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비블리오드라마의 개념, 선구자들, 그리고 근본성격

Concept, Pioneers, and Characteristics of Bibliodrama

  • 투고 : 2020.05.24
  • 심사 : 2020.06.25
  • 발행 : 2020.06.30

초록

본 논문은 최근 기독교교육 분야를 비롯한 다양한 현장에서 관심과 주목을 받고 있는 비블리오드라마를 학문적으로 정리하여 그 근본 성격과 핵심 구조를 파악하려는 시도다. 비블리오드라마는 "성서 본문과 참여자들의 개인사 간에 전인적인 만남과 상호개방(발견)을 목적으로, 참여집단을 통해 성서본문을 극화한 과정중심의 학습방식"이다(알데베르트). 비블리오드라마는 역사비평학의 파산을 선고한 성서학자 윙크의 해석학적 노력에서 태동의 배경을 찾을 수 있다. 독일의 신학자 마르틴은 뉴욕 생활 중에 성서를 신체활동을 통해 바라보는 새로운 체험을 하게 되었고, 그 체험을 바탕으로 비블리오드라마 활동을 시작하게 되었다. 또 신약성서학자 슈람은 TCI(테마중심의 상호작용) 운동에 깊이 주목하면서 성서연구의 상호작용을 구체화할 수 있는 최적의 방법론을 비블리오드라마에서 찾게 되었다. 한편 미드라쉬 전통에서 비블리오드라마를 구현하고자 하는 핏젤은 유럽 비블리오드라마와 차별된 새로운 형태의 비블리오드라마(비블리오로그)를 개발하였다. 비블리오드라마의 선구적 인물들의 입장을 종합해보면, 비블리오드라마는 신체성 - 상호소통(상호작용) - 성서 여백(빈공간)에 대한 탐구를 세 가지 근본성격으로 가지고 있음이 드러난다. 정리하자면, 비블리오드라마는 신체를 동반한 참여자가 빈 공간인 성서이야기를 상호작용을 구현하는 극화된 방식으로 참여함으로써 전인적 해석과 체험, 치유를 지향하는 공동체적 학습이라 하겠다.

This study is an attempt to grasp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s and core structures of Bibliodrama, which has recently received a lot of attention in various fields including Christian education. Bibliodrama is a guided form of process-oriented staging of biblical texts in groups with the aim of mutually opening up the text and the biography of the participants in the implementation of holistic encounters (H. Aldebert). In the background of the birth of Bibliodrama can be found the hermeneutical efforts of the biblical scholar Walter Wink who sentenced the bankruptcy of historical criticism. He laid the biblical interpretative foundation for Bibliodrama which combines Bible and body. German theologian Gerhard Marcel Martin had a new experience of seeing the Bible through body activity during his life in New York, and based on that experience he began to work on the Bibliodrama. And the New Testament scholar Tim Schramm, who focused on the TCI (themecentered interaction) movement, found the optimal methodology to embody the interaction of biblical studies in Bibliodrama. On the other hand, Peter Pitzele, who wanted to realize the Bibliodrama in the tradition of Midrash, has developed a new type of Bibliodrama (Bibliolog) that is different from the European Bibliodrama. When we put together the positions of the pioneers of Bibliodrama, it turns out that it has three fundamental characteristics: body, interaction, and the empty space of the Bible. The body refers to the personality of learners participating in the Bibliodrama. They are not passive participants, but voluntary and active participants. Interaction is realized through the dramatic way of Bibliodrama. Bibliodrama aims for a dynamic process in which hermeneutical interaction occurs. The empty space of the Bible, which Bibliodrama pays attention to, allows us to understand why the Bible is not a fixed word but a living word that is still heard today. In order to understand the Bible as the content of education, Bibliodrama liberates the text that is fixed in a literal way and gives life by paying attention to the empty space of the Bible and reading it slowly.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은 2020년도 장로회신학대학교의 학술연구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참고문헌

