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some Dental Hygiene Student's Choice of Teaching Method

일부 치위생과 학생의 수업방법선택에 따른 성취목표성향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 신애리 (광주보건대학교 치위생과) ;
  • 하명옥 (광주보건대학교 치위생과)
  • Received : 2021.08.02
  • Accepted : 2021.09.14
  • Published : 2021.12.28

Abstract

A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ome dental hygiene student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teaching method selection for increase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subject in the special education environment caused by the COVID-19.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0, a survey was conducted on 122 students of G University's dental hygiene department located in Gwangju,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were surveyed. Academic achievement has used the midterm and final exam score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Kruskal-Wallis test, Mann-Whitney U test, Pearson's correlation test, Multiple Linear Regriss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ubject understanding, subject interest, and subject satisfac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showed a strong correlation with the completion goal tendenc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class choice, and the factor that influenced the academic achievement was the case that the teaching method was chosen face-to-face.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learners' academic achievemen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face-to-face classes and to establish an effective lesson plan that can increase the degree of subject understanding, subject interest, and subject satisfaction.

코로나-19의 유행으로 비대면수업의 비중이 늘어나는 특수교육환경 속에서 대상자의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일부 치위생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고 수업방법선택에 따른 성취목표성향과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 연구를 실시하였다. 2020년 2학기 광주광역시 소재의 G대학 치위생과 학생 122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성취목표성향은 설문조사를 실시했고 학업성취도는 중간시험과 기말시험 점수를 사용했으며 수집된 자료는 Kruskal-Wallis test와 Mann-Whitney U test, Pearson's correlation test, Multiple Linear Regrission으로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완숙목표성향은 교과목이해도, 교과목흥미도, 학과만족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1) 학과만족도는 완숙목표성향에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0.01). 수업선택에 따라 학업성취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1),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수업방법을 대면으로 선택한 경우였다(p<0.05). 따라서 학습자의 학업성취도를 향상하기 위해 대면수업의 비중을 늘리고 수업에 대하여 완숙목표성향을 지향할 수 있도록 교과목이해도, 교과목흥미도, 학과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율적인 수업계획을 세우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Keywords

I. 서론

수업은 교수자, 학습자, 학습내용 등 여러 요인들이 상호작용을 하는 복잡한 과정으로 일반대학의 수업 방법은 보통 전통적인 대면수업으로 이루지지만 최근 4 차 산업혁명 시대로 들어오면서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교육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그 중 하나가 온라인으로 수업이 진행되는 e-learning으로 학습자가 전자매체를 이용하여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편리하게 교육내용을 학습하는 전체적인 과정으로 대표적인 비대 면 수업 방법이다[1]. 비대면수업은 전통적인 대면수업 보다 수업의 집중도가 떨어지거나 교수자와의 인간적인 상호작용을 얻는데 한계가 있고 원활한 수업진행을 위해서는 학습관리시스템 (LMS: Learning Management System) 의 메뉴얼을 잘 숙지한 후 사용해야 한다는 한계가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소와 시간에 제약 없이 원하는 곳에서 언제든지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반복학습이 가능하다는 편리성을 가진다[2]. 온라인 비대면교육의 시기를 앞당긴 계기 중 하나는 2019년 후반에 시작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 (COVID-19, 이하 코로나-19) 이다[3]. 대한민국 교육부는 코로나-19가 대학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개강연기를 권고하는 등 학사 운영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그 중 하나가 가능하면 대면수업보다 비대면수업을 진행하는 것으로 많은 교과목은 비대면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기술적인 부분을 습득해야하는 보건계열 실습교과목의 경우 비대면으로만 수업을 진행하기에 어려움이 따른다. 그렇기 때문에 일부 대학에서는 대면수업과 비대면 수업을 병행하여 최대한 코로나-19의 확산을 방지하면서 학생들의 학업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힘쓰고 있다.

