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통합관리를 위한 해양연구시설·장비 표준분류체계

Standard Classification System of Marine Research Facility and Equipment for an Integrated Management

  • 노태근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기기개발.운영센터)
  • RHO, TAEKEUN (Instrumental Development and Management Center,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 투고 : 2020.05.15
  • 심사 : 2020.09.07
  • 발행 : 2020.11.30

초록

다학제적인 해양연구가 활발하게 수행됨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해양연구시설·장비가 매년 구입되고 있다. 그러나 해양 연구시설·장비 중, 환경자료 수집 및 시료채취 등에 사용하는 다양한 종류의 현장 관측장비들을 현재의 국가연구시설·장비 표준분류체계로 분류하여 관리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의 경우 미분류상태로 적절히 관리되지 않는 연구시설·장비가 약 30% 정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 연구시설·장비를 특성에 따라 중분류군 7개와 소분류군 36개로 분류하고, 국가연구시설장비 표준분류체계에 의해 해양 연구시설·장비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환경관측/분석장비'라는 대분류군을 국가연구시설장비 표준분류체계에 추가하기를 제안한다. 그리고 해양 연구시설·장비 중 실험실에서 운영하는 장비들은 기존의 국가연구시설장비 표준분류체계에 따라 분류할 것을 제안한다. 이를 통하여 우리나라 전체의 해양관련 연구시설·장비를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s multidisciplinary marine research is actively conducted, various types of marine research facilities and equipment are purchased every year. However, among marine research facilities and equipment, it is difficult to classify and manage various types of field observation equipment used for environmental data collection and sample collection under the current national research facility and equipment standard classification system. In the case of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about 30% of research facilities and equipment are unclassified and not properly managed. In this study, marine research facilities and equipment are classified into 7 middle and 36 sub-classe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It is proposed to add a large classification group called 'Environmental Observation/Analysis Equipment', to the national research facility equipment standard classification system. In addition, it is proposed to classify the equipment operated in the laboratory among marine research facilities and equipment according to the existing national research facility equipment standard classification system.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all of Korea's marine-related research facilities and equipment can be systematically classified and managed effectively.

키워드

참고문헌

  1. 국가연구시설.장비진흥센터, 2010. 국가연구시설.장비 표준분류체계. 32 pp.
  2. 국가연구시설.장비진흥센터, 2015. 국가연구시설.장비 표준분류체계. 94 pp.
  3. 이종민, 2005. 레이저 분광학과 응용, 한국물리학회 물리학과 첨단기술, Decemb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