  1. 강희숙.이진헌 (2019). 비블리오드라마에 의한 대학생들의 자기성장 경험.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22, 1-12.
  2. 고강호 (2012). 기혼여성에 대한 비블리오드라마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15, 1-15.
  3. 고원석 (2016). 기독교교육의 새로운 접근: 비블리오드라마. 기독교교육정보, 48, 1-31.
  4. 김세준 (2009). 기독교집단의 비블리오드라마를 위한 액션메소드의 종합적 활용.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12, 23-38. https://doi.org/10.17962/KJP.2009.12.2.003
  5. 김세준 (2011). 비블리오드라마를 통한 자기 발견과 치유; 가족갈등을 경험한 기독청년들을 중심으로.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14, 21-40.
  6. 김현희 (2008). 비블리오드라마와 독서치료.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11, 11-42.
  7. 김희영 (2008). 비블리오드라마(Bibliodrama)를 통한 역동적인 성서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11, 59-80.
  8. 박은미 (2014). 비블리오드라마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기독교중년여성의 비블리오드라마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존재론적 탐구. 서울: 양서원.
  9. 비블리오드라마 교육연구소 (2016). 비블리오드라마 매뉴얼. 서울: 일상커뮤니케이션.
  10. 손성현 (2010). 비블리오드라마의 교육적 가능성에 대한 고찰. 기독교교육정보. 27, 429-456.
  11. 양금희 (2007). 해석과 교육.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12. 오수진 (2011). 노인 여가활동으로서의 비블리오드라마 효과.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14, 91-111. https://doi.org/10.17962/KJP.2011.14.2.005
  13. 이봉섭 (2015). 비블리오드라마가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연구.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대전.
  14. 장순애 (2017). 성경교수법으로서의 비블리오드라마에 대한 비판적 연구. 신학과목회, 48, 241-262.
  15. 정순선.고강호 (2014). 가출청소년의 비블리오드라마 경험에 관한 연구: 청소년 쉼터 여자 청소년을 중심으로.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17, 83-101.
  16. 최금례 (2017). 비블리오드라마와 자아의 상호작용: 사이코드라마기법을 활용한 비블리오드라마의 효과.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28, 177-206.
  17. 최금례 (2018). 모래놀이치료를 활용한 비블리오드라마의 개인상담 적용 사례연구.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29, 147-174.
  18. 황헌영 (2017). 사이코드라마의 잉여현실과 종교적 은유: 단 브라우닝의 수정된 상관 관계론에 따른 심리치료와 종교의 대화.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28, 241-266.
  19. 황헌영.김세준 (2018). 비블리오드라마. 서울: 현대드라마치료연구소.
  20. Aldebert, H. (2001). Spielend gott kennenlernen. Biblodrama in religions padagogischer Perspektive. Hamburg: EB-Verlag.
  21. Barthes, R. (2015). S.Z. 김웅권 역, 서울: 연암서가. (원저 1970 출판)
  22. Kreller, H. (2013). Bibliodrama. Erlangen: Books on Demand.
  23. Krondorfer, B. (편) (2008a). 비블리오드라마. 황헌영.김세준 역, 서울: 창지사. (원저 1992 출판).
  24. Krondorfer, B. (2008b). 경건한 연극 창조적 화신의 맥락에서 본 비블리오드라마.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11, 81-91
  25. Lehnen, J. (2006). Interaktionale bibelauslegung im religionsunterricht. Stuttgart: Kohlhammer.
  26. Martin, G. M. (2008). 비블리오드라마의 기원과 성경본문. 안: Krondorfer, J. (편). 비블리오드라마. 황헌영, 김세준 역. 서울: 창지사 187-215. (원저 1992 출판)
  27. Martin, G. M. (2010). 몸으로 읽는 성서. 손성현 역. 서울: 라피스. (원저 1995 출판)
  28. Martin, G. (2013). Bibliodrama, in: Handbuch bibeldidaktik, hrg. M. Zimmermann & R. Zimmermann. Tubingen: Mohr Siebeck, 509-515.
  29. Naurath, E. & Pohl-Patalong, U. (Hrg.) (2002). Bibliodrama. Stuttgart: Kohlhammer.
  30. Neusner, J. (1987). What is midrash?. Philadelpia: Fortress.
  31. Pitzele, P. (2016). 비블리오드라마로의 초대. 고원석 역.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원저 1998 출판)
  32. Pohl-Patalong, U. (2009). Bibliolog: Grundform. Stuttgart: Kohlhammer.
  33. Schneider-Landolf, M., Spielmann, J. & Zitterbarth, W. (Eds.). (2017). Handbook of Themecentered Interaction. (J. Smith, Trans), Gottingen: Vandenhoeck & Ruprecht.
  34. Schramm, T. (2005). Bibliodrama im raum hamburg. Textraum: Biblio-drama information, 13, 9-12.
  35. Schramm, T. (2008). 비블리오드라마의 행위화: 신약 치유이야기의 재연. 안: Krondorfer, J. (편). 비블리오드라마. 황헌영, 김세준 역. 서울: 창지사, 135-185. (원저 1992 출판)
  36. Schramm, T. & Vopel, K. (1972). Ruth C. Cohns Mehtode der Gruppenarbeit. Darstellung und mogliche Anwendung in kirchlicher Praxis. Wissenschaft und Praxis in Kirche und Gesellschaft. 61, 308-317.
  37. Stemberger, G. (2008). 미드라쉬 입문. 이수민 역. 서울: 바오로 딸. (원저 1989 출판)
  38. Weidemann, H.-U. (2013). Historisch-kritische bibelauslegung. in: Handbuch bibeldidaktik. hrg. M. Zimmermann & R. Zimmermann, 457-462.
  39. Wink, W. (1973). The Bible in human transformation, toward a new paradigm for Biblical studies. Philadelphia: Fortress Press.
  40. Wink, W. (2008). 인간의 변화를 위한 성경공부와 신체동작. 안 : Krondorfer, J. (편). 비블리오드라마. 황헌영. 김세준 역. 서울: 창지사, 251-272. (원저 1992 출판)
  41. Art. Gerhard Marcel Martin. Wikipedia. Abgerufen 30.03.2020, aus https://de.wikipedia.org/wiki/Gerhard_Marcel_Martin 2020.3.30. 인출
  42. Art. Walter Wink. Wikipedia. Abgerufen 30.03.2020, aus https://de.wikipedia.org/wiki/Walter_Wink 2020.3.30. 인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