교육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학습자의 학습 목표 성향은 학습과정 및 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주고 학습 목표 성향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여 그에 적합한 교육환경을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한다[4][5]. 성취목표성향은 학습 과정이나 학습과제에 대하여 학습자가 추구하는 관점을 의미하는 것으로 학습자가 학습에 참여하는 태도나 방법에 영향을 주고[6] 완숙목표, 수행접근목표, 수행 회피목표로 구분할 수 있다. 그 중 완숙목표는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는 본질적인 학습자체를 목표로 삼아 성취수준을 높이려고 하는 긍정적인 목표이다. 수행접근목표는 타인에 비해 자신이 우월하다는 것을 증명하고 일정 기준에 대한 평가를 유지하려는 목표로 상대와의 비교를 통해 자신의 학습수준을 입증하며 적은 노력으로 성공을 원하며 학습과제를 수단으로 여기는 목표 성향이다. 수행회피목표는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와 실패를 회피하려는 목표로 부정적인 결과의 가능성을 집중하여 실패를 두려워하고 자신의 수행에 대한 타인의 부정적인 평가를 두려워하여 수행자체를 회피하려고 하는 성향이 있다[7]. 이러한 성취목표성향은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 등 학습에 대해 영향을 준다[8-10].

학업성취도는 학업의 결과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는 과정에서 성적뿐만 아니라 수업 중 일어나는 여러 요인에 의한 상호작용의 결과로[11] 학업성취도가 향상되면 대학생활적응과 전공만족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12] 학업성취도의 향상은 학생의 만족도를 높이고 중도탈락을 예방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수업의 비중이 늘어나는 교육환경에서 대면수업과 비대면수업의 수업효과에 차이를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하고 특히 치위생(학)과와 같이 실습이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는 보건계열의 학과에서 수업방법을 계획할 때 학습만족도와 학업 성취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부 치위생과 학생의 대면과 비대면 수업 방법 선택에 따른 성취목표성향과 학업성취도에 대하여 알아보고 수업방법선택과 성취목표성향, 학업성취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여 학생의 만족도를 높이고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20년 10월 26일부터 12월 16일까지 실시하였다. 광주광역시의 G대학교 치위생과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고 대상자의 표본수는 G*Power 3.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의수준 α=0.05, 효과크기는 0.15, power=0.95로 설정하여 산출한 결과 필요한 표본 수가 129명이었으나 해당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이 124명으로 한계가 있었고 약 96% 충족된 상태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한 후 원치 않을 경우에는 언제든 참여를 거부할 수 있으며 수집된 자료는 학문적인 용도 이외에는 사용하지 않을 것을 설명하고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고 설문조사는 응답이 불성실한 2부를 제외한 122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2. 연구도구

2.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으로 성격, 친구관계, 주거 형태, 실습흥미정도, 교과내용의 이해정도, 학과 만족도에 관한 총 6문항에 대한 조사를 시행했다.

2.2 대면/비대면 수업방법 구분

대상자들이 2020년 2학기에 수강한 치위생학 및 실습 교과목은 이론수업과 실습수업으로 구분된다. 이론 수업은 대상자들 모두 중간시험 전에 비대면으로 수업을 받았고, 중간시험 이후에는 대면수업이 시행되었다.

반면 실습수업은 대면방법과 비대면방법 중 대상자의 희망에 따라 수업방법을 선택하였는데 대면수업을 선택한 학생(이하 대면수업학생)은 60명이고, 비대 면 수업을 선택한 학생(이하 비대면수업학생)은 62명이다. 대면 수업 학생의 실습수업은 대상자들이 등교하여 수업이 진행되었고 중간시험 이전에 모두 종료되었다. 비대 면 수업 학생은 LMS에 탑재된 교수자의 대면강의영상을 매주 수강하며 학기말까지 비대면수업을 진행했다. 수업 방법은 구분되었지만 강의내용과 강의시간은 동일했다.

