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기독교교육상담학과와 교육상담학과의 교육과정 분석 및 연구

An Analysis and Study on the Curriculum of the Christian Education Counseling Department and the Education Counseling Department

  • 투고 : 2020.05.24
  • 심사 : 2020.06.25
  • 발행 : 2020.06.30

초록

본 연구는 기독교교육상담학과와 교육상담학과의 교육과정을 면밀하게 분석하여 기독교교육상담학과와 일반교육상담학과의 교육과정에 관한 현황과 문제점을 찾아 논의하고 기독교교육상담학과의 균형 잡힌 교육과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기독교교육상담학과와 일반교육상담학과의 교육목표, 교과목, 상담실습 등의 교육운영과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기독교교육상담학과와 일반교육상담학과는 융합전공 학과의 특징을 가지고 기독교교육, 청소년, 아동·청소년, 평생교육 등의 학과와 교육상담학과가 합쳐진 경우가 많아 그에 대한 학과기초 과목들이 상담교과목들 보다는 교과목에서 높은 비율을 차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독교교육상담학과와 일반교육상담학과의 실습관련 교과목을 비교하였는데 분석된 결과에 의하면, 두 학과 모두 개설된 실습관련 교과목수가 상당히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개설된 상담학 교과목에서 상담자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개인분석, 교육분석, 상담윤리, 상담사례 슈퍼비전의 교과목들은 아직도 부족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상담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임상시스템의 체계화와 상담자교육을 위한 다양한 상담분석 및 슈퍼비전의 교과목들의 확대가 시급한 실정으로 평가된다. 사회가 복잡해짐에 따라 상담의 요구와 상담전문가의 필요가 높아지는 현대사회에서, 한국의 대학들이 상담자 양성을 위한 표준화 된 지표를 중심으로 상담교육의 모델을 개발할 것을 제안한다.

