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Philosophy of Good and Evil Engraved on Roof - End Tiles - A Contemplation of "The Smile of Silla" Roof-End Tiles

수막새에 새겨진 선악의 철학 -신라의 미소, 수막새를 통한 고찰-

  • Received : 2019.09.27
  • Accepted : 2020.02.05
  • Published : 2020.03.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universal meaning of the roof-end tile, our cultural property, and especially focuses on an ont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Smile of Silla" roof-end tile. In addition, the problem of good and evil read here is considered in connection with the universal problem of philosophy. The issue of good and evil is a theme in philosophy, theology, religion, and culture that will endure throughout human history in both the East and the West. Augustine and Schelling inquired deeply into the source of evil and obtained an answer to this question based on their methods, but their answer is not universal or absolute, or an answer that applies to everyone. This is because the issue of good and evil possesses both a direct relationship with every human being and a characteristic that will remain unresolved. That is to say, the metaphysical question regarding the source of evil will always be one that is open. Nietzsche, however, repudiated the morals handed down through Socrates and Christianity, and urged that we reside "beyond good and evil." This brief review argues that good and evil exists in the form of a being in itself, whether it is within our grasp or not, and reveals that good and evil is more "this-worldly" than it is "other-worldly". The roof-end tiles with facial markings passed on to us also presuppose that evil is in full force in this world and exerts its influence. This review taps into several folk methods for coping with the existence of an invincible evil that surpasses human capability and contemplates the extraordinary and creative ideas of the Silla people through their "Smile of Silla" roof-end tiles with facial markings that were used to counter evil.

