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 and Organization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stronomical Spatial Concept

천문학적 공간 개념 측면에서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내용 및 조직의 특징 탐색

  • Received : 2021.10.18
  • Accepted : 2021.10.28
  • Published : 2021.11.30

Abstract

This study intends to explore the content and organization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in the astronomical domain from the perspective of understanding the astronomical spatial concept. This study analyzed the relevant unit of the achievement criteria in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for the 'space' domain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in comparison with that in secondary school textbooks according to the spatial concept analysis criteria by texts, illustrations, and inquiry activities. As a result,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were found to be organized around phenomena rather than concepts, targeting observable celestial bodies linked to real life in order to optimize the amount of learning content. However, the learning contents of astronomical observation related to observation and phenomena-centered real life should stimulate the curiosity and imagin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encourage their intellectual participation. Students need to be supported for understanding of the spatial concept to find an answer to the question of 'why'. The content organization for core concepts should be organized around the transferable spatial concept rather than simply focusing on presenting results by accurately describing the phenomena observed by students through scientific practice in order for students to answer various questions that arise in the course of scientific practice.

본 연구는 천문 영역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내용 및 조직의 특징을 천문학적 공간 개념 이해라는 관점에서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5 과학과 개정 교육과정에서 '우주' 영역 성취기준의 해당 단원을 초등학교 교과서에서 찾아 텍스트, 삽화, 탐구 활동을 중심으로 귀납적으로 도출한 공간 개념 분석 준거에 따라 중등학교 교과서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는 학습 내용의 적정화를 준수하고자 실생활과 연계된 관찰 가능한 천체를 대상으로 개념보다는 현상 위주로 내용을 조직하였다. 그러나 관찰과 현상 위주의 실생활과 연계된 천체 관측 학습 내용이 초등학생의 호기심과 상상력을 자극하고 학생들의 지적 참여를 격려하기 위해서는 '왜'라는 질문에 대해 학생 스스로 답을 찾을 수 있도록 공간 개념에 대한 이해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단순히 과학적 실행을 통해 학생들이 관찰한 현상을 정확하게 기술하여 결과를 제시하는 것에 주목하기보다, 과학적 실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질문에 답할 수 있도록 전이 가능한 공간 개념을 중심으로 핵심 개념에 대한 내용 조직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보도자료(2019). 초등학교 교과서. 2022년 국정에서 검정으로 전환.
  2. 교육부(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별책 1 제2015-74호.
  3. 권계현, 박일수(2010). 우리나라 미국 초등 과학 교과서의 천문 영역 내용 비교 분석. 초등과학교육, 29(2), 166-185.
  4. 김경미, 박영신, 최승언(2008). 과학 교과서 천문 단원의 탐구 활동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9(2), 204-217. https://doi.org/10.5467/JKESS.2008.29.2.204
  5. 김형욱, 정소진, 정소리, 문성윤(2018). 3D 천문 프로그램을 활용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습 동기 및 공간지각능력에 미치는 영향. 현장과학교육, 12(1), 37-48. https://doi.org/10.15737/SSJ.12.1.201802.37
  6. 김희수, 서창현, 이항로(2003). 천문학적 공간개념 수준에 관한 검사도구 개발. 한국지구과학회지, 24(6), 508-523.
  7. 류지수, 전문기(2021). 과학교과서의 학년 간 언어적 특성 분석: 텍스트 정합성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1(2), 71-82. https://doi.org/10.14697/JKASE.2021.41.2.71
  8. 맹승호, 이기영(2018). 지구의 공전과 별자리 겉보기 운동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공간적 추론 발달 경로의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지, 38(4), 481-494.
  9. 명전옥(2001). 예비교사들의 지구과학 문제 해결 실패요인: 달과 행성의 운동을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22(5), 339-349.
  10. 송욱, 김효남(2020). 초등학교 3-6학년 학생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인지발달 수준 분석.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25, 9-17.
  11. 신명렬, 이용섭(2011). 과학영재 학생을 위한 RSM 기반 천체관측 프로그램이 천문학적 공간개념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영재교육연구, 21(4), 993-1009. https://doi.org/10.9722/JGTE.2011.21.4.993
  12. 오준영, 김유신(2006). 천문 현상들을 설명하는 예비초등교사들의 정신모형 구조: 계절과 달의 위상 변화. 한구과학교육학회지, 26(1), 68-87.
  13. 유은정(2020). 과학영재학교에서 천문학 전공 희망자의 학습자 정체성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9), 329-355.
  14. 윤은정(2019).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과학용어에 대한 명시적 및 암시적 교육 사례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6), 767-775. https://doi.org/10.14697/JKASE.2019.39.6.767
  15. 이면우, 장은숙(2007). 한일 초등 예비교사들의 천문학 기초개념 이해와 천문학에 대한 태도. 한국지구과학회지, 28(7), 789-802. https://doi.org/10.5467/JKESS.2007.28.7.789
  16. 이명제(2016). 초등 과학교과서 천문 내용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질문의 배경지식 유형과 출처 분석. 초등과학교육, 35(2), 194-204.
  17. 이정아, 이기영, 박영신, 맹승호, 오현석(2015). 초등학교 태양계 별 수업에서 나타나는 공간적 사고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2), 179-197.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2.0179
  18. 이지혜, 신동희(2021). 천문 유산을 활용한 천문학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 가능성 탐색. 한국지구과학학회지, 42(3), 325-343.
  19. 임성만(2020). 초등학교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탐구활동의 교수전략, 유형, 개념과의 연관성 분석: 지구과학영역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39(3), 449-463.
  20. 임청환, 정진우(1993). 국민학교 자연과 천문분야 내용분석과 문제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2), 247-256.
  21. 정선라, 이용복(2013). 계절변화 개념 위계에 관한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34(4), 366-377.
