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Genetic Environments of Dongwon Au-Ag-bearing Hydrothermal Vein Deposit

동원 함 금-은 열수 맥상광상의 생성환경

  • Lee, Sunjin (Department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Choi, Sang-Hoon (Department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이선진 (충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 최상훈 (충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Received : 2021.12.19
  • Accepted : 2021.12.22
  • Published : 2021.12.28

Abstract

The Dongwon Au-Ag deposit is located within the Paleozoic Taebaeksan province, Okcheon belt. Mineral paragenesis can be divided into two stages (stage I, ore-bearing quartz veins; stage II, barren carbonate veins) by major tectonic fracturing. Stage I, at which the precipitation of major ore minerals occurred, is further divided into three substages(early, middle and late) with paragenetic time based on minor fractures and discernible mineral assemblages: early, marked by deposition of pyrite with minor magnetite, pyrrhotite and arsenopyrite; middle, characterized by introduction of electrum and base-metal sulfides with minor sulfosalts; late, marked by argentite, Cu-As (and/or Sb) and Ag-Sb sulfosalts with base-metal sulfides. Fluid inclusion data show that stage I ore mineralization was deposited between initial high temperatures (≥430℃) and later lower temperatures (≤230℃) from fluids with salinities between 6.0 to 0.4 wt. percent equiv. NaCl. The relationship of salinity and homogenization temperature suggest that ore mineralization at Dongwon was deposited mainly due to fluid boiling, cooling and dilution via influx of cooler, more dilute meteoric waters. Changes in stage I vein mineralogy reflect decreasing temperature and fugacity of sulfur by evolution of the Dongwon hydrothermal system with increasing paragenetic time. The Dongwon deposit may represents a Korean-type and/or Au-Ag type mesothermal/epithermal gold-silver deposit.

동원광상은 옥천대 북서부 태백산분지 내에 분포하는 조선누층군의 변성암류, 퇴적암류 또는 화성암류 내에 발달된 열극을 충진하여 생성된 함 금-은 열수맥상 광상으로, 괴상 및 각력상 조직과 함께 정동의 발달 등 복합적인 조직적 특성을 보여준다. 동원광상의 맥상 광화작용은 지구조적 운동(tectonic break)에 의하여 광화 1시기(stage I)와 광화 2시기(stage II)로 구분된다. 광화 1시기는 석영맥의 생성과 함께 주된 함 금·은 광물인 에렉트럼(electrum)과 함께 황화광물, 산화광물 및 황염광물 등이 산출한 시기로서, 공생관계와 광물 조합 특성 등에 의하여 세 단계의 광화시기(초기, 중기, 후기)로 구분된다. 광화 1시기의 초기에는 주로 황철석, 자철석, 자류철석, 유비철석 등이 산출되었다. 중기에는 주된 금-은 광화작용이 진행되어 에렉트럼과 함께 섬아연석, 황동석, 방연석 등의 황화광물과 함 은 광물 및 황염광물 등이 산출되었다. 후기에는 황철석, 섬아연석, 방연석 등과 함께 함 은·안티몬 광물 등이 산출되었다. 광화 2시기는 주 광화작용 이후의 금속 광화작용이 이루어지지 않은 방해석과 백운석맥의 생성시기이다. 동원광상 광화작용은 초기 고온(≥430℃)의 열수유체 유입으로 시작되어 냉각과 비등작용 및 상대적으로 천부를 순환한 열수유체 또는 천수의 혼입 등에 의하여 ≥430℃~≤230℃의 온도조건에서 6.0 to 0.4 wt. percent NaCl 상당 염농도를 갖는 유체에서 진행되었다. 동원광상의 광물 공생관계 변화는 이러한 열수계의 진화에 의한 온도와 황 분압 조건의 감소 등의 환경변화가 반영된 결과이다. 동원광상은 한국형 금·은 광상 및 금-은 혼합형 광상에 해당하는 중/천열수 광상에 대비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1학년도 충북대학교 연구년제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이와 함께 한국광물자원공사의 2020년 정밀조사 학술연구용역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다. 현장 광상 조사 시에 함께하여 도움을 주신 한국광물자원공사 탐사팀 팀원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본 논문을 세심하게 검토하여 고견을 주신 익명의 심사자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References