2.3 성취목표성향

본 연구에 사용된 성취목표성향에 대한 설문문항은 Elliot와 Curch[13]에 의해 개발된 성취 목표 성향 척도를 번안한 것으로 김보현[14]의 연구에서 수정, 보완한 도구를 대상자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총 17개의 문항으로 본인의 생각과 가장 일치하는 항목에 체크하도록 했고 매우 그렇다(5점), 그렇다(4점), 보통이다(3점), 그렇지 않다(2점), 전혀 그렇지 않다(1점)의 Likert 5점 척도를 사용했다. 김보현[14]의 연구에서 도구의 신뢰도인 Cronbach's α 값이 완숙목표 0.85, 수행접근목표 0.94, 수행회피목표 0.79으로 전체 도구의 신뢰도 값이 0.83이고 본 연구의 문항구성 및 신뢰도는 [표 1]과 같다.

표 1. 성취목표 성향 도구의 문항구성 및 신뢰도

CCTHCV_2021_v21n12_182_t0001.png 이미지

2.4 학업성취도

학업성취도는 연구대상자의 치위생학 및 실습의 객관식 필기시험인 중간시험과 기말시험 점수를 사용했다. 중간시험은 25문제로 그 중 16문제는 실습수업 내용에 포함된 문제였다. 기말시험은 30문제가 출제되었는데 실습수업내용은 포함되지 않았다. 각 문제당 1점씩으로 계산한 점수를 사용하였고 회귀분석에 사용된 학업성취 도는 중간시험(25점)과 기말시험(30점)을 합산한 55점을 만점으로 하였다.

3. 통계분석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를 통계분석용 소프트웨어 SPSS(SPSS 18.0, US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성취목표, 학업성취도는 빈도,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변수의 정규성분 포를 Shapiro-Wilk 검정법으로 확인한 결과 정규성을 충족하지 않아(p<0.0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업 성취도와 수업방법선택에 따른 성취목표성향과 학업 성취도의 차이는 비모수 방법인 Kruskal-Wallis test와 Mann-Whitney U test로 분석하였다. 수업방법을 더미 변수로 변환한 후 연구대상자의 수업선택, 성취목표성향, 학업성취도 사이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test로 분석하였고,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성취목표 성향과 수업방법선택은 Multiple Linear Regrission (Stepwise)을 실시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성격은 중간이 56.6%로 가장 많았고 친구 관계는 98.4%가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자택에서 통학하는 학생이 63.9%로 가장 많았다. 치위생학 및 실습에 대한 이해도는 28.7%가 이해된다고 응답하였고 34.4%는 보통, 36.9%는 어렵다고 응답했다. 교과목에 대한 흥미도는 보통 이상이 91%로 흥미도는 높은 편이었고 학과만족도 역시 93.4% 이상이 보통 이상의 만족감을 보였다[표 2].

표 2. 연구대산자의 일반적인 특성 (N=122)

CCTHCV_2021_v21n12_182_t0002.png 이미지

2. 일반적인 특성 및 수업선택에 따른 성취목표 성향과 학업성취도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완숙목표는 교과목이해도(X2=18.292, p<0.01), 교과목흥미도(X2=27.572, p<0.01), 학과만족도(X2=20.345, p<0.01)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수행접근목표는 교과목이해도(X2=9.160, p<0.05), 교과목흥미도(X2=6.751, p<0.05), 학과만족도 (X2=10.383, p<0.01)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수행회피목표와 학업 성취도에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표 3].

연구대상자의 수업방법선택에 따른 성취 목표 성향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수업방법선택에 따른 학업성취 도는 항목 중 중간시험 점수가 대면수업을 수강한 학생이 비대면수업을 수강한 학생에 비해 높아 수업 선택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Z=-2.673, p<0.01)[표 3].

표 3. 일반적인 특성 및 수업선택에 따른 성취목표성향과 학업성취도

CCTHCV_2021_v21n12_182_t0003.png 이미지

*p<.05, **p<.01, a

3. 수업방법, 성취목표성향, 학업성취도, 학과 만족도의 상관관계

본 연구에서 수업방법선택은 학업성취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r=0.205, p<0.05). 완숙목표와 수행접근목표(r=0.251, p<0.01), 완숙목표와 수행회피목표 (r=0.269, p<0.01), 수행접근목표와 수행회피목표 (r=0.279, p<0.01)로 성취목표의 모든 하위영역 사이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학과만족도는 성취목표 성향의 하위영역 중 완숙목표와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r=0.395, p<0.01), 수행접근목표와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274, p<0.01)[표 4].

