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conography and Symbols of the Gwandeokjeong Pavilion Murals in Jeju

제주 관덕정(觀德亭) 벽화의 도상과 표상

  • Received : 2020.06.30
  • Accepted : 2020.08.10
  • Published : 2020.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aintings and symbols of the Jeju Guandeokjeong murals, Treasure No. 322. Gwandeokjeong Pavilion in Jeju is one of the oldest buildings in Jeju and was built in 1448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世宗) of the Joseon Dynasty to serve as a training ground for soldiers. Unlike Gwandeokjeong Pavilions in other regions, Jeju's Gwandeokjeong Pavilion has a long history and is of cultural value due to its beautiful architecture. In addition, it contains various murals which are a further source of attention. There are four murals on the front and back of the two Lintel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uilding. Their contents include of 『The Three Kingdoms (三國志)』 and and on the back. Towards the right, is depicted, with on the back. Based on a replica of the murals from 1976, the plan, style, and age of the Gwandeokjeong Pavilion murals have been studied, together with their meanings. The contents of the mural are broadly divided into five parts, which are identified by the tacit signatures atop the screen, which provide such details as the painting titles. The painting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enter appear to inspire the spirit of the military's commerce in order to boost soldiers' morale, protect the country, and protect the people in line with the purpose of Gwandeokjeong Pavilion. The following and figuratively depict guidelines for the behavior and mindset of officials. In particular, is a painting concerned with concepts of longevity and an auspicious (吉祥), which shows how court paintings became popular as folk paintings at that time. The paintings of tangerines and other specialties of Jeju Island, the ritual paintings of Jeokbyeokdaejeon, and the expressions of Mt. Halla (漢拏山) and Oreum (오름) indicate the existence of Jeju artists that belonged to the Jeju government office at that time. The five themes and styles of the murals also show that the murals of Gwandeokjeong Pavilion were produced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제주의 관덕정은 군병들의 활터로 '활쏘기'는 물론 '말 타면서 활쏘기', '전쟁의 진법'까지 훈련하여 상무 정신을 고취시키고, 전쟁 대비를 위해 무예를 연마할 목적으로 1448년에 건립되었다. 또한 제주에서 유일하게 대규모 인원이 운집할 수 있는 넓은 공간으로 각종 연회나 관아의 공식적인 업무를 수행하였으며, '관덕풍림'과 같이 계절의 정취와 자연의 운치를 향유하는 장소였다. 이러한 장소성과 건축적 의미가 큰 관덕정이 17세기 건물의 형태를 보존하고 있기에 건물 상인방 4면의 5가지 그림이 조선 후기의 그림으로 잘못 알려져 왔다. 관덕정은 10여 차례 이상의 수리와 중수를 거쳤기에 벽화가 구체적으로 언제 처음 그려졌는지 알 수는 없다. 다만 현재의 벽화원형은(1976년 모사본 기준) 벽화의 도상과 양식으로 추정해보면 1850년(철종1) 재건, 1882년(고종19) 중수, 1924년 도사(島司) 전전선차(前田善次)의 보수, 1969년 10번째 중수 때로 요약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먼저 벽화 도상을 분석하여 제작 시기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즉, 최초 <호렵도>가 18세기 이후 그려지기 시작한 점을 비롯하여 삼국지의 유명 화제인 <적벽대전>이나 한나라 때의 은일자를 그린 <상산사호>, 당나라 시인 두목의 이야기인 <취과양주귤만거>와 같은 고사인물도의 유행과 민화풍의 <십장생도> 등의 주제는 물론 그림의 구성, 인물의 무기와 복식, 산수 표현과 채색, 필법 같은 세부적인 사항도 관덕정의 벽화가 19세기 말경에서 20세기 전반기에 그려진 작품임을 방증한다. 또한 당시 화단에서 유행하던 회화 주제나 양식과 관련이 깊어 1850년이나 1882년에 제작된 벽화가 1924년 보수와 1969년 중수를 거치면서도 벽화의 기존 내용과 형태를 보존·유지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다음으로 관덕정의 벽화 주제나 구성 방식은 군사훈련이라는 건물의 목적과 기능에 적합하게 건물 중앙 좌우에 파노라마 형식으로 <적벽대전>, <호렵도>를 구성하고, 바깥쪽으로는 감계적이고 교훈적인 내용으로 제주의 관리가 지녀야 할 덕목인 은일과 입조 등 유교의 이상적 인간상을 비유적으로 묘사한 <상산사호도>나 <취과양주귤만거>의 고사 인물도를 구성했다는 것이다. 또한 신선 사상과 장수를 상징하며, 궁중 행사나 장식화로 쓰이던 주제가 민간으로 확장되어 길상·벽사 기능이 강화된 <십장생도>를 표현하였는데, 이는 당인들의 지향을 반영하기 위해 전체적인 벽화 주제와 구성을 선택적으로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벽화의 산수가 제주의 명산인 '한라산'이라는 점, 높고 낮은 오름, 현무암 자연석 돌담 표현, 수많은 고사 중에 제주의 진상품이자 특산품인 '귤'을 주제로 한 두목의 고사를 채택하여 시각화한 점, 백록담의 흰 사슴 전설의 응용, 제사를 중시하는 유가적 관습이 남병산의 제사 장면으로 표현된 것 등은 모두 제주의 풍속과 자연환경, 생활상의 일부를 반영하는 그림이라고 설명할 수 있겠다.

