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3D Positioning Using a UAV Equipped with a Stereo Camera

스테레오 카메라를 탑재한 UAV를 이용한 3차원 위치결정

  • 박성근 (남서울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
  • 김의명 (남서울대학교 드론공간정보공학과)
  • Received : 2021.10.06
  • Accepted : 2021.11.25
  • Published : 2021.12.10

Abstract

Researches using UAVs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in the field of quickly constructing 3D spatial information in small areas. In this study, without using ground control points, a stereo camera was mounted on a UAV to collect images and quickly construct three-dimensional positions through image matching, bundle adjustment, and the determination of a scale factor. Through the experiment, when bundle adjustment was performed using stereo constraints, the root mean square error was 1.475m, and when absolute orientation was performed in consideration of a scale, it was found to be 0.029m. Through this, it was found that when using the data processing method of a UAV equipped with a stereo camera proposed in this study, high-accuracy 3D spatial information can be constructed without using ground control points.

소규모 지역의 3차원 공간정보를 신속하게 구축하는 분야에 UAV를 이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상기준점을 사용하지 않고 스테레오 카메라를 UAV에 탑재하여 영상을 수집하고 영상 매칭과 번들조정, 그리고 축척계수의 결정을 통해서 3차원 위치를 신속하게 구축하고자 하였다. 실험을 통해서 스테레오 제약조건을 이용하여 번들조정을 수행한 경우 평균제곱근오차는 1.475m로 나타났으며 축척을 고려하여 절대표정을 수행한 경우 0.029m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안한 스테레오 카메라를 장착한 UAV의 자료처리 방법을 이용할 경우 지상기준점을 사용하지 않고도 높은 정확도의 3차원 공간정보를 구축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8년 정부(국토교통부)의 재원으로 공간정보 융복합 핵심인재 양성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2018-02-03).

References

  1. 권상일, 김의명. 2020. 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한 판류형 간판의 규격 판별. 한국측량학회지. 38(1): 69-83. https://doi.org/10.7848/KSGPC.2020.38.1.69
  2. 김성삼, 정재훈, 김의명, 유환희, 손홍규. 2008. 부등각 사상변환을 이용한 저도도 UAV 영상의 지형보정.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16(4):79-87.
  3. 김은주. 2009. 스테레오 비전 시스템을 이용한 거리 측정에 관한 연구. 학위논문(석사)-인천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4. 김의명, 최한승, 홍송표. 2018. 방향코사인을 이용한 드론영상의 에피폴라 영상제작. 한국측량학회지. 36(4):271-277. https://doi.org/10.7848/KSGPC.2018.36.4.271
  5. 김의명, 홍송표. 2018. 단일카메라 캘리브레이션과 스테레오 카메라의 캘리브레이션의 비교. 한국측량학회지. 36(4):295-303. https://doi.org/10.7848/KSGPC.2018.36.4.295
  6. 김의명. 2020. 사진측량과 컴퓨터비전의 기술. 구미서관.
  7. 김창윤, 이우식. 2016. 재난지역의 붕괴지형 3차원 형상 모델링을 위한 스테레오 비전 카메라 기반 드론 개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7(6):33-38. https://doi.org/10.5762/KAIS.2016.17.6.33
  8. 박성근, 김의명. 2020. 드론에 탑재된 스테레오 카메라 캘리브레이션. 대한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30-131.
  9. 서경택, 권오영. 2015. SIFT 추출의 GPU 가속.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2(2):238-241.
  10. 서융호. 2009. 다시점 영상을 이용한 3차원 재구성 및 모션캡-에 관한 연구. 학위 논문(박사)-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11. 오이균. 2017. 드론 사진측량과 지적정보를 융합한 하천부지 점용 조사방법. 한국국토정보공사. 47(2): 135-144.
  12. 윤공현, 김덕인, 송영선. 2018. 무인항공기 영상을 이용한 입체시기반 수치도화 정확도 평가. 한국국토정보공사. 48(1):111-121.
  13. 윤부열, 이재원. 2014. 무인항공기(UAV)의 공간정보 통합운영을 위한 국내적용 방안.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22(2):3-9. https://doi.org/10.7319/KOGSIS.2014.22.2.003
  14. 이동석, 이동욱, 김수동, 김태준, 유지상. 2009. 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한 이동객체의 실시간 추적과 거리 측정 시스템. 방송공학회논문지. 14(3): 366-377. https://doi.org/10.5909/JBE.2009.14.3.366
  15. 이수암, 황윤혁, 김수현. 2018. Incremental Bundle Adjustment와 스테레오 영상 정합 기법을 적용한 무인항공기 영상에서의 포인트 클라우드 생성 방안 연구. 대한원격탐사학회지. 34(6):941-951. https://doi.org/10.7780/kjrs.2018.34.6.1.8
  16. 이용창, 강준오. 2019. UAS 영상기반 문화유산물의 정밀 3차원 현상 모델링. 한국국토정보공사. 49(1):85-101.
  17. 이재영. 2013. 카메라 캘리브레이션과 왜곡보정, 한국 로봇학회. 로봇과 인간. 10(1):23-29.
  18. 이천, 송혁, 최병호, 호요성. 2012. 고해상도 스테레오 카메롸 저해상도 깊이 카메라를 이용한 다시점 영상 생성. 한국통신학회논문지. 37(4):239-249.
  19. 정갑용, 윤희천. 2012. 효율적인 자연재해 피해조사를 위한 실시간 공중자료획득시스템의 활용성 평가. 한국측량학회지. 30(4):369-377. https://doi.org/10.7848/KSGPC.2012.30.4.369
  20. 조재일, 최승민, 장지호, 황대황. 2007. 지능형 로복 스 테레오 비전 처리 기술. 전자통신동향분석. 22(2): 38-47. https://doi.org/10.22648/etri.2007.j.220205
  21. 조재현, 이영진, 유준. 2007. 스테레오 비전을 이용한 거리측정 알고리즘 구현. 제어자동화시스템심포지엄 논문집. 633-636.
  22. 조현정, 오재홍, 장영재. 2020. 팬텀4와 팬텀4-RTK를 이용한 항공측량 정확도 분석. 한국측량학회 학술대회자료집. 138-140.
  23. 최태영, 문호경, 차재규, 2017. 무인항공 영상을 활용한 도심녹지 표면온도 특성 분석 -익산 소라산 자 연마당을 새상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20(3): 90-103. https://doi.org/10.11108/KAGIS.2017.20.3.090
  24. Baik YK, Jo HH, Lee KM. 2006. Fast Census Transform-based Stereo Algorithm using SSE2.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305-309.
  25. Snavely N. 2008. Bundler: Structure from Motion (SFM) for Unordered Image Collections, http://phototour.cs.washington.edu/bundler/, Accessed on Jan. 13, 2011.
  26. Taddia Y, Stecchi F, Pellegrinelli A. 2019. Using DJI Phantom 4 RTK Drone for Topographic Mapping of Coastal Areas, ISPRS Geospatial. The International Archives of the Photogrammetry. Remote Sensing and Spatial Information Sciences. Volume XLII-2/W13. 625-630. https://doi.org/10.5194/isprs-archives-XLII-2-W13-625-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