표 4. 수업방법, 성취목표성향, 학업성취도, 학과만족도의 상관관계

CCTHCV_2021_v21n12_182_t0004.png 이미지

*p<.05. **p<.01

4.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완숙목표, 수행접근목표, 수행회피목표를 모델1에 투입하여 분석하였고 수업방법은 더미변수로 변환하여 모델2 에 추가로 투입하였다.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모델2에서 수업방법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t=2.359, p<0.05). 회귀모형에 수업방법이 투입된 모델2의 설명력은 모델1 보다 0.038 증가한 0.024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F=1.750, p<0.05)[표 5].

표 5. 학업성취도에 대한 회귀분석

CCTHCV_2021_v21n12_182_t0005.png 이미지

*p<.05

Ⅳ. 고찰

본 연구는 일부 치위생과 학생을 대상으로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고 동일한 학습내용을 대면수업과 비대면 수업으로 나누어 수강한 후 성취목표성향과 학업 성취도를 확인하고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시행했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중 학과만족도는 보통 이상이 93.4%로 나타났는데 황[15]의 연구에서는 학과 만족도가 98.3%로 본 연구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고, 주거 형태는 가족과 거주하는 학생이 25%인 유와 조[16] 의 연구와 달리 본 연구에서는 63.9%가 가족과 거주한다고 응답하여 가족과 거주하는 학생의 비율이 높은 편이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취목표성향 중 완숙목표는 교과목이해도(p<0.01), 교과목흥미도(p<0.01), 학과만족도 (p<0.01)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는데 교과목이해도, 교과목 흥미도, 학과만족도가 높을수록 더 강한 완숙 목표 성향을 나타냈다. 그리고 수행접근목표도 교과목이해도 (p<0.05), 교과목흥미도(p<0.05), 학과 만족도(p<0.01)에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 중 완숙목표에 더 뚜렷한 차이를 보였기 때문에 학생의 수업에 대한 흥미와 이해도 및 학습만족도를 높이는 수업을 계획하기 위해서는 완숙 목표 성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반면 수행회피목표는 본 연구와 같이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성취목표성향을 확인한 보고는 거의 없고 일부 연구[17]도 성별, 학과 등 확인한 일반적인 특성이 달라 선행연구와 비교가 어려웠지만 수행 회피목표가 교과목 이해도, 교과목 흥미도 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수업방법선택에 따른 성취목표성향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학업성취도는 수업선택방법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중간시험과 기말시험 점수 모두 대면수업을 수강한 학생이 높았으나 중간시험 성적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이는 중간시험 전에는 대면과 비대면으로 수업방법을 나누고 중감시험 이후에는 동일하게 대면수업으로 수업을 했기 때문에 중간시험에 대한 학업성취도만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 사료된다. 대면수업과 비대면수업의 학업 성취도를 비교한 Austine과 Skidmore의 연구[18]에서 대면수업과 비대면수업으로 개설된 통계학과와 관리경제학 수강생의 수업성적을 확인한 결과 비대면수업 수강생이 대면수업 수강생보다 성적이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Brown과 Liedholm의 연구[19]에서도 3명의 대학교수가 대면수업방법, 온·오프라인 혼합방법, 가상강의 방법으로 기초 미시경제학을 수강한 학생들의 성적을비교분석한 결과 가상강의방법 대신 대면방법이나 혼합방법의 수업을 선택한 경우 성적 향상이 가능하다고 보고되어 대면수업의 학업성취도가 높게 나타났다. 김 [20]의 연구에서는 면대면수업과 블랜디드러닝의 수업 효과를 비교한 결과 블랜디드러닝에 비해 대면 수업의 학업성취도, 수업만족도는 높았지만 교수자-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본 연구와 일부 비슷한 결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수업방법선택 시 대면수업을 선택한 경우 학업성취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동일한 학과 내 수업방식에 따른 학업성취도를 확인한 조 [21]의 연구에서 온라인 수업이 대면수업에 비해 학업 성취도가 낮아 본 연구결과와 비슷한 양상을 나타냈다. 성취목표성향은 모든 하위영역인 완숙목표와 수행접근목표, 수행회피목표 사이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성취목표지향성 간의 양의 상호관계를 확인한 강 등[22]의 연구와 비슷한 양상을 나타냈지만 숙달 목표와 수행접근목표 그리고 수행접근목표와 수행 회피목표 사이에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확인되었지만 숙달목표와 회피목표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음이 보고된 노와 강[17]의 연구와는 일부 다른 결과를 나타냈다. 학과만족도는 성취목표성향의 하위영역 중 완숙목표와 가장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수행접근목표와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김[14] 의 연구에서 수행접근목표과 수행회피목표 사이에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나 같은 결과를 나타냈지만 완숙목표와 학업성취도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결과는 본 연구와는 다소 차이가 보였다.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성취목표성향의 하위요인인 완숙목표, 수행접근목표, 수행회피목표는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고 더미변수화 한 수업 방법을 대면으로 선택한 경우가 비대면 보다 학업성취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학습지향성과 수행접근지향성[8], 완숙목표[14]라고 보고된 연구들과는 차이가 나타났지만 이는 대상자가 대면과 비대면으로 수업을 나누어 수강한 후 학업 성취도를 확인한 결과이기 때문에 수업선택의 변수가 영향을 주어 선행논문과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일부 치위생과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로 결과를 일반화하기는 어려움이 있지만 동일한 학과의 학생을 대상으로 같은 학기에 동일한 교과목에서 같은 학습 내용을 대면과 비대면으로 수업방법을 나누어 수강한 후 학업성취도를 확인한 의미 있는 연구라 할 수 있다. 대면과 비대면으로 구분된 수업을 수강한 후 평가된 중간시험점수는 대면수업학생의 점수가 높고 두 그룹 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전면 대면 수업으로 진행된 수업 후 기말시험점수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수업방법선택에 따른 학업성취도를 더욱 확실히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수업을 계획 시 학습자의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대면수업의 비중을 늘리고 학습자의 교과목이해도, 교과목흥미도, 학과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 학습자가 수업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인 완숙 목표 성향을 지향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Ⅴ. 결론