  1. 대한지질학회 (1999) 한국의 지질. 시그마프레스. 802p.
  2. 박희인, 박영록 (1990) 동원광산의 금-은 광화작용. 광산지질, v.23, p.183-199.
  3. 손치무, 정창희 (1965) 태백산지구의 퇴적환경과 지질구조. 서울대학교 논문집 이공계, v.15, p.1-27.
  4. 최상훈 (2000) 국내 금.은광상 성인별 모델링연구. 대한광업진흥공사, 광진 2000-2, 119p.
  5. 최선규 (1993) 한국 중부 지역 금-은 광상산 섬아연석의 조성변화와 성인적 특성. 광산지질, v.26, p.135-144.
  6. 최선규, 박노영, 홍세선 (1988a) 충청도 일원의 금-은 광상에 대한 광물학적 연구. 광산지질, v.21, p.223-234.
  7. 최선규, 박맹언, 최상훈 (1994) 한국 동남부 지역 금-은 광상 산에랙트럼의 화학조성. 자원환경지질, v.27, p.325-333.
  8. 최선규, 위수민 (1992) 에랙트럼의 화학조성과 관련된 한국 중부 금-은 광상의 성인적 특성. 지질학회지, v.28, p.196-219.
  9. 최선규, 지세정, 박성원 (1988b) 충청북도 영동지역 금-은 광상의 광화작용에 관한 연구. 광산지질, v.21, p.367-380.
  10. 최선규, 최상훈 (1995) 한국중부와 동남부지역 금.은 광화작용의 성인적 특성. 자원환경지질, v.28, p.587-597.
  11. 한국광물자원공사 (2020) 호명지구(금.은) 정밀조사 보고서(호명 111, 호명 112호), 106p.
  12.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 (1962a) 예미도폭 (1:50,000).
  13.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 (1962b) 임계도폭 (1:50,000).
  14.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 (1962c) 정선도폭 (1:50,000).
  15.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 (1962d) 호명도폭 (1:50,000).
  16. Barton, P.B., Jr. and Toulmin, P., III. (1964) The electrum-tarnish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fugacity of sulfur in laboratory sulfide system. Geochim. Cosmochim. Acta, v.28, p.619-640. doi: 10.1016/0016-7037(64)90082-1
  17. Craig, J.R. and Barton, P.B. Jr. (1973) Thermochemical approximations for sulfosalts. Econ. Geol. v.68, p.493-506. doi: 10.2113/gsecongeo.68.4.493
  18. Haynes, F.M. (1985) Determination of fluid inclusion compositions by sequential freezing. Econ. Geol., v.80, p.1436-1439. doi: 10.2113/gsecongeo.80.5.1436
  19. Kretschmar, U. and Scott, S.D. (1976) Phase relations involving arsenopyrite in the system Fe-As-S and their application. Can. Miner., v.14, p.364-386.
  20. Potter, R.W. III, Clunne, M.A. and Brown, D.L. (1978) Freezing point depression aqueous sodium sodium chloride solutions. Econ. Geol., v.73, p.284-285. doi: 10.2113/gsecongeo.73.2.284
  21. Scott, S.D. and Barnes, H.L. (1971) Sphalerite geothermometry and geobarometry. Econ. Geol., v.66, p.653-669. doi: 10.2113/gsecongeo.66.4.653
  22. Shelton, K.L., So, C.S. and Chang, J.S. (1988) Gold-rich mesothermal vein deposits of the republic of Korea: Geochemical studies of the Jungwon gold area. Econ. Geol., v.83, p.1221-1237. doi: 10.2113/gsecongeo.83.6.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