Keywords

References

  1. 禮記, 射義 46
  2. 金尙憲, 1601, 南槎錄
  3. 李元鎭, 1653, 耽羅誌
  4. 尹蓍東, 1765.8-1766.6 재임, 增補耽羅誌
  5. 增補耽羅誌, 樓亭條 觀德亭, 徐居正重修記
  6. 增補耽羅誌, 2017, 齊州特別自治道.齊州文化院
  7. 濟州의 文化財(增補版), 1998, 濟州市
  8. 觀德亭 實測調査報告書, 1995.11, 濟州市
  9. 觀德亭 實測修理報告書, 2007, 문화재청
  10. 김남길 그림, 1702, 耽羅巡歷圖(보물 제652-6호), 국립제주박물관 소장.
  11. 문화재청.성보문화재연구원, 2009, 하동 쌍계사 대웅전7. 합천 해인사 명부전9, 한국의 사찰벽화 -사찰건축물 벽화조사보고서-부산광역시.경상남도 2, pp.238-339
  12. 강재인.권호종, 2014, 三國演義 '赤壁大戰' 詩歌에 나타난 人物形象 小考, 인문과학연구논총, 35-4 인문과학연구소, pp.155-188 https://doi.org/10.22947/IHMJU.2014.35.4.005
  13. 김종태, 2015, 산천재(山天齋) 벽화의 문화사적 의미 -예원합진(藝苑合珍)과 정조(正祖) 사제문(賜祭文)을 중심으로, 南冥學 20, 南冥學硏究院
  14. 박본수, 2008, 오리건대학교박물관 소장 십장생병풍 연구 -왕세자두후평복진하계병의 일례-, 古宮文化 2, pp.10-38
  15. 백종진, 2014, 관덕정 벽화를 읽다, 수필시대, 9, pp.202-209
  16. 서명희, 2018, 鵝溪 李山海의 詩와 書藝硏究,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서 성, 2005, 三國志通俗演義 萬卷樓本 삽화 연구, 中國小說論叢 22, 한국중국소설학회, pp.163-186
  18. 서 성, 2018, 삼국지평화 삽화의 편집 기획과 공간 운용 방식, 중국문화연구, 41, 중국문화연구학회, pp.397-422
  19. 유미나, 2017, 개화기 민화 고사산수도의 유형과 특징, 강좌미술사, 48, 한국불교미술사학회, pp.155-184
  20. 유미나, 2019, 20세기 전반 대중문화의 회화적 형상화, -전주역사박물관 고사인물도 병풍과 동아대박물관 고사인물도 병풍을 중심으로, 美術史學 37, 한국미술사교육학회, pp.167-197
  21. 유옥경, 2014, 조선시대 회화에 나타난 睡人像의 類型과 表象, 美術史論壇, 39, 한국미술연구소, pp.37-60
  22. 유주희, 2006, 朝鮮時代 圍棋圖 硏究, 고려대학교 문화재학협동과정 미술사학전공 석사학위논문
  23. 이상국, 2016.4, 19세기 호렵도의 양식적 특징, 행소박물관 소장 <胡獵圖> 12폭 병풍을 중심으로, 월간 민화
  24. 장장식, 삼국지연의도와 관우신앙, 삼국지연의도, 국립민속박물관, 2016, pp.209-249.
  25. 전효진, 2017, 조선시대 사호도(四皓圖)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6. 정병모, 2011, 서왕모신앙과 조선후기 십장생도의 변화, 한국민화 2, 한국민화학회, pp.27-55
  27. 정재서, 2000, 동서양 유토피아 개념과 그 유형, 도교와 문학 그리고 상상력, 푸른숲, pp.260-264
  28. 최해율, 2005, 몽골 청 간섭기의 몽골족 복식과 청대 복식의 비교, 服飾, 55-7, 한국복식학회, pp.131-141
  29. http://www.jeju.go.kr/mokkwana (제주목관아)
  30. http://www.nl.go.kr/korcis/ (한국고전적종합목록시스템)
  31. http://db.itkc.or.kr/ (한국고전종합 D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