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the Abandoned Tumulus Site Located at the East Side of the Silla Era Hwang Bok Sa (皇福寺) Site

신라 황복사지(皇福寺址) 동편 폐고분지(廢古墳址)의 성격

  • Jang, Hojin (Department Gaon Cultural Properties Research Institute) ;
  • Kang, Ryangji (Department Gaon Cultural Properties Research Institute)
  • Received : 2019.12.03
  • Accepted : 2020.02.04
  • Published : 2020.03.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existing theorie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abandoned tumulus site located at the east side of the Silla era Hwang Bok Sa (皇福寺) site and attempted an archaeological approach based on the derived facts, combining both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those of a recently conducted excavation survey.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exhibited the following outcomes. First, the excavation survey revealed that the huge rounded stones discovered on the surface of a rice paddy field located at the east side of the Silla era Hwang Bok Sa were all protecting stones, processed on the front side in the form of a bow, designating a royal tomb. Most of these protecting stones had deviated from their original positions due to subsequent farming practices and some had been re-cycled for construction purposes as fences or foundations for structures built in the Silla era. Considering the prevailing belief in the concept of reincarnation, the bone rank system, and royal authority in the Silla era at that time, it would seem likely that the royal tombs were not intentionally destroyed. Therefore, it is speculated that the stones in this royal tomb were abandoned during construction of the tomb of the King at that time and then naturally re-cycled as building components used in construction sites in later years. Second, this study comparatively analyzed the scale and quality of the supporting stones at the royal tomb site in Guhwang-dong. The analysis results verified that those supporting stones were the same stones from the royal tomb used as supporting stones for statues symbolizing the twelve earthly branch spirits that were restored at the site of the tower at the royal tomb. This confirmed that the statues of the twelve earthly branches spirits sitting at the Hwang Bok Sa site were the protecting stones from a different royal tomb. Accordingly, the conclusion that has been generally accepted to date-that the protecting stones of the statues of twelve earthly branches spirits sitting at Hwang Bok Sa site were probably moved from the royal tomb site in Guhwang-dong-must inevitably be modified. Third, based on the structure of the protecting stones and type of the royal tomb, it is speculated that the individual buried in the royal tomb at Guhwang-dong is one of the kings who followed King Heungdeok and similar times of the buried person of the tomb that was considered as King Gyeongdeok, and who was before the buried person of the tomb that was considered as Kim Yu-sin. In addition, when considering the historical art patterns on the supporting stones of the statues that symbolize the twelve earthly branches spirits, which were moved to the site of the tower at the royal tomb, it is reasonable to believe that the person buried at the royal tomb at Guhwang-dong is likely one of the Kings of the late Silla era of the 9th century.

