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Development of Personal Life Narrative Using Personal Memory Archives

개인 생애기억 아카이브를 이용한 개인서사 구성 연구

  • 류한조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 Received : 2020.12.17
  • Accepted : 2021.01.18
  • Published : 2021.01.31

Abstract

In archival science studies, personal archives is a relatively unexplored field. In particular, it is difficult to find a way for ordinary individuals to organize an archive for themselves. This study suggests how individuals organize archives for themselves and suggests life memory composition as a way to utilize them. For the structure and metadata design of life-time narratives archives, this study refers to Narratologie studies and memory studies of psychology, which are combined with the concept of hierarchy and collectivity of archives. In addition, the plot concept of the narrative was proposed to form a life narrative, which was used as a tool to construct one's own life narrative. Research into the composition and utilization of these life-time narrative archives may be helpful when individuals want to create archives for themselves in the future.

기록학 연구에서 개인 아카이브는 상대적으로 연구가 되지 않은 분야이다. 특히 평범한 개인이 스스로를 위한 아카이브를 구성하는 방안을 찾아 보기 어렵다. 본 연구는 개인이 자신을 위한 아카이브를 구성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활용하는 방안으로 생애서사 구성을 제안하였다. 생애기억 아카이브의 구조와 메타데이터 설계를 위해 서사학 연구와 심리학의 기억연구 내용을 참고하였으며, 이를 아카이브의 계층성과 집합성 개념과 결합하였다. 또한 생애서사 구성을 위해 서사의 플롯 개념을 제안하여 스스로 자신의 생애서사를 구성할 수 있는 도구로 활용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생애서사 아카이브의 구성과 활용에 대한 연구는 향후 개인이 자신을 위한 아카이브를 마련하고자 할 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유석, 이승하. 2011. 서사적 정체성의 현대적 의의. 인문과학연구, 29, 29-49.
  2. 김영경, 진영선, 이장호. 2009. 노화와 자전적 기억-회상유형과 사상유형에 따른 일화 및 비일화 기억 양상 간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2(3), 19-32.
  3. 김혜림. 2010. 개인 아카이브 구축 방안 연구-이승만 기록 통합 검색을 위한 디지털 아카이브에 대한 제안. 명지대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신윤화. 2007. 매뉴스크립트 컬렉션의 수집정책에 관한 연구: 김달진문학관을 사례로. 경남대학교 기록관리학 석사학위논문.
  5. 오명진. 2017. 개인 기록의 특성과 기록화 전략. 기록학연구, 53, 79-117. https://doi.org/10.20923/kjas.2017.53.079
  6. 유재옥. 1998. 온라인목록 이용자의 주제탐색행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2(4), 209-225.
  7. 윤은하. 2012. 공동체와 공동체 아카이브에 대한 고찰. 기록학연구, 33, 2012. 3-37. https://doi.org/10.20923/kjas.2012.33.003
  8. 이채영. 2015. 시드 필드의 영화 3막 구성론을 활용한 창의적 글쓰기 교육 방안 연구. 어문론집, 62, 645-684.
  9. 임순철. 2016. 노년세대 미디어로서의 자서전에 대한 연구-자서전 쓰기를 통한 정체성 형성을 중심으로. 광운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박사학위논문.
  10. 장유정. 2013. 경험의 서사화와 자전적 글쓰기 교육 연구.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논문.
  11. 전시자. 1989. 회상(reminiscence)에 대한 개념 분석. 한국간호학회지, 19(1), 92-98.
  12. 정진석. 2016. 서사적 정체성의 문학교육적 접근에 대한 비판적 고찰. 청람어문교육, 59, 7-33.
  13. 조인숙, 강현석. 2013. 브루너의 내러티브 이론에 따른 교육과정 개발 방향의 탐색. 초등교육연구, 26(3), 187-213.
  14. 진영선, 김영경. 2010. 자전적 기억의 특성 분석과 적용 가능성의 탐색.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3(2), 207-229.
  15. 최유리, 임진희. 2015. 개인기록 관리 방안 연구-'나의 아카이브' 만들기. 기록학연구, 47, 5-49. https://doi.org/10.20923/kjas.2016.47.005
  16. 최현옥. 2014. 관련변인을 중심으로 비교한 자아통합척도 연구. 한국노년학, 34(3), 539-553.
  17. 최현주. 2013.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발달과 다큐멘터리 스토리텔링 방식의 변화. 언론과학연구, 13(2), 397-432.
  18. 한일섭. 1998. 서사문학 플롯의 현대적 개념. 서강인문논총, 9, 241-266.
  19. Mou. Tsai-Yun. 2015. Creative Story Design Method in Animation Production Pipelin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esign Creativity, 3, 124-131.
  20. 김만수. 2012. 스토리텔링 시대의 플롯과 캐릭터. 연극과인간.
  21. 로널드 B. 토비아스. 김석만 옮김. 2007. 인간의 마음을 사로잡는 스무 가지 플롯. 풀빛.
  22. 박진. 2014. 서사학과 텍스트 이론(토도로프에서 데리다까지). 소명출판.
  23. 로버트 맥기. 고영범 역. 2002. 시나리오 어떻게 쓸 것인가1. 민음인.
  24. 빌헬름 딜타이. 이한우 옮김. 2002. 체험. 표현. 이해. 책세상.
  25. 사이드 필드. 유지나 역. 1999. 시나리오란 무엇인가. 민음사.
  26. 시모어 채트먼. 한용환 역. 2003. 이야기와 담론. 푸른사상.
  27. 폴 리쾨르. 김한식 역. 2004. 시간과 이야기 3 이야기된 시간. 문학과지성사.
  28. 프랜신 샤피로. 김준기, 배재현, 사수연 옮김. 2014. 트라우마. 내가 나를 더 아프게 할 때. 수오서재.
  29. 타치바나 타카시. 이언숙 역. 2018. 자기 역사를 쓴다는 것. 바다출판사.
  30. Donald E. Polkinghorne. 강현석, 이영효, 최인자 역. 2009. 내러티브. 인문과학을 만나다. 학지사.
  31. Erikson. E. H. 송제훈 옮김. 2014. 유년기와 사회. 연암서가.
  32. Jerome Seymour Bruner. 강현석, 김경수 옮김. 2010. 이야기 만들기. 교육과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