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코로나19 시대의 기독교적 가정영성교육 모형: 비블리오드라마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Model Christian Familial-Spiritual Education for The Era of Covid-19

  • 투고 : 2020.08.27
  • 심사 : 2020.09.29
  • 발행 : 2020.09.30

초록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대 한국교회의 위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기독교 가정을 위한 영성교육에 관한 연구이다. 오늘날 우리는 혼란의 시대를 살고 있다. 과학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해 4차 산업혁명이 시작되었고, 코로나19 바이러스 팬데믹 사태로 인해 사회 전반에 걸쳐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보니 오늘날 한국교회에는 많은 변화와 더불어 적절한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특별히 대면예배는 물론, 성도들 간의 만남과 접촉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는 상황 속에서 기독교인들이 어떻게 영성관리를 하면서 기독교적 믿음과 공동체를 유지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과 대안은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앞으로는 가정에서의 신앙생활이 점점 더 중요해질 것이라고 보고, 코로나19 시대의 기독교적 가정영성교육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코로나19 시대에 대한 이해를 시도하였다. 코로나19 바이러스(COVID-19)와 코로나19 시대의 특징(언컨택트 문화, 홈 루덴스 현상, 가정문제의 심화)에 대해 살펴본 뒤, 앞으로의 기독교 영성교육은 이러한 사회적 특징들을 염두에 두고 진행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좀 더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 기독교 영성교육의 개념과 방향성을 제시하고, 기독교 가정을 위한 기독교적 가정영성교육의 모형을 수립해 보았는데, 효과적인 교육방법으로는 비블리오드라마를 선택하였고, 마태복음 25장 14-30절의 달란트 비유를 가지고 구체적인 예를 제시해 보았다. 이는 웜업, 연기, 성찰의 과정으로 진행될 수 있는데, 이 과정 속에서 가족 구성원들은 성서를 기반으로 한 기독교 영성을 추구하며, 기독교적 믿음과 공동체를 유지할 수 있다고 보았다.