이 글에서는 신라 황복사지(皇福寺址) 동편 폐고분지(廢古墳址)의 성격에 대한 기존의 제설(諸說)을 검토하고 최근 실시된 발굴조사 결과를 종합하여 고고학적인 접근을 시도해 보았다. 고찰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 성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신라 황복사지 동편 논 경작지 지면에 노출되어 있었던 원형의 거석(巨石)들은 발굴조사 결과 모두 전면(前面)이 호형(弧形)으로 가공된 왕릉(王陵)의 호석(護石)이었다. 이 왕릉의 호석들은 대부분 후대 경작으로 인해 원위치에서 이탈되어 있었고, 일부는 통일신라시대에 조성된 건물의 담장이나 기단 등의 건축부재로 재활용된 상태였다. 이러한 사실은 당시 신라의 계세관념(繼世觀念)과 골품체제(骨品體制) 및 왕실의 권위를 감안할 때 인위적으로 능묘(陵墓)를 파괴한 후의 상황은 아닐 것이다. 따라서 이 왕릉의 석재는 당시 왕의 능원(陵園)이 조영되던 중 어떠한 이유로 인해 미처 완성되지 못하고 방치되어 오다가 후대에 자연스럽게 건물지의 부재로 재활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둘째, 구황동(九黃洞)왕릉지 탱석(撑石)의 규모와 암질(岩質)을 비교·분석한 결과 능지탑지(陵只塔址)에 복원되어 있는 십이지신상(十二支神像) 탱석들과 동일한 왕릉의 호석이라는 점이 확인되었다. 이로 인해 황복사지 십이지신상 호석은 또 다른 왕릉의 호석이라는 점이 확인된 것이다. 따라서 그동안 황복사지 십이지신상 호석이 구황동왕릉지에서 옮겨왔을 것이라는 일반적인 학계의 견해는 수정이 불가피하게 되었다. 셋째, 호석의 구조와 능묘 형식으로 본 구황동왕릉지의 피장자(被葬者)는 흥덕왕보다는 늦고, 전(傳)경덕왕릉의 피장자와는 비슷하며, 전(傳)김유신묘의 피장자보다는 앞선 시기의 왕 중에서 찾아진다. 또한 능지탑지로 옮겨진 십이지신상 탱석의 미술사적 형식을 감안해 보더라도 구황동왕릉지의 피장자는 9세기대의 신라 하대 왕 중에서 비정되는 것이 합리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三國史記, 三國遺事, 鷄林錄
  2. 姜友邦, 1990, 圓融과 調和, 悅話堂.
  3. 경주시.한국전통문화학교, 신라왕릉II, 2013
  4. 國立慶州文化財硏究所, 2002, 年報 13
  5. 東國大慶州캠퍼스博物館, 1985, 新羅狼山遺蹟調査
  6. 이근직, 2012, 신라왕릉연구, 학연문화사
  7. 강봉원, 2005, 신라시대 경주 북천의 수리에 관한 역사 및 고고학적 고찰, 新羅文化 25
  8. 강봉원, 2006, 경주 남고루에 관한 일고찰, 新羅文化 27
  9. 강봉원, 2015, 신라의 벽화고분과 화상석묘 존재 가능성 고찰 -전신문왕릉과 황복사지 위치 비정을 중심으로-, 新羅史學報 33
  10. 姜友邦, 1973, 新羅十二支像의 分析과 解釋, 佛敎美術 1
  11. 金福順, 1996, 義湘과 皇福寺, 新羅와 狼山(신라문화제학술회의논문집 17)
  12. 金相鉉, 1996, 洪聖民의 鷄林錄, 慶州史學 15
  13. 金世基, 2001, 三國時代 封土墳의 護石에 대하여-성주 성산동 고분군의 新資料를 중심으로-, 古文化 57
  14. 金龍星, 2012, 신라 십이지신장상 호석 능묘의 변천, 韓國古代史探究 11
  15. 김용성.강재현, 2012, 신라 왕릉의 새로운 비정, 야외고고학 15
  16. 金膺顯, 1994, 統一新羅의 書體, 書與其人
  17. 柳宜健, 1730, 羅陵眞贗說, 花溪集 5
  18. 박광열, 2018, 신라 중고기 및 중대 왕릉의 재해석(신라문화특강 자료집)
  19. 朴方龍, 2001, 皇龍寺와 新羅王京의 造成, 黃龍寺의 綜合的 考察(신라문화제학술논문집 22)
  20. 李紀鳳, 2002, 新羅 王京의 範圍와 區域에 대한 地理的 硏究,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1. 이근직, 1995, 花溪集 羅陵眞贗說 譯註, 慶州史學 14
  22. 이근직, 2006, 신라 왕릉의 기원과 변천, 영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李弘稙, 1954, 慶州狼山東麓 三層石塔內 發見品, 韓國古文化論攷, 乙酉文化社
  24. 李文基, 2004, 金官伽耶系의 始祖 出自傳承과 稱姓의 變化, 新羅文化祭學術論文集 25
  25. 李銀基, 1976, 新羅末 高麗初期의 龜趺碑와 浮屠 硏究, 歷史學報 71
  26. 이은경, 2017, 통일신라 왕릉의 호석구조와 피장자 연구, 경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이청규, 2000, 경주고분으로 본 신라천년, 역사비평 52
  28. 임영애, 2013, 신라 왕릉조각의 미술사적 조망과 특수성, 新羅文化 41
  29. 장호진, 2017, (傳)황복사지에서 드러난 미완성 효성왕릉과 신라 왕실사원의 위엄, 한국고고학저널
  30. 장호진, 2019, 新羅 皇福寺의 창건과 변천 -考古資料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장호진, 2019, 新羅 皇福寺의 창건과 변천, 歷史敎育論集 71
  32. 조철제, 2000, 조선시대 경주의 오리수와 보문평 소고, 新羅學硏究 4
  33. 黃壽永, 1968, 慶州 傳皇福寺址의 諸問題, 考古美術 97
  34. (재)성림문화재연구원, 2017, 경주 낭산 일원 내 추정 고분지 정비 유적 문화재 발굴조사 약식보고서
  35. (재)성림문화재연구원, 2018, 경주 낭산 일원 내 추정 고분지 정비 유적 2차 문화재 발굴조사 약식보고서
  36. (재)성림문화재연구원, 2019, 경주 낭산 일원 내 추정 고분지 정비 유적 3차 문화재 발굴조사 약식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