코로나-19가 유행하는 교육환경에서 감염병을 예방하고자 일부 치위생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같은 학습 내용을 자율적인 선택에 따라 대면수업과 비대면 수업으로 방법을 나누어 수업을 진행하였다. 특수한 교육환경 속에서도 대상자의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성취목표성향, 학업 성취도를 확인하였고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취목표성향 중 완숙목표는 교과목이해도(X2=18.292, p<0.01), 교과목흥미도 (X2=27.572, p<0.01), 학과만족도(X2=20.345, p<0.01)에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수행접근목표는 교과목이해도 (X2=9.160, p<0.05), 교과목흥미도(X2=6.751, p<0.05), 학과만족도(X2=10.383, p<0.01)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수업방법 선택에 따라 학업성취도 중 중간시험 성적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Z=-2.673, p<0.01).

3. 수업방법선택은 학업성취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r=0.205, p<0.05). 학과만족도는 성취 목표 성향의 하위영역 중 완숙목표(r=0.395, p<0.01)와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수행접근목표(r=0.274, p<0.01)와는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성취목표성향은 모든 하위영역인 완숙목표와 수행접근목표(r=0.251, p<0.01), 완숙목표와 수행회피목표(r=0.269, p<0.01), 수행접근목표와 수행회피목표(r=0.279, p<0.01)로 성취목표의 모든 하위영역 사이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4. 대상자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수업 방법을 대면으로 선택한 범주가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냈다(t=2.359, p<0.05).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수업 계획 시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대면수업의 비중을 늘리고 학습자가 수업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인 완숙 목표 성향을 지향할 수 있도록 교과목이해도, 교과목흥미도, 학과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율적인 수업계획을 세우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References

