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vestigation of PISA 2022 Mathematics Framework and Illustrative Examples

PISA 2022 수학 평가틀과 예시 문항 분석

  • Received : 2020.08.18
  • Accepted : 2020.09.22
  • Published : 2020.09.30

Abstract

PISA, organized by the OECD, started with the worries about what competencies students need in preparation for a changing future society. Starting with the first main survey in 2000, PISA, which was administered every three years, is preparing for the eighth cycle. PISA 2022 is a cycle in which mathematics becomes the main domain in 10 years, and the definition of mathematics literacy, mathematical framework, and illustrative examples were release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definition of PISA mathematics literacy and the trends on the mathematical framework were examin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llustrative examples introduced together with the PISA 2022 mathematical framework were analyzed. Through this, implications were drawn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assessment.

OECD가 주관하는 PISA는, 변화하는 미래 사회를 대비하여 학생들에게 필요한 역량은 무엇이고 각 국가에서는 이를 어떻게 길러주어야 하는가에 대한 고민에서 시작되었다. 2000년에 첫 번째 본검사를 시작으로 3년 마다 시행된 PISA는 어느덧 여덟 번째 주기를 준비하고 있다. PISA 2022는 10년 만에 수학이 주 영역이 되는 주기로, OECD PISA 국제본부는 기존 주기의 수학 소양의 정의와 평가틀을 수정 보완하고, 이를 반영한 예시 문항을 공개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PISA 수학 소양에 대한 정의와 평가틀의 변화 흐름을 살펴보고, PISA 2022 평가틀과 함께 소개된 예시 문항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역량 기반 교육과정을 표방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성공적인 실행과 수학 학습 평가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8].
  2. 교육부 (2020). 과학.수학.정보.융합 교육 종합계획('20-'24) 동시 발표-지능정보사회의 소양을 갖추고 세계를 선도하는 인재 양성. 교육부 보도자료(2020. 05. 27.).
  3. 김남희 (2012). PISA 읽기 소양과 21세기 국어 능력. 국어교육, 138, 41-71.
  4. 김도균, 강병련, 이민희 (2018). PISA 평가틀에 기반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1학년 수학교과서 문항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6), 393-412.
  5. 김선희, 김수민, 이은정 (2020). IB DP 수학 내용 및 교수.학습 특징에 근거한 고등학교 수학교육의 방향. 수학교육학연구, 30(2), 329-351.
  6. 김종훈 (2017). 글로벌 교육 거버넌스로서의 OECD PISA에 대한 비판적 검토. 교육과정연구, 35(1), 43-64.
  7. 김종훈 (2020). OECD PISA의 의도와 실제 간 차이 탐색: 교육과정 개혁에 대한 권력 효과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38(2), 5-26.
  8. 김현정 (2018). PISA 과학 영역의 특징과 평가틀에 대한 논의. 현장과학교육, 12(4), 389-398. https://doi.org/10.15737/SSJ.12.4.201812.389
  9. 나귀수, 박미미, 김동원, 김연, 이수진 (2018). 미래 시대의 수학교육 방향에 대한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8(4), 437-478.
  10. 노명완, 박창균 (2006). 읽기 평가틀에 대한 비교 연구. 교육과정평가연구, 9(1), 159-184.
  11. 박경미 (1999). OECD/PISA 학생성취도 지표개발 연구의 소개. 학교수학, 1(1), 367-382.
  12. 박경미, 이환철, 박선화, 권점례, 윤상혁, 강현영, 이경진, 최지선, 강은주, 김민정, 이광상, 김재영, 이광연, 한준철, 김선희, 방정숙, 이경은, 도종훈, 이문호, 황선미, 임해미, 이화영, 조혜정, 박정숙, 이승훈, 박문환, 김성여, 임미인, 권영기, 서보억, 이은정, 김완일, 장혜원, 이만근, 권오남, 안현정, 이지윤, 강성권, 강태석, 김화경, 신동관, 오택근, 전인태 (2015).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II.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서 BD15110002.
  13. 박혜영 (2017). PISA 읽기 평가틀의 변화 특징 탐색. 국어교육, 157, 259-283.
  14. 손준종 (2014). 전지구적 교육거버넌스로서 PISA의 출현과 국가교육에 대한 영향. 교육사회학연구, 24(3), 131-160.
  15. 송미영, 임해미, 최혁준, 박혜영, 손수경 (2013).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PISA 2012 결과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3-6-1.
  16. 신기현 (2006). PISA의 학습 평가틀에 대한 비판적 분석. 열린교육연구, 14(1), 165-183.
  17. 신현석, 주영효 (2013). 글로벌 거버넌스와 한국의 교육정책: OECD/PISA를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51(3), 133-159.
  18. 옥현진 (2014). 국제 문식성 평가 분석을 통한 문식성 교육 시사점 탐색-PIRLS, PISA, PIAAC을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 49, 73-103.
  19. 우정호 (2009). 수학 학습-지도 원리와 방법. 서울대학교출판부.
  20. 이미경, 곽영순, 민경석, 채선희, 최성연, 최미숙, 나귀수 (2004). OECD 2003 결과 분석 연구-수학적 소양, 읽기 소양, 과학적 소양 수준 및 배경변인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4-2-1.
  21. 이서빈, 김선호, 고상숙 (2017). 컴퓨터기반수학평가(츄므)의 문항 제작 가능성 탐색: 동적 기하소프트웨어 환경에서 PISA 2012 또는 2015 울타리 문항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0(3), 325-344.
  22. 임해미 (2012). PISA 2012 컴퓨터 기반 문제해결력 평가틀과 공개문항. 한국수학교육학회 2012 추계학술대회프로시딩, 61-66.
  23. 임해미 (2013). OECD PISA 수학 소양 평가의 특징 및 문항 특성 분석. 교과교육연구, 17(4), 971-990.
  24. 정영옥 (2004). RME의 수학 학습 평가틀에 대한 고찰-Jan de Lange의 수학 학습 평가틀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14(4), 347-366.
  25. 정혜경, 임해미 (2020). 앵커링 비네트(anchoring vignettes) 방법을 적용한 우리나라의 PISA 수학 설문 결과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30(2), 177-197.
