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Fog' Generation Experiment Presented in the 2009 and 2015 Revisio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2009 개정 및 2015 개정 초등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안개 발생 실험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의 이해

  • Received : 2021.11.29
  • Accepted : 2021.12.23
  • Published : 2021.12.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understanding of pre-service teachers in relation to the 'fog experiment' in the 5th grade 'Weather and Our Daily Life' unit of the 2009 and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Pre-servic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100 students, who are attending the university of education and taking courses in teaching research. After pre-learning about the 2009 and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and guide book, pre-service teachers conducted the experiment in groups. After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individually presented answers to three questions, a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answer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24 (24%) preservice teachers who explained the difference in fog generation in the 2009 and 2015 revised curriculum with related scientific concepts such as condensation and water vapor, and only 1 (1%) of them explained the difference using the concept of saturation. Second, there were 48 (48%) pre-service teachers who found out the reason for the change in the fog experiment method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curriculum. Third, pre-service teachers valued the reproduction and success of experiments rather than the importance of scientific knowledge, and such pre-service teachers suggested the use of alternative experiments or website.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및 2015 개정 초등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5학년 '날씨와 우리생활' 단원의 탐구 중 '안개 실험'과 관련하여 예비교사들의 이해를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은 교육대학교 학생 100명으로 초등과학교재연구 강의에 참여한 학생들이다. 예비교사들은 두 교육과정에 대해 사전학습 후, 실험을 비교수행하고 논의하는 자율적인 교재연구를 하였다. 그 후 예비교사들이 개별적으로 답한 결과와 과제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9 개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안개 발생 차이를 응결, 수증기 등의 관련 과학적 개념으로 설명한 예비교사는 24명(24%)이었고 그중 1명(1%)만이 포화개념을 이용하여 설명하고 있었다. 둘째, 교육과정 변화에 따른 안개실험 방법의 변화에 대해 그 이유를 알아낸 예비교사들은 48명(48%)이었다. 셋째, 예비교사들은 과학적 지식의 중요성보다는 실험의 재현과 성공을 중요시하였으며, 그런 예비교사들은 대체실험이나 동영상 자료 활용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고미례, 남정희, 임재항(2009). 신임 과학교사의 교과교육학 지식 (PCK) 의 발달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1), 54-67.
  2. 곽영순(2009). 교실 수업에서 초임 과학교사의 교과내용 지식이 내용교수지식에 주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29(6), 611-625.
  3. 교육부(2015a). 초등학교 5~6학년군: 과학 5-2. 서울: 미래엔.
  4. 교육부(2015b). 초등학교 5~6학년군: 과학 교사용지도서 5-2. 서울: 미래엔.
  5. 교육부(2019a). 초등학교 5~6학년군: 과학 5-2. 서울: 비상교육.
  6. 교육부(2019b). 초등학교 5~6학년군: 과학 교사용지도서 5-2. 서울: 비상교육.
  7. 김영민, 문지선, 박정숙, 임길선(2010). 과학교사양성과정에 대한 심층면담을 통한 경력과학교사들과 초임과 학교사들의 인식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8), 1002-1016. https://doi.org/10.14697/JKASE.2010.30.8.1002
  8. 김진범(2003). 물의 순환에 대한 초등학생의 선개념과 개념 변화에 대한 연구. 춘천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김한제, 정용재, 장명덕(2013). '어는점 내림'에 대한 초등예비교사들의 인식 조사 및 설명 모형 제안. 초등과학교육, 32(2), 206-224.
  10. 나지연, 문재원(2020). 초등 교사는 왜 그 사이트에서 과학수업자료를 찾는가?-과학 교수.학습 자료 지원 웹 사이트를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39(1), 69-83.
  11. 노태희, 윤지현, 김지영, 임희준(2010). 초등 예비 교사들이 과학 수업 시연 계획 및 실행에서 고려하는 교과교육학지식 요소. 초등과학교육, 29(3), 350-363.
  12. 민희정, 박철용, 백성혜(2010). 교수 실제를 통한 초임 과학교사의 PCK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4), 437-451. https://doi.org/10.14697/JKASE.2010.30.4.437
  13. 배태수, 최병순(1991). 원자/분자에 관한 중등학교 학생과 과학교사의 오인 분석. 화학교육, 14(2), 116-127.
  14. 백성혜, 조미정(2005). 대기 중의 수증기량이 증발과 끓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등학생과 화학 전공 교사들의 인식 조사 및 관련 교과서 내용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7), 775-782.
  15. 성승민, 이규호, 여상인(2016). "화석 모형 만들기" 탐구활동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분석-6차, 7차, 2007 개정, 2009 개정 초등과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35(2), 229-242.
  16. 신지영(2017). 날씨 현상에 관한 논증 수업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 개념의 특징.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양기창, 백성혜(2008). 대기 중의 증발 현상에 대한 중등학교 화학전공 교사들의 개념 변화 과정에 대한 연구. 대한화학회지, 52(1), 88-93.
  18. 여상인(2001).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증발과 응결 현상에 대한 이해. 과학교육논총, 13, 209-224.
  19. 윤혜경(2015). 학생의 과학 개념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의 교육적 추론. 초등과학교육, 34(1), 58-71.
  20. 이기영(2013). 과학 교사의 교과내용학지식과 교과교육학지식의 연관성 분석: 지구과학 교사의 대기압 수업 사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6), 1219-1236.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6.1219
  21. 이송연, 김성혜, 백성혜(2010). 묽은 용액의 성질에 대한 화학전공 예비교사들의 이해 및 화학교사 양성교육에 대한 인식 사례 연구. 대한화학회지, 54(6), 787-798. https://doi.org/10.5012/JKCS.2010.54.6.787
  22. 이신애, 임희준(2016). 수업준비와 전문성 함양을 위한 초등학교 과학 교사용 지도서 활용 실태-2009 개정 과학과 3-4학년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35, 205-215.
  23. 최성희, 권치순(2005).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과 대기와 날씨에 관한 내용 분석. 초등과학교육, 25(1), 15-26.
  24. 하성자, 김범기, 백성혜(2005). 어는점 내림 현상에 대한 교과서 내용 및 중등 과학 교사들의 개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2), 88-97.
  25. 한태현(2015). 날씨변화에 대한 초등학생의 개념 유형과 개념 형성 요인에 대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Barrass, R. (1984). Some misconseptions and misunderstandings perpetuated by teachers and textbooks of biology. Journal of Biological Education, 18, 201-206. https://doi.org/10.1080/00219266.1984.9654636
  27. Chang, J. Y. (1999). Teachers college students' conceptions about evaporation, condensation, and boiling. Science Education, 83(5), 511-526. https://doi.org/10.1002/(SICI)1098-237X(199909)83:5<511::AID-SCE1>3.0.CO;2-E
  28. Gess-Newsome, J., & Lederman, N. G. (1993). Preservice biology teachers'knowledge structure as a function of professional teacher education: A year-long assessment. Science Education, 77, 25-45. https://doi.org/10.1002/sce.3730770103
  29. Gilbert, J. K. (2004). Models and modeling: Routes to more authentic science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2(2), 115-130. https://doi.org/10.1007/s10763-004-318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