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PACK based STEAM program - Focused on the excretory organs in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our body' unit -

TPACK 기반 융합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우리 몸의 구조와 기능' 단원 중 배설 기관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21.09.28
  • Accepted : 2021.10.25
  • Published : 2021.11.30

Abstract

In this study, a TPACK-based STEAM program was developed and applied under the theme of excretory organs in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Our Body' of the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The program was produced and conducted through curriculum analysis and learning goal detailing, learning environment analysis, teaching·learning method and technology selection, TPACK elements arrangement and teaching·learning material development, application and effectiveness verification. Teacher's TPACK considered in STEAM program design process is content knowledge (appearance and work of excretory organs), pedagogical knowledge (STEAM, problem-based learning, research learning, discussion learning, cooperative learning, scientific writing) and technology knowledge (3D printer and smart device application technology). The program consisted of a total of 8 hours of project learning activities and was applied to 29 students in the fifth grade as an experimental group. A program of the same theme developed mainly from textbooks was applied to 27 students in the fifth grade of a comparison group. As a result of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and scientific attitude compared to the comparison group, and the class satisfaction with the STEAM program was also high.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ability.

본 연구에서는 초등과학 교육과정의 '우리 몸의 구조와 기능' 단원에서 배설 기관을 주제로 TPACK 기반의 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은 교육과정 분석 및 학습 목표 세부화, 물리적·심리적 학습 환경 분석, 교수·학습 방법 및 테크놀로지 선정, 수업에 활용할 교사의 TPACK 요인 정리 및 교수·학습자료 개발, 프로그램 적용 및 효과성 검증의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STEAM 프로그램 설계 과정에서 고려한 교사의 TPACK은 내용학 지식(배설 기관의 생김새와 하는 일), 교육학 지식(STEAM, 문제 기반 학습, 조사학습, 토의학습, 협동 학습, 과학 글쓰기), 테크놀로지 지식(3D 프린터 및 스마트 기기 활용 기술)과 지식 간의 융합적인 요인이었다. 프로그램은 총 8시간으로 구성되었으며 실험 집단으로 선정된 5학년 학생 29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비교 집단의 5학년 27명에게는 교과서 중심으로 개발된 같은 주제의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실험 집단은 비교 집단에 비하여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과학적 태도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고 STEAM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도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두 집단 간의 학업성취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학생들은 스스로 조사하고 탐구하며 알게 된 지식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 친구들과의 토의 및 협동 학습 과정을 통해 창의적 문제해결력이 향상되었던 것으로 보이며 새로운 기술의 활용, 학생 중심의 활동 과정 및 실생활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과학적 태도와 만족도가 높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진기(2017). 초등 영재를 위한 3D프린팅 활용 융합 인재 교육프로그램이 융합 인재 소양 및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고동국, 홍승호(2020). TPACK 기반 테크놀로지 활용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순환기관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39(1), 84-99.
  3. 김지양, 이상원(2021).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메이커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초등교육, 32(2), 67-84. https://doi.org/10.20972/KJEE.32.2.202106.67
  4. 김혜란, 최선영(2019). 초등과학 수업에서 언플러그드 컴퓨팅을 활용한 SW 융합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생물교육, 47(20), 213-222.
  5. 김혜란, 최선영(2020). 초등과학 수업에 VR 구현 프로그램을 활용한 SW 융합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초등과학교육, 39(2), 296-305.
  6. 김효남, 정완호, 정진우(1998). 국가수준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의 평가 체제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3), 25-45.
  7. 김희목, 지찬수(2019). 창의적 설계 기반의 수업 설계 및 적용, 현장과학교육, 13(3), 319-338. https://doi.org/10.15737/SSJ.13.3.201908.319
  8. 배미선(2017). 인지적 영역 중심의 뇌기반 진화적 접근법을 적용한 '우리 몸의 구조와 기능' 단원 수업이 초등학생의 흥미도와 학업성취도 및 과학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배영권, 박판우, 문교식, 유인환, 김우열, 이효녕, 신승기(2017). 3D 프린터를 활용한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개발 및 효과성과 만족도 분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1(4), 475-486. https://doi.org/10.14352/jkaie.2017.21.4.475
  10. 배진호, 김진수, 김은아, 소금현(2015).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역진행 자유탐구 수업이 초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21세기 핵심 역량,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34(4), 476-485.
  11. 송경진(2016).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메가스터디북스.
  12. 신태섭(2013). 예비 초등교사의 고정신념과 테크놀로지내용 교수지식(TPACK) 간의 관계 연구. 교육과학연구, 44(2), 21-45.
  13. 엄증태, 권용주(2016). 생명과학에서 3D 모델링과 프린팅을 활용한 생체모방 중심 융합수업 프로그램의 개발. 생물교육, 44(4), 658-673. https://doi.org/10.15717/BIOEDU.2016.44.4.658
  14. 윤희건, 최선영(2015). 초등과학에서 스마트러닝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태양계와 별 단원을 중심으로. 과학교육연구지, 39(3), 321-332.