  26. 조성민, 구남욱, 김현정, 이소연, 이인화 (2019).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PISA 2021 예비검사 시행 기반 구축.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19-120.
  27. 조지민, 정혜경 (2013). PISA 표집 설계에 따른 모수 및 분산 추정. 교육평가연구, 26(4), 875-896.
  28. 최승현, 노국향, 박경미 (2001). PISA 2000 수학 평가 결과 분석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1-9-3.
  29. 황우형, 구자형 (2006). 수학과 평가틀 비교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9(4), 497-520.
  30. 황혜정, 최승현 (1999). 수학과 평가틀에 관한 고찰. 수학교육학연구, 9(2), 459-471.
  31. de Lange, J. (1999). Framework for classroom assessment in mathematics. Freudenthal Institute & National Center for Improving Student Learning and Achievement in Mathematics and Science. Retrieved from http://www.fi.uu.nl/publicaties/literatuur/6279.pdf (2020.09.10.)
  32. de Lange, J. (2006). Mathematical literacy for living from OECD-PISA perspective. Tsukuba Journa l of Educational Study in Mathematics, 25, 13-35. Retrieved from https://pdfs.semanticscholar.org/5aed/c8a2c06e4cdb9e5932910bddc8f9e5bac8a4.pdf?_ga=2.119965056.904421435.1597635146-2032521134.1584692249. (2020.08.10.).
  33. Mahajan, S., Marciniak, Z., Schmidt, B., & Fadel, C. (2016). PISA Mathematics in 2021:.center for Curriculum Redesign. Retrieved from https://curriculumredesign.org/wp-content/uploads/Recommendations-for-PISA-Maths-2021-FINAL-EXTENDED-VERSION-WITH-EXAMPLES-CCR.pdf. (2020.08.10.).
  34. Meyer, H-D & Benavot, A. (2013). PISA and the globalization of education governance: some puzzles and problems. In H-D Meyer & a. Benavot (eds.), PISA, power, and policy: the emergence of global educational governance (pp. 9-26). Symposium books.
  35.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3). The Mathematical Sciences in 2025.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36. OECD (1997).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executive summary. OECD Publishing.
  37. OECD (1999). Measuring student knowledge and skills-a new framework for assessment. OECD Publishing.
  38. OECD (2001). Knowledge and skills for life: First results from PISA 2000. OECD Publishing.
  39. OECD (2004). The PISA 2003 assessment framework-mathematics, reading, science and problem solving knowledge and skills. OECD Publishing.
  40. OECD (2006). Assessing scientific, reading and mathematical literacy: a framework for PISA 2006. OECD Publishing.
  41. OECD (2013). PISA 2012 assessment and analytical framework: mathematics, reading, science, problem solving and financial literacy. OECD Publishing.
  42. OECD (2015). Students, computers and learning: making the connection. OECD Publishing.
  43. OECD (2016). Equations and inequalities: making mathematics accessible to all. OECD Publishing.
  44. OECD (2017). PISA 2021 mathematics: a broadened perspective. OECD Publishing.
  45. OECD (2018). PISA 2021 Mathematics Framework (Draft). Retrieved from https://pisa2021-maths.oecd.org/files/PISA%202021%20Mathematics%20Framework%20Draft.pdf (2020.08.10.).
  46. OECD (2019a). OECD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2030: Conceptual learning framework-Concept note: OECD Learning Compass 2030. Retrieved from http://www.oecd.org/education/2030-project/teaching-and-learning/learning/learning-compass-2030/OECD_Learning_Compass_2030_concept_note.pdf (검색일 2020.08.10.)
  47. OECD (2019b). PISA 2018 assessment and analytical framework. OECD Publishing.
  48. OECD (2019c). Skills matter: additional results from the survey of adult skills. OECD Publishing.
  49. Pereyra, M. A., Kotthoff, H-G., & Cowen, R. (2011). PISA under examination: Changing knowledge, changing tests, and changing schools. In M. A. Pereyra, H-G. Kotthoff, & R. Cowen (eds.), PISA under examination: changing knowledge, changing tests, and changing schools (pp. 1-14). Sense Publishers.
  50. Polya, G. (2003). 수학과 개연 추론: 개연적 추론의 여러 가지 패턴(이만근, 최영기, 전병기, 홍갑주, 김민정 역). 서울: 교우사. (원저 1968 출판).
  51. Sellar, S. & Lingard, B. (2013). PISA and the expanding role of the OECD in global educational governance. In H-D. Meyer & A. Benavot (eds.), PISA, power, and policy: the emergence of global educational governance (pp. 185-206). Symposium books.
  52. Stacey, K. (2015). The real world and the mathematical world. In K. Stacey & R. Turner. (eds.), Assessing mathematical literacy: the PISA experience (pp. 57-84). Springer.
  53. Stacey, K. & Turner, R (2015). The evolution and key concepts of the PISA mathematics framework. In K. Stacey & R. Turner. (eds.), Assessing mathematical literacy: the PISA experience (pp. 5-33). Springer.