비자의 쇼핑가치지각과 쇼핑만족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5. 하유진, 이정교. (2020). 5가지 체험요소 기반 의 오프라인 매장 브랜딩 연구 - 번 슈미트 의 체험마케팅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15(8), 511-523. https://doi.org/10.35216/KISD.2020.15.8.511
  66. 한아영. (2015). 크로스미디어 광고와 패션 제품 유형, SNS매체 몰입도가 패션 제품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7. 허주연. (2006). 매장에서의 감각체험이 소비자 감정적 반응, 매장태도, 브랜드태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8. 화순자. (2016). 인터넷 패션소비자의 지각된 서비스품질 및 쇼핑가치가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 북경지역 20대~40대 여성 소비자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9. 황윤성, 서용모. (2017). 가치-태도-행동모델(VAB)을 활용한 친환경 소비자의 환경교육의 조절효과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8(7), 273-282. https://doi.org/10.15207/JKCS.2017.8.7.273
  70. 황진숙. (1998). 남녀노년층의 의복태도, 의복행동, 쇼핑에 인구통계학적 특성이 미치는 영향 연구. 복식, 37, 5-15.
  71. Bernd H. S.(1999). Experiential marketing - How to get customers to sense, feel, think, act, relate to your company and brands. New York: The Free Press.
  72. Bernd. H. S. (2013). 번 슈미트의 체험 마케팅 - 감각, 감성, 인지, 행동, 관계 모듈을 활용한 총체적 체험의 창출(윤경구, 금은영, 신원학 역). 서울: 김앤김 북스.
  73. James, R. B. (1979). Memory factors in consumer choice : A review. Journal of Marketing, 43(2), 37-53. https://doi.org/10.2307/1250740
  74. Joseph, P. B., & James, H. G. (2001). 고객 체험의 경제학(신현승 역). 서울: 세종북스.
  75. Pamela, M. H., & Lynn, R. K. (1988). A structural equation test of the Value-Attitude-Behavior hierarch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4), 638-646. https://doi.org/10.1037//0022-3514.54.4.638
  76. Robert, M. M., & Shelby, D. H. (1994). The commitment-trust theory of relationship marketing. Journal of Marketing, 58(3), 20-38. https://doi.org/10.2307/1252308
  77. Sakamoto, S. (2017). 2020 시니어 트렌드(김정환 역). 서울: 한스미디어.
  78. Sekijawa, H., Sakamoto, S., Owch, E., Yamamoto, D., Inoue, S. (2009). 거대시장 시니어의 탄생(김유경 역).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