  15. 이강영, 소금현(2021). 3D프린팅을 활용한 기후변화교육이 초등학생의 기후 소양과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에너지기후변화교육, 11(1), 49-63. https://doi.org/10.22368/KSECCE.2021.11.1.49
  16. 이상호, 홍승호(2019). '우리 몸의 구조와 기능' 애니메이션 제작을 활용한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초등과학교육, 38(2), 263-274.
  17. 이정서(2016). 초등 영재를 위한 3D 프린팅 활용 STEAM 프로그램 개발.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진, 홍승호(2021).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TPACK 기반 STEAM 프로그램 적용 효과: '식물의 한살이' 단원을 중심으로. 생물교육, 48(3), 356-367. https://doi.org/10.15717/BIOEDU.2020.48.3.356
  19. 임정훈, 김상홍(2013). 스마트러닝 기반 개별학습 및 협력학습이 학업성취도, 자기주도학습 및 사회적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9(1), 1-24.
  20. 정은영(2008a). 초등학교 과학과 '우리 몸의 생김새' 단원의 수업 개선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 연구.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정은영(2008b). Squeak Etoys 기반 정보교육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조연순, 체제숙, 백은주, 임현화(2004) 초등학교 수업을 위한 문제중심학습(PBL)의 교수학습 과정 모형 연구. 교육방법연구, 16(2), 1-28.
  23. 최형신, 유미리(2015). 3D 프린팅의 교육적 활용 방안 연구: 창의적 디자인 모델 기반 수업,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9(2), 167-174. https://doi.org/10.14352/jkaie.2015.19.2.167
  24. 한국과학창의재단(2015). 2015년 STEAM 프로그램 개발 시범 적용 만족도 조사. 한국과학창의재단.
  25. 한국교육개발원(2001). 간편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 개발 연구 (I). 한국교육개발원.
  26. 한지상, 홍승호(2019). 3D 프린터를 활용한 나무 모형 프랙탈 구조 제작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한국초등교육, 30(1), 235-247. https://doi.org/10.20972/KJEE.30.1.201903.235
  27. Berson, M., Diem, R., Hicks, D., Mason, C., Lee, J., & Dralle, T. (2000). Guidelines for using technology to prepare social studies teachers. Contemporary Issues in Technology and Teacher Education, 1(1), 107-116.
  28. Chai, C. S., Koh, J. H. L., & Tsai, C. C. (2013). A Review of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16(2), 31-51.
  29. Doering, A., & Veletsianos, G. (2008). An investigation of the use of real-time, authentic geospatial data in the K-12 Classroom. Journal of Geography, 106(6), 217-225. https://doi.org/10.1080/00221340701845219
  30. Ertmer, P. A. & Ottenbreit-Leftwich, A. T. (2010). Teacher technology change: How knowledge, confidence, beliefs, and culture intersect. Journal of Research on Technology in Education, 42(3), 255-284. https://doi.org/10.1080/15391523.2010.10782551
  31. Heinich, R., Molenda, M., Russell, J. D., & Smaldino, S. E. (1996). The ASSURE Model FOR Selecting Instructional Media.
  32. Hofer, M. J., Bell, L., Bull, G. L., Barry, III, R. Q., Cohen, J. D., Garcia, N., George, M. A., Harris, J., Jacoby, III, A. H., Kim, R., Kjellstrom, W., Koehler, M. J., Lee, J. K., Mann, L., Mishra, P., Patel, Y., Shoffner, M., Slykhuis, D. A., Strutchens, M. E., & Zellner, A. L. (2015). Practitioner's guide to technology, pedagogy, and content knowledge(TPACK): Rich media cases of teacher knowledge. NC: W&M Publish.
  33. Khan, S. (2011). New pedagogies on teaching science with computer simulation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Technology, 20(3), 215-232. https://doi.org/10.1007/s10956-010-9247-2
  34. Mishra, P., & Koegler, M. J. (2006).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 framework for teacher knowledge. Teachers College Record, 108(6), 1017-1054. https://doi.org/10.1111/j.1467-9620.2006.00684.x
  35. Mishra, P., & Koehler, M. J. (2009). Teachers'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learning activity types: Curriculum-based technology integration reframed. Journal of Research on Technology in Education, 41(4), 393-416. https://doi.org/10.1080/15391523.2009.10782536
  36. Rogers, Y., & Price, S. (2008). The role of mobile devices in facilitating collaborative inquiry in SITU. Research and Practice in Technology Enhanced Learning, 3(3), 1-21. https://doi.org/10.1142/S179320680800046X
  37. Schul, J. E. (2010a). Necessity is the mother of invention: An experienced history teacher's integration of desktop documentary making.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in Teaching & Learning, 6(1), 14-32.
  38. Schul, J. E. (2010b). The emergence of CHAT with TPCK: A new framework for researching the integration of desktop documentary making in history teaching and learning. THEN: Technology, Humanities, Education & Narrative, 7, 9-25.
  39. Shih, J. L., Chuang, C. W., & Hwang, G. J. (2010). An inquiry-based mobile learning approach to enhancing social science learning effectiveness.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13(4), 50-62.
  40. Yeh, Y. F., Hsu, Y. S., Wu, H. K., Hwang, F. K., & Lin, T. C. (2014). Developing and validating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ractical (TPACK-Practical) through the Delphi survey techniqu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 Technology, 45(4), 707-722. https://doi.org/10.1111/bjet.120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