본 소고(小考)는 우리의 문화재인 수막새의 보편적인 의미에 대해 고찰하고, 특히 "신라의 미소" 수막새의 존재론적 의미 해석에 천착해 본다. 또 여기서 읽는 선악의 문제를 철학의 보편적 문제와 결부시켜 고찰해 본다. 선-악의 문제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인류의 삶과 역사와 떼어서 생각할 수 없는 철학과 윤리 및 종교의 주제임에 틀림없을 뿐만 아니라 누구도 간과할 수 없는 심층 문제다. 중세의 교부였던 아우구스티누스는 악의 근원에 대해 깊이 천착했으며 나름대로 그 물음에 응답했지만, 결코 그 문제 해결은 누구에게나 해당되는 보편적인 해결책은 아니다. 말하자면 악의 근원에 대한 형이상학적 물음은 늘 열려있는 것이다. 셸링도 악의 근원 문제에 골몰했는데, 그는 이것이 "인간의 자유의지(menschliche Freiheit)"와 깊이 관련되어 있음을 타진하였다. 그러나 니체는 소크라테스와 기독교로부터 전승된 도덕을 "낙타의 도덕"이라고 폄하하면서 "선악의 피안(Jenseits vom Gut und Böse)"에 거주할 것을 주장한다. 본 소고(小考)에서는 선악이 우리의 손에 잡히든 혹은 잡히지 않든 "즉자-존재(an-sich-sein)"의 형식으로 존재하고 있음을 강조하고, 선악 사이의 싸움은 끝이 없을 뿐만 아니라 세계 및 인간의 운명과 철저하게 관련되어 있기에, 피안적인 것이라고 하기 보다는 차안적이라는 것을 밝힌다. 차안적인 선악 사이의 끝없는 싸움은 인도 사상과 종교의 영향을 받은 발리의 "바롱댄스"에도 잘 드러난다. 우리에게 전승된 얼굴무늬수막새도 다른 종류의 수막새와 마찬가지로 기왓골 끝을 단단하게 마감하는 건축학적 의미를 지닌 장식적 의미도 갖지만, 수호와 벽사(辟邪)의 의미도 갖고 있다. 벽사적인 의미를 갖는다는 것은 악이 곧 이 세상에 엄존하여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인간의 능력을 뛰어넘는 불가항력적인 악의 존재에 대처하는 여러 민속적인 방식들을 타진해보고, 특히 악에 대처하는 얼굴무늬수막새인 "신라의 미소"를 통해 악귀에 대응하는 신라인들의 기상천외한 창조적 발상을 고찰해본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성구, 옛기와, 대원사 1992, p.16
  2. 김열규, 왜 사냐면, ... 웃지요, 궁리 2003, p.7, 11
  3. 김유식, 5-6世紀 연화문수막새를 통해 본 新羅와 周邊諸國의 交流, 동악미술사학, 제 10호(2009), pp.161-180 https://doi.org/10.17300/JODAH.2009..10.007007
  4. 김유식, 신라기와 연구, 민속원, 2014, pp.135-144
  5. 김유식, <한반도 기와 가운데 으뜸- 신라의 미소 '얼굴무늬수막새'>, p.2-4, http://cafe.daum.net/_c21_/bbs_print?grpid=1ST1Z&mgrpid=&fldid=SayB&dataid=1925
  6. 김일권, 우리 역사의 하늘과 별자리, 고즈윈 2008, p.55
  7. 김정남, "[아! 대한민국-124] 신라의 미소", <월드코리안>, 2017. 1. 23일자
  8. 노윤성, 경주지역 통일신라시대 수막새의 형식과 편년, 한국기와학회 정기학술대회 발표문 (제15회, 2018), pp.97-118
  9. 노자(남만성 역), 노자도덕경, 을유문화사 1970
  10. 니체(김정현 옮김), 선악의 저편.도덕의 계보, 책세상 2014
  11. 양종현, 신라기와 조사연구와 황룡사지 출토 신라고식수막새 고찰, 한국기와학회 연구발표회 발표문(21회, 2014), pp.1-20
  12. 윤병렬, 악의 근원과 "선악의 피안" 및 악의 존재에 대한 대응책 -셸링과 니체 및 바롱댄 스와 "신라의 미소"를 통한 고찰-, 존재론 연구 제37집, 2015, pp.166-167, p.179
  13. 윤병렬, 한국해학의 예술과 철학, 아카넷 2013, 제10장
  14. 이경덕, 우리 곁에서 만나는 동서양 신화, 사계절 2006, pp.134-136, 134-136, 143-149
  15. 이기환, <'신라의 미소', 되찾은지 46년만에 보물된 사연>, 경향신문(2018.10.4.일자)
  16. 이선희.최영희, 고신라 수막새의 편년검토, 한국기와학회 정기학술대회 발표문(제15회, 2018), pp.69-96
  17. 정지연, 古新羅 高句麗系 수막새 硏究, 한국기와학회 연구발표회 발표문(제8회, 2011), pp.39-65
  18. 주홍규, 고구려 귀면문수막새의 변천양상, 동북아역사논총, 63호, 2019, p.288
  19. 朱熹(한상갑 역), 論語.中庸, 삼성출판사 1983, 4장, 7장, 11장
  20. 최상욱, 하이데거의 셸링 강연을 통해 본 악의 본질, 존재론 연구 제30집, 2012, p.107
  21. 투데이 성경편찬위원회, 컬러성경, 아가페출판사 2005
  22. 특별기획전 고구려! 행사추진위원회, 특별기획전 고구려!, 동광문화인쇄사 2002, p.173
  23. J. 호이징하 저(김윤수 옮김), 호모 루덴스, 까치글방 2010, p.16
  24. A. Augustinus, Bekenntnisse , dtv: Munchen 1985, 제7권
  25. A. Augustinus, Vom Gottes Staat , dtv: Munchen 1977, 서론(Einfuhrung), 1-10권
  26. Kurt Flasch, Augustin , Reclam: Stuttgart 1980, p.87, 368, 384
  27. M. Heidegger, Vortrage und Aufsatze , Gunther Neske: Pfullingen 1990, p.155
  28. M. Heidegger, Schellings Abhandlung uber das Wesen der menschlichen Freiheit , Max Niemeyer: Tubingen 1971, p.73, 123, 142, 167, 179
  29. Max Horkheimer, Theodor Adorno, Dialektik der Aufklaerung , Fischer Verlag, Frankfurt a.M. 1969, p.17
  30. F. Nietzsche, Also sprach Zarathustra , Wilhelm Goldmann Verlag, Munchen 1966
  31. F. Ricken(Hrg.), Lexikon der Erkenntnistheorie und Metaphysik , C.H. Beck: Munchen 1984
  32. J. Ritter, K. Grunder, G. Gabriel(Hrg.), Historisches Worterbuch der Philosophie, Schwabe Verlag: Basel 2001
  33. F.W.J. Schelling, Uber das Wesen der menschlichen Freiheit , Reclam: Stuttgart 1991, p.55, 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