  1. 노석준, "e-러닝(e-Learning)의 개념과 범주," 장애아동과 테크놀로지, 제6권, pp.8-10, 2005.
  2. G. Piccoli, R. Ahmad, and B. Ives, "Web-Based Virtual Learning Environments: A Research Framework and a Preliminary Assessment of Effectiveness in Basic IT Skills Training," MIS Quarterly, Vol.25, No.4, pp.401-426, 2001. https://doi.org/10.2307/3250989
  3. http://ncov.mohw.go.kr/
  4. M. K. Alderman, Motivation for achievement: possibilities for teaching and learning, Routledge Pub, 2013.
  5. J. C. Turner, C. Midgley, D. K. Meyer, M. Gheen, E. M. Anderman, Y. Kang, and H. Patrick, "The classroom environment and students' reports of avoidance strategies in mathematics: Amultimethod study," Vol.94, No.1, pp.88-106, 2002. https://doi.org/10.1037//0022-0663.94.1.88
  6. P. R. Pintrich and D. H. Schunk, Motivation in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s,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1996.
  7. A. J. Elliot, "Approach and avoidance motivation and achievement goals," Educational Psychologist, Vol.34, No.3, pp.169-189, 1999. https://doi.org/10.1207/s15326985ep3403_3
  8. 이숙정, 신경희, "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조절학습전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1권, 제12호, pp.829-834, 2013. https://doi.org/10.14400/JDPM.2013.11.12.829
  9. 주영주, 이소영, 홍유나, "사이버대학에서 지각된 수단성, 숙달접근목표지향성 및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업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15권, 제4호, pp.645-660, 2011.
  10. 박성필, 중학교체육수업에서 성취목표성향과 수업만족도간의 관계연구,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11.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75260&cid=62841&categoryId=62841
  12. 서은선, 정경아, "일 대학 안경광학과 재학생의 진로정체감, 전공만족도, 대학생활적응, 자아존중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시과학회지, 제17권, 제3호, pp.213-226, 2015.
  13. A. J. Elliot and M. A. Church, "A Hierarchical Model of Approach and Avoidance Achievement Motiv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2, No.1, pp.218-232, 1997. https://doi.org/10.1037/0022-3514.72.1.218
  14. 김보현, 웹 기반 학습에서 학습자의 성취목표, 자기규제학습전략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15. 황혜영, 전열어, "간호학과 신입생 특성에 관한 조사," 김천대학교 논문집, 제37권, pp.75-93, 2016.
  16. 유정희, 조정화, "간호학과 학생의 회복탄력성과 혁신적 조직문화가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제8권, 제2호, pp.525-534, 2018. https://doi.org/10.35873/AJMAHS.2018.8.2.052
  17. 노효련, 강신욱, "작업치료학과와 물리치료학과 1학년 학생들의 학습유형과 성취목표 지향성의 특성,"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제2권, 제1호, pp.65-73, 2012.
  18. J. Austine and M. Skidmore, "A Small Sample Study of Traditional and Online Courses with Sample Selection," The Journal of Economic Education, Vol.36, No.2, pp.107-127, 2005.
  19. B. W. Brown and C. E. Liedholm, "Can Web Courses Replace the Classroom in Principles of Microeconomics?,"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Vol.92, No.2, pp.444-448, 2002. https://doi.org/10.1257/000282802320191778
  20. 김보나, 대학에서 블렌디드 러닝과 전통적인 면대면 수업의 수업효과 비교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21. 조성일, "대면수업과 온라인 수업의 학업성취도 비교," 상업교육연구, 제34권, 제6호, pp.23-37, 2020. https://doi.org/10.34274/KRABE.2020.34.6.002
  22. 강명희, 박효진, 김민정, "웹기반 협력학습 성취도에 대한 학습자의 성취목표지향성과 상호작용중심성의 예측력 규명," 교육방법연구, 제22권, 제2호, pp.163-185, 2010. https://doi.org/10.17927/TKJEMS.2010.22.2.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