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정보
이 논문은 2019년 서울특별시청과 서울특별시건강가정지원센터의 학술사업 '서울지역 자치구 유형별 1인가구 특화 프로그램 활성화 연구'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의 결과물을 기초로 하였음
참고문헌
- 강은나.김혜진.김영선(2017). 도시지역 1인 가구 중고령자의 여가활동유형과 우울수준. 보건사회연구, 37(2), 184-215. https://doi.org/10.15709/HSWR.2017.37.2.184
- 권종선(2019). 중노년 1인 가구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문화기술의 융합, 5(1), 153-167. https://doi.org/10.17703/JCCT.2019.5.1.153
- 김연옥(2016). 1인 가구 시대의 도래 : 특성과 생활 실태. 한국가족복지학, 52, 139-166.
- 김영정.김연재(2016). 서울시 1인가구 여성의 삶 연구 : 6080 생활실태 및 정책지원방안.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연구보고서
- 김혜정(2015). 비혼 여성 1인 가구의 사회적 배제에 관한 연구. 여성연구논집, 25(2), 7-40.
- 노혜진(2018). 청년 1인 가구의 사회적 관계. 보건사회연구, 38(2), 71-102. https://doi.org/10.15709/HSWR.2018.38.2.71
- 박미석.전지원(2017). 비혼 1인 가구의 생활불안 및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5(4), 25-42. https://doi.org/10.7466/JKHMA.2017.35.4.25
- 박미현(2016). 장년층 1인 가구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연구. 보건사회연구, 38(2), 71-102. https://doi.org/10.15709/HSWR.2018.38.2.71
- 박미현(2018). 장년층 1인 가구의 취업결정요인 분석. 글로벌사회복지연구, 8(1), 5-26.
- 서명희.김영희.이현옥(2017). 1인 가구의 경제적 노후준비와 삶의 만족도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1), 718-72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1.718
- 서울특별시 건강가정지원센터(2015). 2015 서울시 가족백서
- 서울열린데이터광장(http://data.seoul.go.kr)
- 서울특별시(2019). 내 손 안에 서울. 나혼자산다 시대 서울시 1인가구 맞춤 지원 발표. 서울시청
- 서지원.양진운(2017). 중년 1인 가구의 여가활동 유형별 시간사용 결정요인. 한국가 정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286-286.
- 송혜림.강은주.김민주(2018). 청년 1인 가구의 생활시간 사용 연구 -성별.취업여부에 따른 식사와 여가활동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2(2), 45-63.
- 송혜림.윤소영.고선강.강은주(2019). 건강가정지원센터의 1인 가구 대상 프로그램 모형 개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3(2), 1-15. https://doi.org/10.22626/jkfrma.2019.23.2.001
- 심애리.박성신(2017). 군산시 노인1인 가구의 현황 및 커뮤니티센터 요구도 분석.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19:4, 29-40.
- 양지명(2019). 청년 취업 1인 가구의 일과 여가의 균형에 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 학회지, 23(2), 17-40.
- 연합뉴스(2018.7.6). EU, 세 가구 중 하나꼴로 '1인 가구'...스웨덴 51%, 덴마크 43%. https://www.yna.co.kr/view/AKR 20180706138000098
- 윤강인.강인선(2016). 중고령 1인 가구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36(2), 457-473.
- 임민경.고영미(2018). 비동거자녀 지원이 1인 가구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성별에 따른 비교. 한국융합학회, 9(3), 265-277. https://doi.org/10.15207/JKCS.2018.9.3.265
- 장온정(2015). 중년남성 1인 가구주의 사회자본 형성과정 경험에 관한 연구. 가족과 문화, 27(3), 67-100.
- 장진희.김연재(2016). 서울 1인 가구 여성의 삶 연구 : 2030 생활실태 및 정책지원 방안.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연구사업보고서.
- 정지영(2017). 노년기 1인 가구의 실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최효미.김지현(2018). 청년 1인 가구 현황 및 청년층의 1인 가구에 대한 인식. 한국가정관리학회학술발표대회 자료집, 17-21.
- 통계청(2018a). 인구주택총조사에 나타난 1인 가구의 현황 및 특성.
- 통계청(2018b). 인구총조사.
- 통계청(2018c). 2017 인구주택총조사보도자료.
- 파이낸셜뉴스(2019.8.29). 우리나라 가구 중 절반 이상 1인 또는 2인 가구. https://www.fnnews.com/news/201908291109229663
- 한국문화원연합회(www.kccf.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