This study suggests a spiritual education for the Christian family as a strategy to cope with the risky situation of the Korean Church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oday, we live in a chaotic epoch since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science cause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Covid-19 pandemic gave rise to a wide array of changes throughout the society. Korean Church in these circumstances is required to have relevant responses to the kaleidoscopic changes. Especially, not to mention the face-to-face public worship service, in the situation where the congregation members even find it difficult to meet one another in a small group, it becomes a crucial issue how Christians maintain their faith and community in the healthy spirituality. As such, viewing that Christian education within the family will become much more important, this study conducts research for familial-spiritual education. For the research, this paper, first of all, attempts to understand the era of Covid-19. It is to see what the Novel Corona Virus is and what the feature of the epoch of Covid-19 might be. Based upon the understanding, this research discusses what Christian spirituality is asked for and the orientation towards which Christian education should go on. It is particularly to say that a spiritual education for the family becomes integral. The education for the family might be possible through Bibliodrama so that this study establishes a specific model of Christian education employing Bibliodrama. The discussion above shows three academic significances. First, this paper, within the domain of Christian education, suggests an alternative research which is to solve Korean Church's diverse problems caused by Covid-19. Second, this research attempts an analytical understanding of the Covid-19 period within the Christian education area. Finally, when specific and practical research for the field of Christian educa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s required, this study considers that Christian education within the family is overarching, thus proposing a specific model for familial-spiritual education hiring Bibliodrama.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희천 (1999). 기독교교육의 비판적 성찰.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 고원석 (2020). 비블리오드라마의 개념, 선구자들, 그리고 근본 성격. 기독교교육논총. 62, 101-133. https://doi.org/10.17968/jcek.2020..62.004
  3. 고원석 (2019). 새로운 성경학습 방법론: 비블리오드라마. 교육교회. 482, 19-25.
  4. 권승현 (2020.6.24.). 코로나19로 4월 결혼 '역대 최저' 기록...이혼은 늘었다. 파이낸셜뉴스. https://www.fnnews.com/news/202006241008452605에서 인출.
  5. 권혁범 (2020). 코로나19 뉴노멀(New Normal)' 시대. 부산발전포럼. 28-37.
  6. 김도일 (2017). 가정, 교회, 마을의 생명망 조성을 통한 교육공동체 형성에 관한 연구. 선교와 신학. 41, 223-248.
  7. 김도일 (2010). 인간성 회복을 추구하는 기독교 영성교육. 종교교육학연구. 32, 1-21.
  8. 김도일.장신근 (2009). 기독교 영성교육. 서울: 동연.
  9. 김용섭 (2020). Uncontact. 서울: 퍼블리온.
  10. 김유림 (2020.07.22). 원격수업으로 중위권 사라진 '교육 양극화'. 주간동아. https://weekly.donga.com/3/all/11/2127216/1에서 2020.07. 26. 인출.
  11. 김정준 (2012). 기독교 영성교육 모델에 관한 연구. 신학논단. 67, 7-41. https://doi.org/10.17301/TF.2012.67..001001
  12. 김진숙 (2020). 포스트 코로나 시대 중요해진 역량, '디지털 시민성.' 월간 공동정책. 176, 22-25.
  13. 김현숙 (2012). 탈인습성과 기독교교육.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4. 류삼준 (2016). 기독교 영성교육에 있어서 교수-학습과정의 원리에 대한 고찰. 기독교교육정보. 50, 81-117.
  15. 박남규 (2020). 코로나19 시대, 교회가 직면한 문제와 기회. 활천. 800, 80-85.
  16. 박미경 (2013). 개신교 영성훈련의 현재와 미래. 종교교육학연구. 43, 1-24.
  17. 박상진 (2009). 한국 교회교육 위기 극복을 위한 기독교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기독교교육논총. 20, 53-83.
  18. 손원영 (2004). 영성과 교육. 서울: 한들출판사.
  19. 송순재 (2020). 새해맞이와 코로나 바이러스. 현상과 인식. 44, 11-14.
  20. 신재길 (2020). 코러나발 세계 대공황. 정세와 노동. 161, 9-23.
  21. 오인탁 (2009). 기독교교육사. 서울: 기독한교.
  22. 유재경 (2017). 기독교 영성형성의 관점에서 본 영성일기. 신학과 실천. 57, 321-347.
  23. 이종민 (2020.04.07). 집에만 머물자 아동학대 노출... 학교 못 가 도움도 못 청해. 세계일보. https://www.segye.com/newsView/20200407520064에서 2020.07.26. 인출.
  24. 이정관 (2011). 현대 가정의 변화가 가정에서의 청소년 기독교교육에 미치는 영향과 그 대안. 신학과 실천. 27, 281-308.
  25. 이충범 (2008). 개신교 영성의 현주소와 여성생태주의 영성. 가톨릭철학. 10, 35-64.
  26. 임주훈 (2020).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와 숲. 숲과 문화. 29, 11-14.
  27. 조은하 (2003). 현대적 의미의 기독교 영성교육. 기독교교육정보. 7, 341-361.
  28. 조혜정 (2020). 코로나19 시대에 기독 학부모의 신앙성숙이 사회 회피 및 불안(SAD)에 미치는 영향과 기독교교육적 함의. 기독교교육정보. 65, 57-85.
  29. 지앤리서치 (2020). 코로나19로 인한 한국교회 영향도 조사 보고서. 감리회미래포럼 강의자료집. 1, 26-78.
  30. 최봉도 (2012). 다문화 사회에서 기독교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영성과 기독교 영성교육. 신학과 실천. 31, 363-383.
  31. 최정민 (2019). 기독교 가정교육의 과제와 전망. 장신논단. 51, 205-226.
  32. 최재천 외 (2020). 코로나 사피엔스. 서울: 인플루엔셜.
  33. Downey, M. (2001). 오늘의 기독교 영성 이해. 안성근 역. 서울: 은성. (원저 1997 출판)
  34. Folarin, G. O. (2008). The parable of the talents in the african context: an inculturation hermeneutics approach. Asia Journal of Theology, 22, 94-106.
  35. Jeremias, J. (1972). The Parables of Jesus. London: SCM Press.
  36. Krondorfer, B. (편) (2010). 비블리오드라마. 황헌영.김세준 역. 서울: 창지사. (원저 1992 출판)
  37. Krondorfer, B. (2008). Serious play: Bibliodrama in the context of creative incarnation.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11, 81-91.
  38. Martin, G. M. (2010). 비블리오드라마의 기원과 성경본문 안: Krondorfer, J. (편). 비블리오드라마. 황헌영, 김세준 역. 서울: 창지사, 187-215. (원저 1992 출판).
  39. Milbank, J. & Zizek, S. & Davis, C. (2010). Paul's new moment: Continental philosophy and the future of Christian theology. Grand Rapids, Michigan: Brazos Press.
  40. Moravec, H. (1988). Mind children: The future of fobot and human intelligence.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41. Nolland, J. (2005). The gospel of matthew: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Grand Rapids: W. B. Eerdmans Pub.
  42. Perrin, D. B. (2007). Studying Christian spirituality. New York: Routledge.
  43. PMG지식엔진연구소. (2020.08.14.).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912275&cid=43667&categoryId=43667 2020.08.16.에서 인출.
  44. Schenker, J. (2020). 코로나 이후의 세계. 박성현 역. 서울: 미디어숲. (원저 2020 출판)
  45. Schottroff, L. (2006). The parables of Jesus. Minneapolis: Fortress Press.
  46. Schwab, K. (편) (2017). 4차 산업혁명의 충격. 김진희, 손용수, 최시영 역. 서울: 흐름출판. (원저 2016 출판)
  47. Schwab, K. (2016).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송경진 역. 서울: 새로운 현재. (원저 2016 출판)
  48. Sung Uk, L. (2018). Performing the bible in the korean context: Korean ways of reading, singing, and dramatizing the scriptures. Religions, 268, 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