  22. 정진우, 한신(2010). 초등학교 교사들의 천문학적 거리에 대한 개념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31(7), 827-838. https://doi.org/10.5467/JKESS.2010.31.7.827
  23. 조상호(2008). 성도. 사계절 별자리, 성운, 성단, 은하를 모두 담은 우리 밤하늘 지도. 사이언스북스.
  24. 주형미, 김종윤, 배화순, 변희현, 유금복, 서지영, 장근주, 박소영, 배주경(2020).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중학교 교과 교육내용의 적정성 분석: 수학, 과학.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20-6-2.
  25. Abraham, M. R., Grzybowski, E. B., Renner, J. W., & Marek, E. A. (1992). Understandings and misunderstandings of eighth graders of five chemistry concepts found in textbook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2), 105-120. https://doi.org/10.1002/tea.3660290203
  26. Cole, M., Cohen, C., Wilhelm, J., & Lindell, R. (2018). Spatial thinking in astronomy education research. Physical Review Physics Education Research, 14(1), 2469-9896.
  27. Del Grande, J. (1990). Spatial sense. The Arithmetic Teacher, 37(6), 14-20. https://doi.org/10.5951/AT.37.6.0014
  28. Erickson, H. L., Lanning, L. A., & French, R. (2017). Concept-bas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for the thinking classroom (2nd ed.). Thousand Oaks, Ca: Corwin.
  29. Liben, L. S., & Titus, S. J. (2012). The importance of spatial thinking for geoscience education: Insights from the crossroads of geoscience and cognitive science. In K. A. Kastens & C. A. Manduca (Eds.), Earth and Mind II: A Synthesis of research on Thinking and Learning in the Geosciences: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n Special Paper, 486, 51-70.
  30. Linn, M. C., & Petersen, A. C. (1985). Emergence and characterization of sex differences in spatial ability: A meta-analysis. Child Development, 56(6), 1479-1498. https://doi.org/10.1111/j.1467-8624.1985.tb00213.x
  31. Lohman, D. F. (1979). Spatial ability: A review and re-analysis of the correlational literature. Technical Report, 8, 25-27.
  32. Mathewson, J. H. (1999). Visual-spatial thinking: An aspect of science overlooked by educators. Science Education, 83(1), 33-54. https://doi.org/10.1002/(SICI)1098-237X(199901)83:1<33::AID-SCE2>3.0.CO;2-Z
  33. McGee, M. G. (1979). Human spatial abilities: Psychometric studies and environmental, genetic, hormonal, and neurological influences. Psychological Bulletin, 86(5), 889-918. https://doi.org/10.1037/0033-2909.86.5.889
  34.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6). Learning to think spatially.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35. Newcombe, N. S., & Shipley, T. F. (2015). Thinking about spatial thinking: New typology, new assessments. In J. Gero (Ed.), Studying Visual and Spatial Reasoning for Design Creativity. Springer, Dordrecht. 179-192.
  36. Piaget, J., & Inhelder, B. (1956). The child's conception of space.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37. Plummer, J. D. (2014). Spatial thinking as the dimension of progress in an astronomy learning progression.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50(1), 1-45. https://doi.org/10.1080/03057267.2013.869039
  38. Plummer, J. D., Bower, C. A., & Liben, L. (2016). The role of perspective taking in how children connect reference frames when explaining astronomical phenomena.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8(3), 345-365. https://doi.org/10.1080/09500693.2016.1140921
  39. Plummer, J. D., Wasko, K. D., & and Slagle, C. (2011). Children learning to explain daily celestial motion: Understanding astronomy across moving frames of refer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3(14), 1963-1992. https://doi.org/10.1080/09500693.2010.537707
  40. Plummer, J. D., & Krajcik, J. (2010). Building a learning progression for celestial motion: Elementary levels from an Earth-based perspectiv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7(7), 768-787. https://doi.org/10.1002/tea.20355
  41. Plummer, J. D., Kocareli, A., & Slagle, C. (2014). Learning to explain astronomy across moving frames of reference: Exploring the role of classroom and planetarium-based instructional contex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6(7), 1083-1106. https://doi.org/10.1080/09500693.2013.843211
  42. Rudmann, D. S. (2002). Solving astronomy problems can be limited by intuited knowledge, spatial ability, or both.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ED 468 815, 1-11.
  43. Sherrod, S. E., & Wilhelm, J. A. (2009). A study of how classroom dialogue facilitates the development of geometric spatial concepts related to understanding the cause of Moon phas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1(7), 873-894. https://doi.org/10.1080/09500690801975768
  44. Sneider, C., Bar, V., & Kavanagh, C. (2011). Learning about seasons: A guide for teachers and curriculum developers. Astronomy Education Review, 10(1), 1-22.
  45. Subramaniam, K., & Padalkar, S. (2009). Visualization and reasoning in explaining the phases of the mo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1(3), 395-417. https://doi.org/10.1080/09500690802595805
  46. Tobin, K. G. (1990). Research on science laboratory activities: In pursuit of better questions and answers to improve learning.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0, 403-418. https://doi.org/10.1111/j.1949-8594.1990.tb17229.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