This study closely analyzed the curriculum of the Christian Education Counseling Department and the general Education Counseling Department, and found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curriculum of the Christian Education Counseling Department and the general Education Counsel Department. This study presented a balanced curriculum of the Christian Education Counseling Department with above analysis. For this purpose, the analysis focused on the educational operation process of Christian education counseling departments and general education counseling departments, such as educational goals, subjects, and counseling practical training. The Christian Education Counseling Department and the general Education Counseling Department are often combined with departments such as Christian Education, Youth, Children and Youth, and Lifelong Educatio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convergence majors, so the basic subjects of the department were analyzed to have a higher percentage of subjects than counseling subjec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both departments lacked a considerable number of subjects related to counseling practical training. In the counseling course, the subjects of personal analysis, education analysis, counseling ethics, and counseling case super-vision for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counselors are still lacking, according to the analysis. In order to train counselors, it was analyzed that the system of systematic clinical practice system, various counseling analysis for counselor education, and the expansion of super vision subjects were urgently needed. In a modern society where the demand for counseling and the need for counseling experts are increasing as society becomes more complex, it is hoped that Korean universities will be able to actively contribute and cooperate in developing models of counseling education and training counseling experts through them, focusing on standardized indicators for fostering counselors.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용수 (1997). 새 교육과정의 방향. 교육교회, 251, 2-11
  2. 고용수 (2006). 기독교교육개론.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교육연구원.
  3. 고원석 외 (2015). 기독교교육개론.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교육연구원.
  4. 김계현 (1997). 상담심리학(제2판). 서울: 학지사.
  5. 김명숙 (2002). 사이버 공간에서의 기독교 학습시스템 개발. 기독교교육논총, 8, 241-289.
  6. 김미례 (2017). 청소년이 지각하는 상담전문가, 직업상담사, 사회복지사 이미지 분석,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충남.
  7. 김은하.신윤정.이지연 (2019). 상담전공대학원생을 위한 다문화 상담 교과 과정개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1(4), 1321-1364
  8. 김인규 (2009). 학부 상담학과 교육의 현황과 발전 방안 연구. 상담학연구, 10(2), 793-811.
  9. 김재훈.서영석 (2018). 상담역량에 초점을 둔 미술치료 전공 교육과정 및 미술치료사의 인식 분석. 상담학연구, 19(6), 395-420
  10. 김정효 (2010). 기독교학교 교육과정 개발과 적용 사례: E초등학교를 중심으로. 기독교교육논총, 24, 325-361.
  11. 김정효.허지선.한신영 (2017). 기독교 학교의 종교교과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 교육과정 숙의를 통한 신조(Platform) 구축. 기독교교육논총, 52, 181-220.
  12. 김준수 (2006). 한국 신학교 상담대학원의 커리큘럼 연구. 복음과 상담, 6(1), 120-167.
  13. 박미라 (2017). 대학 신입생의 정신건강 관련 상담 요구에 관한 연구: 스트레스, 우울.불안, 분노조절, 대인관계를 중심으로. 기독교교육논총, 52, 221-256.
  14. 박상진 (2007). 한국 기독교학교의 자율성 및 정체성 재확립을 위한 과제. 기독교교육논총, 15, 61-96.
  15. 박상진 (2008). 교회교육현장론.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16. 박재황.남상인.김창대 (1993). 청소년 상담교육과정 개발 연구. 청소년대화의 광장.
  17. 이문기.이동혁 (2017). 상담자 교육을 위한 영성교육과정 개발연구. 상담학연구, 18(5), 357-380. https://doi.org/10.15703/KJC.18.5.201710.357
  18. 이정기 (2014). 기독교대학 교양교육과정 개발의 융합적 접근. 기독교교육논총, 37, 53-81.
  19. 이철웅 (2006). 교육상담과 생활지도 연구. 서울: 교육과학사.
  20. 이현구 (2000). 기독교교육상담: 기독교교육서 9. 서울: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21. 이현주 (2002). 대학교육단계의 효율적인 진로교육 방안 연구: 대학생 의견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학회, 40(4), 219-247.
  22. 서종수 (2016). 건강가정사를 중심으로 살펴본 가족상담 교육과정에 대한 개선방안. 복지상담교육연구, 5(2), 119-141.
  23. 신승범 (2013). 기독교교육의 장으로서의 가정의 재발견. 복음과 교육, 14, 185-206.
  24. 유형근 (2006). 전문상담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실습방안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6(2), 215-233.
  25. 이선영 (2012). 회복을 위한 기독교교육. 서울: 그리심출판사.
  26. 이숙영.김창대 (2002). 상담전공 대학원 교육과정 표준화연구. 교육학연구, 40, 231-250.
  27. 이재창 (1981). 심리교육의 필요성. 새교육. 33(6), 12-19.
  28. 이재창 (1985). 심리교육의 이해와 그 활용에 관한 고찰. 홍대논총, 17, 547-568.
  29. 이재창 (1994). 학교심리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교육연구논총, 17, 125-155.
  30. 장화선 (2013). 기독교 교육과 커리큘럼의 진단과 제안: A 대학교 기독교교육과 사례를 중심으로. 기독교교육논총, 33, 121-143.
  31. 장현진.이종범 (2016). 진로진학상담교사 양성 표준교육과정 개정 방안 연구. 진로교육연구, 29(3), 1-21
  32. 장동진.김용태 (2014). 기독교상담에 대한 기독교 상담자들의 인식유형 연구.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25(3). 249-277.
  33. 장성숙 (2002). 우리문화에서의 상담자상. 한국심리학회지, 14(3), 547-561.
  34. 정소영 (2000). 기독교교육과 상담.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35. 정정숙 (1992). 교사와 기독교 교육상담. 기독교교육연구, 3(1), 40-62.
  36. 조남정.이미현.김인규 (2015). 상담전공 학부생의 교육과정 경험 연구. 상담학연구, 16(3), 1-22. https://doi.org/10.15703/KJC.16.3.201506.1
  37. 조남정.이미현.김인규 (2015). 학부 상담학과 교육과정 현황 분석 연구. 상담학연구, 16(4), 301-319.
  38. 최해림.김영혜 (2006). 한국의 상담자 교육과 훈련에 관한 연구: 상담심리 석박사교과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8(4), 713-730.
  39. 최현아 (2019).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학부 상담학과 교육과정 개발.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전주.
  40. 한미라 (2006). 기독교교육개론.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41. 홍기칠 (1999). 인성교육을 위한 심리교육 프로그램의 탐색.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논총, 14, 181-212.
  42. 홍순황 (2020.04.13.). '세종시교육청 '상담 톡 마음 on' 운영상담.심리검사 등 진행 ... 불안감 해소' 충청타임스, 8.
  43. Adams, J. (1992). 상담학 개론. 정정숙 역, 서울: 총신대학 출판부. (원저 1980 출판)
  44. Clinebell, H. J. (1988). 성장상담. 이종헌 역,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원저 1984 출판)
  45. Crabb, L. J. (1999). 성경적 상담. 정정숙 역, 서울: 총신대학출판부. (원저 1985 출판)
  46. 두산백과, 교육과정(curriculum)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65549&cid=40942&categoryId=31724 2020. 04. 03. 인출.
  47. 한세대 학과소개 www.hansei.ac.kr/kor/489/subview.do 2020. 04. 03. 인출.
  48.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학과소개 https://www.acts.ac.kr/design/contents10.asp?code=11101210&left=school1_3 2020. 04. 03. 인출.
  49. 순천향대학교 학과소개 https://homepage.sch.ac.kr/sch/03 /03010107.jsp 2020. 04. 03. 인출.
  50. 대구한의대학교 학과소개 http://www.dhu.ac.kr/HOME/counsel/index.htm 2020. 04. 03. 인출.
  51. 대전대학교 학과소개 http://home.dju.ac.kr/kidbiz/html/main.htm 2020. 04. 03. 인출.
  52. 평택대학교 학과소개 https://www.ptu.ac.kr/contents/www/cor/child_1.html 2020. 04. 03. 인출.
  53. 부경대학교 학과소개 http://cms.pknu.ac.kr/lifelong/main.do 2020. 04. 03. 인출.
  54. 동의대학교 학과소개 https://www.deu.ac.kr/www/dept/edu/12/1 2020. 04. 03. 인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