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건강가정지원센터의 1인 가구 대상 특화 프로그램 방향성 모색 -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A direction of specific program for single households in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 focused on Seoul

  • 송혜림 (울산대학교 아동가정복지학과) ;
  • 윤소영 (한국문화관광연구원) ;
  • 고선강 (성신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강은주 (울산대학교 아동가정복지학과)
  • 투고 : 2020.03.17
  • 심사 : 2020.08.03
  • 발행 : 2020.08.31

초록

This study aimed to suggest the direction and guideline of specific program for single households in the Healthy Families Support Centers. This study focused on Seoul area. To collect the data the in-depth interviews for 9 staffs managing the program for single person in field are progressed.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we found the demand and validity of a specific program for single person households. Because they are different each other in the context of age, sex, marriage experience, everyday life and need for program. So the specific programs can give higher satisfaction to the single person household. Second, to manage the specific program effectively in field we need the retraining of staffs, sharing materials between centers and other institutions, presentation and communication about the information on program management in field.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은 2019년 서울특별시청과 서울특별시건강가정지원센터의 학술사업 '서울지역 자치구 유형별 1인가구 특화 프로그램 활성화 연구'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의 결과물을 기초로 하였음

참고문헌

  1. 강은나.김혜진.김영선(2017). 도시지역 1인 가구 중고령자의 여가활동유형과 우울수준. 보건사회연구, 37(2), 184-215. https://doi.org/10.15709/HSWR.2017.37.2.184
  2. 권종선(2019). 중노년 1인 가구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문화기술의 융합, 5(1), 153-167. https://doi.org/10.17703/JCCT.2019.5.1.153
  3. 김연옥(2016). 1인 가구 시대의 도래 : 특성과 생활 실태. 한국가족복지학, 52, 139-166.
  4. 김영정.김연재(2016). 서울시 1인가구 여성의 삶 연구 : 6080 생활실태 및 정책지원방안.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연구보고서
  5. 김혜정(2015). 비혼 여성 1인 가구의 사회적 배제에 관한 연구. 여성연구논집, 25(2), 7-40.
  6. 노혜진(2018). 청년 1인 가구의 사회적 관계. 보건사회연구, 38(2), 71-102. https://doi.org/10.15709/HSWR.2018.38.2.71
  7. 박미석.전지원(2017). 비혼 1인 가구의 생활불안 및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5(4), 25-42. https://doi.org/10.7466/JKHMA.2017.35.4.25
  8. 박미현(2016). 장년층 1인 가구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연구. 보건사회연구, 38(2), 71-102. https://doi.org/10.15709/HSWR.2018.38.2.71
  9. 박미현(2018). 장년층 1인 가구의 취업결정요인 분석. 글로벌사회복지연구, 8(1), 5-26.
  10. 서명희.김영희.이현옥(2017). 1인 가구의 경제적 노후준비와 삶의 만족도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1), 718-72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1.718
  11. 서울특별시 건강가정지원센터(2015). 2015 서울시 가족백서
  12. 서울열린데이터광장(http://data.seoul.go.kr)
  13. 서울특별시(2019). 내 손 안에 서울. 나혼자산다 시대 서울시 1인가구 맞춤 지원 발표. 서울시청
  14. 서지원.양진운(2017). 중년 1인 가구의 여가활동 유형별 시간사용 결정요인. 한국가 정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286-286.
  15. 송혜림.강은주.김민주(2018). 청년 1인 가구의 생활시간 사용 연구 -성별.취업여부에 따른 식사와 여가활동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2(2), 45-63.
  16. 송혜림.윤소영.고선강.강은주(2019). 건강가정지원센터의 1인 가구 대상 프로그램 모형 개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3(2), 1-15. https://doi.org/10.22626/jkfrma.2019.23.2.001
  17. 심애리.박성신(2017). 군산시 노인1인 가구의 현황 및 커뮤니티센터 요구도 분석.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19:4, 29-40.
  18. 양지명(2019). 청년 취업 1인 가구의 일과 여가의 균형에 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 학회지, 23(2), 17-40.
  19. 연합뉴스(2018.7.6). EU, 세 가구 중 하나꼴로 '1인 가구'...스웨덴 51%, 덴마크 43%. https://www.yna.co.kr/view/AKR 20180706138000098
  20. 윤강인.강인선(2016). 중고령 1인 가구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36(2), 457-473.
  21. 임민경.고영미(2018). 비동거자녀 지원이 1인 가구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성별에 따른 비교. 한국융합학회, 9(3), 265-277. https://doi.org/10.15207/JKCS.2018.9.3.265
  22. 장온정(2015). 중년남성 1인 가구주의 사회자본 형성과정 경험에 관한 연구. 가족과 문화, 27(3), 67-100.
  23. 장진희.김연재(2016). 서울 1인 가구 여성의 삶 연구 : 2030 생활실태 및 정책지원 방안.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연구사업보고서.
  24. 정지영(2017). 노년기 1인 가구의 실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5. 최효미.김지현(2018). 청년 1인 가구 현황 및 청년층의 1인 가구에 대한 인식. 한국가정관리학회학술발표대회 자료집, 17-21.
  26. 통계청(2018a). 인구주택총조사에 나타난 1인 가구의 현황 및 특성.
  27. 통계청(2018b). 인구총조사.
  28. 통계청(2018c). 2017 인구주택총조사보도자료.
  29. 파이낸셜뉴스(2019.8.29). 우리나라 가구 중 절반 이상 1인 또는 2인 가구. https://www.fnnews.com/news/201908291109229663
  30. 한국문화원연합회(www.kccf.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